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신은 인기있는 게임입니다.

일단 한국어가 지원이 되고 한국어 음성이 지원이 되고 그래픽도 나쁘지 않고 그냥 오픈월드 통틀어서 상당히 수작입니다.

 

하지만 지원 되는 운영체제는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입니다. 하지만 스팀덱 출시이후 많은 사람들이 스팀덱에서 이 게임을 하고자 하였고 결국 성공했습니다.

 

다만... 안티치트를 제거하는 방식이기에 계정밴을 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다들 해당 방식에 대해 경고하고 있습니다.

 

방법은 일단 간단합니다.

https://github.com/an-anime-team/an-anime-game-launcher

 

GitHub - an-anime-team/an-anime-game-launcher: An Anime Game launcher for Linux with automatic patching fixing detection of Linu

An Anime Game launcher for Linux with automatic patching fixing detection of Linux/Wine and telemetry disabling Our discord server: https://discord.gg/ck37X6UWBp - GitHub - an-anime-team/an-anime-...

github.com

위 프로젝트에서 진행하는 런처를 사용하면 됩니다. 정식 미호요에서 지원하는 런처가 아닌 리눅스용으로 따로 만들어진 런처입니다. 해당 런처는 Wine을 설치하고 필요한 패치를 진행해서 리눅스에서 원신을 실행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Release에 가면 Appimage로 된것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https://github.com/an-anime-team/an-anime-game-launcher/releases

 

Releases · an-anime-team/an-anime-game-launcher

An Anime Game launcher for Linux with automatic patching fixing detection of Linux/Wine and telemetry disabling Our discord server: https://discord.gg/ck37X6UWBp - an-anime-team/an-anime-game-laun...

github.com

물론 Flatpak을 이용해도 좋고 아치리눅스라면 AUR을 쓰는 것이 제일 편할 것입니다. 저는 우분투라서 Appimage 를 사용합니다.

Appimage를 다운로드 받고 속성에서 실행을 허용해주세요.

Appimage파일의 속성에서 권한 탭에 들어가 실행허용 관련 내용을 찾자

그리고 Appimage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왠지 공식 런처와 비슷하게 생긴 무언가가 실행됩니다.

그 전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sudo apt install unzip tar git curl xdelta3 cabextract libnotify-bin

의외로 xdelta3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설치해서 쓰곤 하는 패키지입니다.

 

암튼 실행 후에 30초를 기다리신 뒤에 OK I Understand 버튼을 눌러주세요.

해석하면 "공식 런처가 아니고 정상적인 방법으로 실행되는것이 아니니 모든 위험은 본인이 감수해라" 대충 이런겁니다. 즉, 밴당해도 우리한테 뭐라하지 마라 이겁니다.

화면은 이런 식입니다.

이미 설치 버튼을 누른 상태다....

원신 공식 런처랑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다만 언어가 한국어가 아닐 뿐입니다. 우선 Install Wine을 눌러서 Wine을 설치합니다.

그러면 오른쪽 아래에 없었던 톱니바퀴 버튼이 생깁니다.

 

오른쪽 아래에 톱니바퀴를 눌러서 설정을 하나 해야합니다.

다른것보다 Voice Pack 을 한국어로 바꾸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본이 영어라 이걸 안 바꾸면 영어로 말하는 페이몬을 볼 수 있습니다. 역시 페이몬은 한국어로 떽떽 거려야 제맛.

 

그리고 이제 본격적으로 게임설치를 합시다. Install

게임 본편을 다운로드 하기 때문에 꽤 시간이 걸립니다.

 

그 다음 기다리면 Apply Patch 버튼이 생기는데 이게 핵심입니다. 게임이 업데이트되면 패치가 나올때까지 리눅스는 손가락 빨아야 합니다. 해당 패치는 안티치트를 무력화하는 패치이며 많은 분들의 노력과 분석을 통해 만들어 집니다. 아무튼 Patch를 적용하고 Launch버튼을 누르면...

