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e은 윈도우프로그램을 리눅스/유닉스에서 실행되게끔 하는 호환 레이어입니다.
프로젝트가 지속되다보니 지금은 상당히 많은 프로그램들이 구동되고있습니다. 최근에는 스팀덱을 필두로 게임성능이 강화된 Proton이 나와서 그래픽카드의 활용성능도 상당히 좋아졌습니다.

다만, Wine프로젝트는 기존의 Win32와 Win64 API를 원본 그대로 구현하는것도 있지만 리눅스와 연결되는 부분(화면에 뿌리는 GDI, 각종 입력장치 연결 라이브러리, DirectX를 OpenGL로 번역하는 Wined3d 등)을 내부적으로 구현했기에 다른OS에서 그대로 쓰기 힘들었습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X를 쓰지 않기에 기존 Wine에 구현된 GDI구현체를 쓸 수 없었고 이를 위해 Termux-X11 같은 리눅스 데스크탑 호환환경을 갖춰서 굴리는 방식을 써야했습니다. (Mobox라는건이 이런식으로 구축해야 합니다) 아키텍처 문제로 X86과 AMD64로 만들어진 기계어를 ARM하드웨어용으로 번역하는 Box86과 Box64를 따로 설치해야하는건 덤이었고요.

Winlator는 Box86 및 Box64를 내장하고 Wine의 연결부분을 안드로이드의 것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안드로이드에서 쉽게 윈도우 프로그램, 그것도 PC에서 쓰는 X86용 프로그램을 돌아가게끔 해주는 앱입니다.

다만 기존 Wine도 완벽하지 않기에 100%호환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Box86, Box64를 통한 하드웨어 아키텍처 번역까지 있기에 완전한 구동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만큼 성능저하는 덤입니다.

역으로 말하면 시간이 지나 Wine의 구현이 더 정확해지고 Box64가 발전하면서 안드로이드 기기의 성능이 좋아지면 지금 구동이 되지 않는 프로그램들도 구동이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스냅드래곤 888칩셋기준 itch.io로 대표되는 2D인디게임 정도는 돌리는데 크게 무리가 없기에 깔끔하게 잘 돌아갑니다. 항간에선 GOG.com게임들은 DRM문제가 없기에 화면까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유튜브를 뒤지면 위처3같은 꽤 그래픽 좋은 게임도 잘 돌아간다고 합니다.

안드로이드용 MSOffice가 있기에 굳이? 싶긴한데 윈도우용 MSOffice도 구버전(2010)에 한해서 구동에 성공했다고 하는군요. 그 외에도 호환성 강화를 위해 안드로이드용 C런타임이 아닌 Glibc를 네이티브로 내장해 호환성을 강화한 변종도 나오고 있으며 Wine을 커스텀한 Proton을 활용한 Winlator도 나오고 있습니다.

솔직히 이런걸 보면 모바일기기와 PC와의 벽이 무너지는것 같아 재미있군요. 추후 구동성공기와 Winlator로 윈도우전용 인디게임 구동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HPLIP는 HP프린터/스캐너/복합기용 리눅스 프로그램입니다.
CUPS는 Unix시스템용 프린터 서비스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특정업체용이냐 범용이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스캔의 경우 CUPS로는 불가능하고 SANE이라는 다른 것을 이용해야하지만 HPLIP는 이것이 통합되어있어서 하나로 모든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HP기기를 쓴다면 둘 중하나를 쓸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만 개인적으로 HP는 HPLIP를 쓰시길 추천합니다. 우분투나 데비안에서는 이미 저장소에 있기에

sudo apt install hplip hplip-data hplip-gui hplip-doc

위 명령으로 설치가되고
hp-setup
위 명령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타 업체를 쓴다면 CUPS와 PPD파일을 이용해야하지만 HP는 이렇게 정석적인?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

다만 네트워크 프린터는 자동보다는 수동으로 IP주소를 등록해서 써야 잘 된다고 합니다.

