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Flatpak을 이용해도 좋고 아치리눅스라면 AUR을 쓰는 것이 제일 편할 것입니다. 저는 우분투라서 Appimage 를 사용합니다.
Appimage를 다운로드 받고 속성에서 실행을 허용해주세요.
그리고 Appimage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왠지 공식 런처와 비슷하게 생긴 무언가가 실행됩니다.
그 전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sudo apt install unzip tar git curl xdelta3 cabextract libnotify-bin
의외로 xdelta3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설치해서 쓰곤 하는 패키지입니다.
암튼 실행 후에 30초를 기다리신 뒤에 OK I Understand 버튼을 눌러주세요.
해석하면 "공식 런처가 아니고 정상적인 방법으로 실행되는것이 아니니 모든 위험은 본인이 감수해라" 대충 이런겁니다. 즉, 밴당해도 우리한테 뭐라하지 마라 이겁니다.
화면은 이런 식입니다.
원신 공식 런처랑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다만 언어가 한국어가 아닐 뿐입니다. 우선 Install Wine을 눌러서 Wine을 설치합니다.
그러면 오른쪽 아래에 없었던 톱니바퀴 버튼이 생깁니다.
오른쪽 아래에 톱니바퀴를 눌러서 설정을 하나 해야합니다.
다른것보다 Voice Pack 을 한국어로 바꾸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본이 영어라 이걸 안 바꾸면 영어로 말하는 페이몬을 볼 수 있습니다. 역시 페이몬은 한국어로 떽떽 거려야 제맛.
그리고 이제 본격적으로 게임설치를 합시다. Install
게임 본편을 다운로드 하기 때문에 꽤 시간이 걸립니다.
그 다음 기다리면 Apply Patch 버튼이 생기는데 이게 핵심입니다. 게임이 업데이트되면 패치가 나올때까지 리눅스는 손가락 빨아야 합니다. 해당 패치는 안티치트를 무력화하는 패치이며 많은 분들의 노력과 분석을 통해 만들어 집니다. 아무튼 Patch를 적용하고 Launch버튼을 누르면...
게임이 실행이 됩니다. 이제 로그인을 하고 윈도우에서와 같이 기다리면 드디어 원신을 리눅스에서 할 수 있게 됩니다.
게임 자체는 아무 문제없이 진행이 되며 dxvk로 Vulkan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모바일도 아직 OpenGLES 인걸 생각하면 Vulkan모드로 돌아간다는건 엄청난 이득입니다. 윈도우도 DX11이라 DXVK를 쓰면 상당한 성능향상을 본다고 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