Apply patch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면 아직 리눅스에서 실행이 불가능한 것이다. 기다리자...

게임이 실행이 됩니다. 이제 로그인을 하고 윈도우에서와 같이 기다리면 드디어 원신을 리눅스에서 할 수 있게 됩니다.

 

게임 자체는 아무 문제없이 진행이 되며 dxvk로 Vulkan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모바일도 아직 OpenGLES 인걸 생각하면 Vulkan모드로 돌아간다는건 엄청난 이득입니다. 윈도우도 DX11이라 DXVK를 쓰면 상당한 성능향상을 본다고 하니까요.

 

암튼 이방법을 쓰면 원신을 리눅스에서 할 수 있긴합니다만...

안티치트 무력화라는 조금 위험한 방식을 쓰고 있기때문에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제일 좋은 것은 원신이 스팀덱을 지원하는 것이지만요.

,

추억의 게임이죠 메가맨 X4 솔직히 다른 버전보다 이걸 하기 위해서 스팀에서 legacy Collection 을 샀습니다.

리눅스에서 그냥 플레이 버튼을 누르니 음....그냥 까만화면만 나오네요. 그래서 찾아보니 몇가지 설정이 필요하답니다.

 

우선 게임 속성으로 들어가서 시작 옵션에 다음과 같이 적읍시다.

PROTON_USE_WINED3D=1 %command%

이렇게 해야하는이유가 X3까지는 문제가 없는데 X4가 많이 느립니다. 이렇게 해야 OpenGL로 돌아가면서 정상적인 속도로 돌아갑니다.

그리고 Proton버전을 바꿔줘야 합니다.

 

호환탭에서 7.0 버전으로 해주셔야 동영상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이래야 전설의 What am I Fighting For~~~라는 절규를 들을 수 있습니다.(?) 암튼 고전게임이라 그냥 잘 될줄 알았는데 삽질이 좀 필요하네요.

,

최신LTS버전이자 나름 신경써서 만든 22.04가 현장에선 그렇게 인기가 별로없나봅니다

Snap강제라던가 한국한정으로 한글입력의 불안정때문에 인기가 없을만하지만 이와 크게 관련없는 업무에도 제 주변은 18.04나 20.04에 눌러앉아 있다고 합니다.

20.04시절에는 nvidia가 범인이었지만 이번에는 nvidia도 빠르게 지원을 하고 있고 AMD시스템의 문제도 해결됐음에도 현장은 물론이고 개인들에게도 인기가 없다고 합니다.

이쯤되면 대책이 필요할지도

참고로 하모니카도 22.04기반의 최신리눅스민트가 버그로 고생해서 그냥 이번버전은 20.04 기반으로 작업했다고 합니다.

,

오랫동안 Virtualbox를 실행하지 않다고 다시 실행하려고보니 오류가 난다.

 

"NS_ERROR_FAILIRE (0x80004005)"

해당 오류는 스냅샷등으로 저장된 가상머신을 불러올때 나는 오류다.

 

그런데 대부분은 Extention Pack 버전 문제다.

파일- 환경설정

여기서 확장 탭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여기서 Extension Pack 버전과 현재 버전이 맞는지 확인하자. 만약 버전이 맞지 않다면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새로운 버전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 설치하면 해결.

,

Evoland는 신기한게임입니다.

진화하는 게임이라고 유명하지요. 그리고 일종의 합본판으로 Legendary Edition이 발매되면서 한글로 플레이가 가능해졌습니다. 본래는 다이렉트 게임즈에서 구매한 것만 한국어가 가능했지만 이젠 일반 스팀에서 구매한것도 한글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언어 설정이 조금 이상한게 시스템 언어가 한국어여야 한국어가 나옵니다.

 

리눅스도 한국어로 되어있으면 한글로 되겠지 했는데...

 

영어로 나옵니다.

 

이상하다 싶어서 찾아보니 다들 시스템 언어만 설정되면 알아서 바뀐다고 합니다.

아무래도...버그 같습니다.