다만 HPLIP라는게 CUPS와 완전 별개가 아니기에 당연히 CUPS도 필요합니다.

,

픽셀1은 구글포토가 무제한 업로드가 됩니다. 픽셀2는 원본 무제한은 아니지만 그래도 FHD급으로 무제한 업로드가 됩니다. 그래서 굳이 오래된 픽셀폰을 어떻게든 구해서 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제가 그런경우지요.
 
이 무제한 구글포토를 이용하려면 새로찍을 사진들은 픽셀로 찍으면 됩니다. 그러면 픽셀에서 자동으로 구글계정용량과 아무 관계없이 업로드가 됩니다. 하지만 기존에 찍어두고 업로드가 된 것이 많으면 어떻게 할까요?
 
일단 업로드 했던 사진들을 싹 다운로드 받은 뒤에 픽셀로 다시 업로드 하면 됩니다. 다만 좀 복잡합니다. 그리고 사진이 너무 많으면 그것도 어려운 일이고요.
 
그래서 우선은 용량 큰것만이라도 픽셀1으로 업로드 해보도록 합시다. 만약 여유가 되다면 모든 사진을 다 업로드 하면 되겠지요.

 
우선 PC에다가 사진들을 다운로드 받는 것이 편하겠지요. 구글포토의 웹 사이트로 접속해봅시다. 물론 구글로그인은 되어있다고 가정하고요.
https://photos.google.com/

Google Photos: Edit, Organize, Search, and Backup Your Photos

Google Photos never sells your photos, videos, or personal information to anyone, and we don't use your photos and videos for advertising.

www.google.com

그리고 아래 왼쪽에 보면 저장용량이라고 써있는 곳이 있는데 거기를 누르면 "대용량 사진 및 동영상"이라는 링크가 있습니다.
저는 대용량만 37GB넘게 있네요. 아마 자잘한 사진까지 다 합하면 용량은 더 어마어마 할겁니다.

 
저 안으로 들어가면 이렇게 언제 업로드 되었는지, 얼마나 용량이 큰지 알 수 있습니다. 이걸 전부 다운로드 받아봅시다.

 
눈에 보이는 동영상이나 사진을 선택하면 오른쪽 위에 "모두 선택"이라는 버튼이 보입니다. 모두 선택을 하고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고 오랜시간 기다리면 zip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구글포토에서 해당 영상을 모두 삭제합니다.
 
오른쪽 위에 "휴지통으로 이동"을 누르면 되겠지요. 그리고 휴지통에 사진을 모두 없애야 합니다. 휴지통에 사진이 한장이라도 있으면 픽셀로 업로드 해도 그냥 계정용량을 잡아먹더군요.
 
따라서
왼쪽 메뉴의 휴지통으로 들어가서

휴지통 비우기를 통해 휴지통까지 싹싹 비워주세요.
이제 픽셀의 구글포토를 한번 초기화 해줘야 합니다.
 

 참고로 위 스크린샷은 삼성OneUI입니다.
픽셀은 조금 다릅니다. 실수로 OneUI의 것을 올렸군요.

픽셀의 앱정보로 들어간 다음 저장공간으로 들어간다음 캐시삭제와 데이터삭제를 눌러서 구글포토 앱을 초기화 해줍니다. 이거 안 해주면 동기화되면서 정상적으로 백업이 되지 않습니다. 
 
이제 다시 PC 에서 픽셀에 영상과 사진을 USB를 통해 전송해주거나 기타 여러방법으로 넣어줍니다. 픽셀은 앱정보가 완전히 초기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새로들어온 사진들을 백업하기 시작합니다.
 
제대로 안 된다면 구글포토 앱 자체를 다시 한번 초기화 해주세요. 제일 좋은건 지웠다가 다시 설치하는거지만 구글픽셀은 아시다시피 기본 탑재라서 앱정보에서 초기화해주는게 최선입니다.
 
모두 픽셀로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었다면

 
이렇게 아래에 계정 스토리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뜹니다. 
이제 픽셀1을 구입한 이유가 완전해 지는 것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