리눅스 데스크탑에서 매번 겪는 문제중 하나는 바로 한글과 관련된 문제이다. 워드프로세서 한글이 아닌 글자 한글이 문제인 것이다. 지금은 보통 UTF-8이(당연하게도)기본 환경이므로 한글을 띄우는데에 삽질이 필요치 않지만 가끔 EUC-KR을 요구하는 환경이라던지(주로 M$환경에서 작업한 결과물이 이런 식이다.) 아니면 폰트가 가끔 빠져서 한글을 띄우기는 하는데 네모네모네모로 뜬다던지 하는 현상이 일어나곤 한다.

초기 리눅스 민트의 경우 한글폰트가 빠진채로 배포가 되어서 한국어로 설치를 하면 모든 설명이 네모로 나와서 사람을 고생시키곤 했었다. 그런데 리눅스민트도 아니고 한동안 별 문제를 안 일으켰던 우분투14.04에서 난데없는 한글글꼴문제가 터지고 말았는데 이번에는 이전과 반대로 리눅스민트나 다른 데스크탑환경이라면 별 문제는 없지만 Unity환경을 사용한다면 꽤나 치명적인 문제가 되어버렸다. 나는 리눅스민트로 이미 넘어간지 오래지만 안드로이드 관련 개발을 하는 사람들은 그냥 별 생각없이 Unity환경의 우분투를 사용하고있다. 이런 사람들은 배포판을 업그레이드 했다가 멘붕을 조금 먹었다고 한다. 다행히도 이를 해결하는 스크립트가 나왔다고 하는데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리눅스 데스크탑을 추천해주기가 민망해진다. 이런 간단한 문제조차 삽질을 하게 만드는데 과연 어떤 사람들이 리눅스 데스크탑을 쓰려고 할까?

게다가 리눅스 점유율을 끌어올려줄거라 믿었던 Steam 리눅스용도 약간 한글 문제를 겪고 있다. Steam자체내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Steam용 게임들에서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다. 한글로 떠야할 자막이 폰트문제로 네모네모로 뜨는 문제다. 특히 Valve사 게임에서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는데 Source엔진의 문제인 것인지 아니면 리눅스환경 자체의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다. 엉뚱한 폰트를 자꾸 찾는 것 봐서는 Source엔진의 한글지원 문제로 보인다.

윈도에서 압축을 한 파일의 경우에도 리눅스에서 그냥 생각없이 풀어버릴 경우 한글로 된 파일명이 와장창 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Repairer라는 노틸러스 확장이나 wine으로 설치한 반디집으로 해결 가능하다. kozip이라는 것도 개발되었고 반디집의 경우 리눅스데스크탑을 설치하면 Playonlinux를 설치한 다음 바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alz와 egg지원을 위해서) 딱히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유니코드표준인 UTF-8이 아닌 CP949환경을 사용하는 윈도 때문이며 기존의 호환성을 최대한 끌고가는 윈도 특성상 코드가 갑자기 UTF-8로 바뀔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폰트의 다양성 문제는 이미 해결이 된 것을 보인다. 과거 백묵글꼴의 경우 매우 가독성 안 좋고 보기 영 안 좋기로 유명 했는데 언제부터인가 은 글꼴이 나오면서 리눅스에서도 굉장히 미려한 글꼴이 가능해졌다. 물론 그 시절에도 저작권있는 글꼴 가져다가 때려박는 사람들이 있기는 했지만 그런 글꼴이 좋았냐고 하면 그건 그것대로 영 아니었던지라 은 글꼴은 순식간에 한글표준글꼴화가 되어버렸다. 지금은 은 글꼴도 아니고 나눔글꼴이 그 역할을 수행중이며 우분투에서 기본 한글글꼴이 되면서 "나눔"이라는 말에 맞게 상당히 많이 퍼지게 되었다. 윈도에서의 굴림같은 존재가 리눅스에서는 나눔고딕이 되었는데 언젠가는 이 나눔글꼴도 새로운 폰트에 자리를 내놓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어쨌건 그만큼 한글글꼴은 꽤 다양해진 편이다. 이 점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글과 리눅스는 별로 친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리눅스 데스크탑의 점유율이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매번 한글과 관련하여 문제가 터진다는 것은 그만큼 한국인이 개발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의미이며 한글문제를 메일로 날려도 워낙 수가 적어서 이슈화되지 않는 것도 문제다.그나마 Steam은 좀 확인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게 해결되기까지 얼마나 걸리게 될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한국리눅서들은 오늘도 고달픈 삽질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