 

이걸 해결하는건 귀찮기도 하고 문제가 조금 있습니다. 그런데 ProtonDB를 찾아보니 리눅스 네이티브 버전은 그래픽 버그가 있어서 강제로 Proton으로 실행해야 정상적이라고 합니다. 이럴거면 대체 왜 리눅스 버전을 만든건지...

 

아무튼 리눅스에서 윈도우판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의 Evoland Legendary Edition을 삭제합니다. 세이브파일은 스팀 클라우드를 통해 저장되니 지워도 안심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속성에서 호환 탭에 들어갑니다.

강제로 특정 Steam 플레이 호환 도구 사용하기를 눌러서 Proton 6.3을 선택합니다. 다른 버전도 잘 되겠지만 유난히 이 버전이 성능이 좋네요. (그래픽카드에 따라 조금 다를겁니다.)

 

그리고 설치를 합니다.

그러면 설치 용량이 조금 커지는데 실행하면..

 

한글로 잘 나오는군요.

,

음.... 롤러코스터 타이쿤3도 나름 명작입니다. 나온지 오래됐고 Planet Coaster 라는 정신적 후속작도 나왔지만 여전히 재밌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에서 실행이 이젠 어렵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아주 별의별 삽질을 해서 실행했었지만(심지어 HWTnL문제랑 S3TC문제랑 이것저것 많았음) 이젠 그냥 스팀판의 경우 실행버튼 누르면 그냥 실행 됩니다.

 

딱 하나 빼고요.

 

음악이 안나오는 문제가 있는데 mp3파일은 잘 나오지만 기본 음악들의 형태인 wma에서 문제가 일어납니다. 이거야 당연히 Windows Media Player가 없어서 그런것인데 지금와서 wine에 설치하고 삽질할거 생각하면 그냥 다른 방법 쓰는게 낫습니다.

 

게임이 설치된 곳\Music에 들어가면 wma 파일이 있는데 이걸 MP3로 바꿔주면 됩니다.

 

for i in *.wma; do ffmpeg -i "$i" -f mp3 "${i%}.mp3"; done

 

그냥 이 명령어를 해당 폴더에서 실행하면 ffmpeg로 mp3변환을 합니다. 그래야 어느정도 정상적으로 재생이 되더군요.

물론 mp3파일로 변환하면 음악을 선택할때마다 장르를 선택하라고 합니다. 그냥 귀찮으면 그냥 기타로 설정하면 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또 있습니다.

 

한창 음악을 듣고 있다보면 음악이 깨집니다.

 

그래서 어떤 분들은 그냥 음악볼륨을 0으로 맞춘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https://www.protondb.com/app/2700#5t4abvtptD

 

ProtonDB | Game Details for RollerCoaster Tycoon 3: Platinum

How well does RollerCoaster Tycoon 3: Platinum work on Linux and the Steam Deck?

www.protondb.com

여길보니 Proton GE 5.11을 이용하면 음악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해보니 진짜 찍찍 거리는 소리가 사라졌더군요.

 

Proton GE의 설치방법은

https://github.com/GloriousEggroll/proton-ge-custom/releases/tag/5.11-GE-3-MF

 

Release Proton-5.11-GE-3-MF · GloriousEggroll/proton-ge-custom

This is another stability/quality update, aiming to provide a better gameplay experience and building on top of the previous build. Fixes: -Re-enable rawinput (seems staging had it disabled in the ...

github.com

 

여기서 Proton-5.6-GE-2.tar.gz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steam/compatibilitytools.d/ 폴더로 들어갑시다. 만약 폴더가 없다면 만드시면 됩니다.

 

그리고 tar.gz 파일을 넣고 압축을 풀면 됩니다.

tar -xf Proton-5.11-GE-3-MF.tar.gz -C ~/.steam/root/compatibilitytools.d/

 

그 다음 스팀을 껐다 켜준다음

롤러코스터 타이쿤3 속성에 들어갑니다.

호환탭에서 강제로 특정 Steam플레이 호환도구 사용하기에서 Proton-5.11-GE-3-MF를 선택합니다.

