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디자이너가 아닙니다.
그리고 심미성은 잘 모르죠.
그런데 한가지는 알고있습니다.
글꼴이란건 언어 관계없이 크게 두가지로 나옵니다.
끝부분 장식이 있느냐(세리프, 부리, 명조 기타등등-이하 세리프)
끝부분 장식이 없느냐(산세리프, 민부리, 고딕 기타등등 - 이하 산세리프)
이건 로마자도 아랍어도 그렇고 심지어 한자도 그렇습니다.
끝에 장식이 있는건 사실 예쁘라고 만든게 아니지요. 묽은 잉크 펜이나 붓으로 글씨를 쓰면 필연적으로 끝부분에 덩어리?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세리프체는 인간이 글을 쓰다보니 자연스럽게 생긴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장식이 획의 끝을 확실하게 나타내다보니 상대적으로 작은 글씨일때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종이에 표시할때 이야기지만요)
동양에서는 조금 다른데 목판인쇄술이 발전하면서 목판 특유의 결대로 찣어지는 현상을 줄이기위해 끝부분 장식을 새기게 되었습니다. 목판가로줄이 가늘면 목판이 결국 결대로 쭉 부러질수있으니까요. 이를 명나라 시대에 주로 쓰였다해서 명조라고 부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명조라고 부르는 서체는 실제랑 결이 좀 다르긴합니다.
산세리프체는 장식을 최대한 줄이고 멀리서도 잘보이게 만드는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큰 글씨에 잘 어울린다고 합니다. 표지판이나 알림, 제목등에서 그 특징이 보입니다. 사실 글씨가 크다보니 붓이나 펜으로 쓸때 깔끔하게 마무리가 가능했던것도 있겠지요.
한국에선 판본체라고 부르는게 얼추비슷한데 글씨가 직선과 원 위주인 한글에 잘 어울리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세상이 변하고 펜도 발전했으며 붓은 상대적으로 덜 쓰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연필도 발전해서 펜보다 더 동글동글한 필기구도 많아졌습니다. 심지어 이러한 필기도구로 효율적으로 글씨를 쓰기위한 필기체도 개발되었지요.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작은글씨에도 산세리프(민부리)를 쓰거나 책의 제목같이 큰글씨에 세리프(부리)를 쓰는 경우도 크게 늘었습니다.
그리고 모바일기기가 늘어나며 상대적으로 간단명료한 산세리프의 사용량이 늘어났습니다.
그래서인지 예전보다 폰트의 종류는 많아졌는데 어쩐지 쓰이는 폰트는 비슷하다는 느낌입니다. 왠지 그냥 그렇다고요.
'헛소리와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penRCT2 안드로이드에선 왜 한글이 안 나올까? - 나오게 하는 법 찾음 (0) | 2025.03.11 |
|---|---|
| Firefox 그리고 UserAgent의 like Gecko (0) | 2024.04.22 |
| 비개발자들이 생각하는 개발자들 (1) | 2024.04.07 |
| webkit은 제2의 트라이던트를 꿈꾸는가 (1) | 2024.02.26 |
| 광고차단과의 전쟁 과연 승자는 (0) | 2024.0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