이제 실행해보면 음악이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이전에는 Proton-GE-5.6을 추천했지만 키보드 입력에 문제가 있어서 5.11-GE-3-MF를 추천합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단축키가 먹히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키보드 입력을 위해선 게임을 켠후 잠시 Alt+Tab을 눌러서 빠져나왔다가 다시 돌아오면 해결됩니다.

,

https://drive.google.com/file/d/1XdVBajgDPI5-o8xgprPqjoIPTybU0utw/view?usp=sharing

 

xubuntu-22.04.0-Chicago95-amd64.iso

 

drive.google.com

Md5 : aae881bfdfbfe8f0dc6d087e5a4eb5ff  xubuntu-22.04.0-Chicago95-amd64.iso

 

 

xfce 테마중에 Chicago95라는게 있습니다. xfce의 모습을 예전의 Windows95와 거의 흡사하게 바꿔주는 프로젝트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Windows95라고 해도 믿을 수 있게끔 만들어 놓았습니다.

https://github.com/grassmunk/Chicago95

 

GitHub - grassmunk/Chicago95: A rendition of everyone's favorite 1995 Microsoft operating system for Linux.

A rendition of everyone's favorite 1995 Microsoft operating system for Linux. - GitHub - grassmunk/Chicago95: A rendition of everyone's favorite 1995 Microsoft operating system for Linux.

github.com

저는 이렇게까지 똑같은 모습보다는 그냥 적당히 비슷한 수준을 원했습니다. 그래서 창모양과 전체적인 분위기만 레트로한 느낌을 내봤습니다. 그래서 Chicago95에서 제공하는 모든 리소스를 쓰지않고 일부만 기본으로 적용해봤습니다.

 

(적용하는 방법은 https://moordev.tistory.com/375)

 

어떤가요? 기존 Xubuntu의 사용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Win95의 추억이 있으신 분이라면 짠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다만 win95느낌이 난다는거지 Win95수준으로 크기가 작지 않습니다.

 

최소 메모리가 1GB거든요. 그리고 64비트 CPU가 필요합니다. Xubuntu 22.04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이는 어쩔 수 없습니다.

 

 

수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Xubuntu Core 22.04를 기반으로 합니다.https://unit193.net/xubuntu/

 

Xubuntu Core

Xubuntu Core Xubuntu Core is a slimmed down version of Xubuntu that doesn’t come with many of the applications, plugins, and libraries that the default Xubuntu desktop ISOs have. It essentially onl

unit193.net

xfwm4에 Chicago95 테마를 적용했습니다.

GTK Chicago95 테마를 적용했습니다.

알림센터에 Chicago95 테마를 적용했습니다.

아이콘 테마에 Chicago95 테마를 적용했습니다.

gtk3-nocsd 를 설치했습니다. https://github.com/PCMan/gtk3-nocsd

 

GitHub - PCMan/gtk3-nocsd: A hack to disable gtk+ 3 client side decoration

A hack to disable gtk+ 3 client side decoration. Contribute to PCMan/gtk3-nocs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가짜굴림, 가짜 맑은고딕을 설치했습니다.

한글입력기 kime를 설치했습니다. 

firefox를 snap버전 대신 mozillateam ppa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바꿨습니다.

기본 라이브버전의 로케일은 한국어 입니다.

,

Ubuntu22.04가 이번에들으와서 굉장히 나빠진 것은 Snap을 어떻게든 강제로 쓰게 만든다는점입니다.

Snap이란 것이 나쁜것이 아닙니다. 기존의 APT를 쓸 수도 있고 Flatpak을 쓸수도 있고 Snap을 써도 됩니다.

 

그런데 이번 우분투는 강제로 스냅을 쓰게끔 만든다는 점이 아주 질이 나쁩니다.

 

우분투를 설치했을 때 Firefox는 Snap버전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그럴 수 있습니다. Snap을 관리하면 이후에도 버전별로 컴파일 할 필요가 없지요. 하지만 한글입력상의 문제로,실행속도의 문제로 기존 Snap대신 Deb을 사용한 방식을 원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사실 우분투 저장소에 보면 firefox가 그대로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 스냅의 파이어폭스를 지우고 apt를 사용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sudo snap remove firefox

sudo apt install firefox

 

이러면 firefox가 실행이 안 됩니다. 자그마치 snap으로 설치하라는 메시지를 띄웁니다. 알고보니 apt를 사용해서 설치한 firefox는 실제 firefox가 아닌 snap으로 연결해주는 패키지입니다. 이건 뭐...

 

하지만 기존의 방식을 쓰고 싶은 분들도 많을 것이고 대한민국 사람들은 한국어 입력문제 때문에라도 기존 방식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ubuntuhandbook.org/index.php/2022/04/install-firefox-deb-ubuntu-22-04/

 

How to Install Latest Firefox as classic Deb in Ubuntu 22.04 | UbuntuHandbook

Ubuntu 22.04 finally removed the .deb package for Firefox web browser from it’s repository! Here’s how to install it back. As you may know, Firefox in Ubuntu 22.04 is a Snap package that runs in sandbox. It’s easy to remove it. But when you try insta

ubuntuhandbook.org

 

우선 snap버전의 firefox를 지웁니다.

 

sudo snap firefox

 

그리고 Mozilla팀의 PPA를 등록합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mozillateam/ppa

이대로 PPA를 등록할거냐고 하는데 엔터를 누르면 등록이 됩니다.

 

이제 패키지 우선순위를 바꿔야 하는데요

다음 명령을 쳐서 텍스트 에디터를 연다음

sudo gedit /etc/apt/preferences.d/mozillateamppa

 

아래 내용을 적어줍니다.

Package: firefox*
Pin: release o=LP-PPA-mozillateam
Pin-Priority: 501

이제 모든 firefox관련 패키지는 기존 우분투 저장소가 아닌 mozillateam의 PPA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firefox

 

이제 apt 버전의 firefox로 바뀌었습니다.

,

ubuntu 커스텀 오랜만이네요. 이번에는 Xubuntu에 Chicago95테마를 기본으로 설정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cubic을 설치합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cubic-wizard/release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cubic

 

이걸로 우분투를 커스텀을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아래에 커스텀 작업을 할 폴더를 선택해주세요. 그 다음 위에 Next 버튼을 클릭

여기서 버전이랑 파일이름이랑 기타등등을 마음대로 설정해봅시다. 이 부분을 설정함으로서 아에 다른 문구로 바꿀 수 있게 됩니다.

이제 재미없는... 화면이 나왔는데 여기서

nano /etc/apt/sources.list

 

여기는 이제 잘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만 업데이트 서버 바꾸는 중입니다. 커스텀을 위해 패키지를 설치할 건데 이왕이면 빠른 서버로 설정해야지요.

 

deb http://mirror.kakao.com/ubuntu jammy main restricted universe multiverse

 

위 주소로 바꿔봅시다. 그리고

sudo apt update

 

이제 본격적으로 한국어 폰트 설치와 테마 설치를 해봅시다

 

apt install unzip

apt install fonts-noto-cjk gtk3-nocsd im-config

apt install qt5-style-plugins

 

dpkg-reconfigure locales

 

여기서 아래로 쭉 내려가서 ko_KR.UTF-8을 선택합니다. 스페이스바 누르면 앞에 *이 붙습니다. 그리고 탭키를 눌러 OK를 선택하고 엔터

그리고 여기서 ko_KR.UTF-8을 선택하고 다시 OK

 

이제 키보드 설정

nano /etc/default/keyboard

 

XKBMODEL="pc105"
XKBLAYOUT="kr"
XKBVARIANT="kr104"
XKBOPTIONS=""
BACKSPACE="guess"

이렇게 적어주면 한국어 설정 끝

 

사실 여기서 한글 입력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kime를 설정했습니다. 우분투22.04는

https://github.com/MoorDev/kime/releases

 

Releases · MoorDev/kime

Korean IME. Contribute to MoorDev/kim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여기서 deb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합니다.

wget https://github.com/MoorDev/kime/releases/download/untagged-58033854b6833b0d693f/kime_amd64_ubuntu_22.04.deb

dpkg -i kime_amd64_ubuntu_22.04.deb

 

그리고 im-config -c

마지막에서 kime를 선택하고 OK해주시면 기본 입력기로 kime가 선택됩니다.

이걸로 한국어가 기본이며 kime입력기를 기본으로 쓰게 됩니다.

 

이상 여기까지가 한국어 설정완료

 

이제 Chicago95 테마를 설치해봅시다.

 

https://github.com/grassmunk/Chicago95

 

GitHub - grassmunk/Chicago95: A rendition of everyone's favorite 1995 Microsoft operating system for Linux.

A rendition of everyone's favorite 1995 Microsoft operating system for Linux. - GitHub - grassmunk/Chicago95: A rendition of everyone's favorite 1995 Microsoft operating system for Linux.

github.com

 

wget https://github.com/grassmunk/Chicago95/archive/refs/heads/master.zip

unzip master.zip

 

cp -r Chicago95-master/Theme/Chicago95 /usr/share/themes/
cp -r Chicago95-master/Icons/* /usr/share/icons/
cp -r Chicago95-master/Cursor/* /usr/share/icons

 

이제 설치는 끝났고 설정만 하면 됩니다.

 

nano /etc/xdg/xdg-xubuntu/xfce4/panel/default.xml

여기서 제일 위의 position부분을 찾아봅시다.

<property name="position" type="string" value="p=8;x=400;y=583"/>

 

이렇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이러면 xfce패널이 아래로 내려옵니다.

 

그 다음은

nano /etc/xdg/xdg-xubuntu/xfce4/whiskermenu/defaults.rc 

button-title= Start
button-icon=xubuntu-logo-menu
show-button-title=true
show-button-icon=true

 

위의 4줄을 찾아서 이렇게 고칩시다. button-icon은 icon에서 찾아서 바꿀수도 있지만 저는 Xubuntu로고를 그냥 쓰기로 했습니다.

 

nano /etc/xdg/xdg-xubuntu/xfce4/xfconf/xfce-perchannel-xml/xsettings.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channel name="xsettings" version="1.0">
  <property name="Net" type="empty">
    <property name="ThemeName" type="string" value="Chicago95"/>
    <property name="IconThemeName" type="string" value="Chicago95"/>
    <property name="FallbackIconTheme" type="string" value="gnome"/>
  </property>
  <property name="Xft" type="empty">
    <property name="DPI" type="int" value="96"/>
    <property name="Antialias" type="int" value="1"/>
    <property name="Hinting" type="int" value="1"/>
    <property name="HintStyle" type="string" value="hintslight"/>
    <property name="RGBA" type="string" value="rgb"/>
    <property name="Lcdfilter" type="string" value="lcddefault"/>
  </property>
  <property name="Gtk" type="empty">
    <property name="CursorThemeName" type="string" value="Chicago95 Standard Cursors"/>
    <property name="CursorThemeSize" type="int" value="24"/>
    <property name="DecorationLayout" type="string" value="menu:minimize,maximize,close"/>
    <property name="FontName" type="string" value="Noto Sans 9"/>
    <property name="IconSizes" type="string" value="gtk-button=16,16"/>
    <property name="DialogsUseHeader" type="bool" value="false"/>
  </property>
</channel>

 

이렇게 3군데를 고치면 기본 테마가 Chicago95로 바뀝니다.

 

남은 것은 창관리자와 알림부분 테마 설정이네요.

 

nano /etc/xdg/xdg-xubuntu/xfce4/xfconf/xfce-perchannel-xml/xfwm4.xml 

<property name="theme" type="string" value="Chicago95"/>

 

 

nano /etc/xdg/xdg-xubuntu/xfce4/xfconf/xfce-perchannel-xml/xfce4-notifyd.xml 

  <property name="theme" type="string" value="Chicago95"/>
  <property name="initial-opacity" type="double" value="1.000000"/>

 

그 다음 이렇게 고치고 Next

이제 필요한걸 apt로 설치하고 그러면 됩니다.

 

추가로 lightdm 테마를 고쳐봅시다.

 

nano /usr/share/lightdm/lightdm-gtk-greeter.conf.d/30_xubuntu.conf

여기서

 

theme-name=Chicago95
icon-theme-name=Chicago95

 

이렇게 고쳐주면 됩니다.

 

 

여긴 설치후 삭제할패키지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 ubiquity는 설치프로그램이므로 설치 이후에 삭제합시다.

그 다음 Next

그리고 쭉쭉쭉 Next하시면

 

이제 다시 ISO로 묶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제 TEST해보면

 

올드스쿨 갬성으로 완성!

,

MSI 노트북에는 MSI Dragon Center 라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전반적인 MSI노트북의 설정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MSI Dragon Center는 윈도우 프로그램입니다. 리눅스에는 해당사항이 없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팬속도 조절이나 LED 조절 같은 것을 리눅스에서 하고 싶었던 분들이 있었나 봅니다.

 

그래서 ISW라는 프로그램이 만들어 졌습니다.

https://github.com/FaridZelli/ISW-Modern

 

GitHub - FaridZelli/ISW-Modern: Modern fork of Ice-Sealed Wyvern, a fan control service for MSI Laptops on Linux written in Pyth

Modern fork of Ice-Sealed Wyvern, a fan control service for MSI Laptops on Linux written in Python - GitHub - FaridZelli/ISW-Modern: Modern fork of Ice-Sealed Wyvern, a fan control service for MSI ...

github.com

저 링크는 ISW-Modern이라고 되어 있는데 본래 ISW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개발이 중단되어 Fork된 프로젝트 입니다.

 

본래는 https://github.com/YoyPa/isw 여기서 제작되고 있었지만 2019년에 중단 되었기에 ISW-Modern이라고 이름이 된 것이지요. ISW라는 이름도 특이합니다.

그냥 MSI를 거꾸로 적은 것입니다. 그래놓고 대충 이름을 끼워맞춘 것이지요. (Ice-Sealed Wybern 이라고 하는데...얼음으로 둘러싼 와이번...?)

 

설치도 우분투는 간단합니다.

https://github.com/FaridZelli/ISW-Modern/releases

 

Releases · FaridZelli/ISW-Modern

Modern fork of Ice-Sealed Wyvern, a fan control service for MSI Laptops on Linux written in Python - FaridZelli/ISW-Modern

github.com

그냥 여기서 deb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그리고 컨트롤은 터미널에서 합니다.

 

팬컨트롤을 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작업이 필요합니다만 저는 단순히 Cooler Boost 기능만을 쓰려고 합니다. 게이밍 노트북 특성상 소음보다는 냉각이 더 중요하거든요.

 

sudo isw -b on

 

이 명령이면 Cooler Boost 명령이 들어가면서 팬이 최고 속도로 돌아가게 됩니다. 게임할때 매우 좋습니다. 

특히 Nvidia칩셋의 온도센서가 이상하리만큼 잡히지 않는데 그냥 게임 돌리기 전에 이 명령 먹이고 돌리면 만사가 편해집니다.

 

끌때는 

 

sudo isw -b off

 

이외에도 Profile기능과 LED 기능이 있지만 제 노트북은 LED 기능이 단순한 녀석이다보니 먹히지 않는군요.

 

아 참고로 Secure Boot는 해제해주셔야 해당 프로그램이 먹힙니다. 보통 리눅스를 설치한다면 해제하는게 일반적이지만 가끔 해제 안하고 쓰시는 분들이 많아서 미리 말씀드립니다.

 

P.S Cooler Boost를 켜니까 무슨 비행기 이륙하는 소리가 나네요..어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