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약간의 편견일수 있습니다. 윈도를 서버로 쓴다... 나쁜생각은 아닙니다. 그리고 편한걸로 따지면 윈도가 나쁜게 아니지요. 그런데 이것 하나는 생각해야합니다.
어째서 서버프로그램들은 GUI보다 CLI를 더 선호하는가? 그리고 서버로 쓰이는 리눅스, 유닉스들은 CLI로 쓰이는게 많은가?
윈도서버는 태생적으로 GUI를 갖추고 태어납니다. 괜찮은 방식입니다. GUI로 관리하면 배우기 편하고 쓰기 편합니다. 그런데 이미 쓰이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그렇지 않다는게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서버프로그램들은 최상의 안정성을 지녀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 쓰이는 기능은 쳐내서 이것으로 인한 문제를 없애야합니다. GUI는 그래픽 메모리에 접근해 화면에 그리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들어갑니다. 그런데 이것조차 버그가 있어서 보안 구멍으로 쓰일수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인 충격으로 박살나기도 하는게 보안입니다. 그러니 꼭 필요하지 않다면 애초에 만들어 넣지 않는게 서버관리에 좋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GUI는 굳이?? 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윈도는 기본적으로 GDI를 쓰게 되어있지요. 이 gdi가 무슨 문제를 일으킬지는 아무도 알수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윈도서버로 서버를 만든다고 하면 전 일단 말리고 싶습니다. 차라리 윈도가 필요하면 Vmware ESXi에 따로 서버를 올리라고 하고싶습니다.
메인으로 윈도서버를 올리는건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아무리 Microsoft가 뛰어난 인재들이 모이는 곳이라고 하지만 윈도서버는 너무 많은 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기존 윈도프로그램들이 그대로 돌아간다는건 정말 박수쳐줄일이지만 그게 도리어 화가 될 수도 있다는걸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Blender에 넣을 수도 있습니다. Blender에 넣으면 그 다음에는 이것 저것 할 수가 있지요.
아무튼 이런 유용한 도구를 우분투에서 굴려봅시다.
우선 VRoid Studio의 윈도우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현재 VRoid Studio는 맥용과 윈도용만 배포되고 있습니다. Unity3D 엔진을 사용했기에 마음만 먹으면 리눅스용도 빌드가 가능할텐데 아직은 그럴 생각이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Unity엔진으로 만들어진 것은 Mono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Wine에서 충분히 잘 돌아갑니다.
다만 한가지 문제가 있는데..
중간중간 \로 써있는 것을 보면 살짝 화가 나기도 한다.
압축파일이 일본에서 압축을 해서 그런지(사실상 Zip압축의 표준인 Winrar로 압축하면 경로를 유닉스 형태인 /로 압축합니다.) 이런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폴더형태가 아닌 그냥 하나의 파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는 비표준 형태로 압축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걸 해결 하는 방법은... 그냥 Wine에 반디집 설치하고 반디집에서 압축 풀면 됩니다. 일단 압축을 풀어 놓읍시다. 바로 Wine으로 실행해도 좋지만 자칫 꼬일 수도 있습니다.
반디집에서는 그 어떤 형태도 다 지원한다. 이런 프로그램을 한국에서 만든다는 것에 자랑스럽다.
그리고 저는 Wine을 돌릴때 따로따로 관리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VRoid Studio도 PlayonLinux로 관리합니다.
우선 PlayonLinux를 설치했다고 하고 (소프트웨어 센터에 가면 있습니다.)
PlayonLinux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Wine 5.7이상의 버전을 설치해야합니다.
도구-Wine버전 관리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amd64탭을 선택한 다음 왼쪽탭에서 5.7-staging 혹은 그 이후 버전을 선택하고 > 버튼을 눌러줍니다.
나는 이미 5.7-staging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다. 5.9에서도 잘 돌아가는 것이 확인 되었다.
그리고 창을 닫은다음 구성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서 왼쪽 아래에 새로 만들기를 눌러줍니다.
여기서 영어의 압박이 올 수 있는데 PlayonLinux가 한글화가 되고는 있지만 아직 기여가 부족합니다.
다음을 누르고 이 화면에서 64bits windows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아까 추가했던 5.7 혹은 그 이후 버전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관리할 prefix의 이름을 누른다음 다음을 연타하면
나는 그냥 VRoidStudio라고 이름 지었다.
요렇게 구성창에서 아까 지은 이름으로 Prefix가 하나 만들어집니다. 이것을 클릭하고
기타설정 탭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Open Virtual's directory를 눌러주시면...
여기서 drive_c라는 폴더가 Wine에서 C:\ 로 생각되어지는 폴더입니다. 저 폴더 안에 아까 압축을 풀었던 VRoidStudio를 복사해서 넣어주세요.
그냥 이런식으로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 다시 PlayonLinux의 구성창으로 돌아옵니다.
여기서 일반 탭으로 돌아오신 다음
바로가기 만들기를 눌러주시면
이렇게 뜹니다. 여기서 VRoidStudio.exe를 선택하고 다음!
이제 바탕화면 보시면 VRoidStudio 바로가기가 있을 겁니다. 이것을 실행하면...
짠!!! DirectX11 기반이라 약간의 오버헤드는 있지만 쓸 수는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더
WineD3D11은 안정적이지만 굉장히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DXVK를 이용해서 Vulkan으로 구동하면 라데온을 사용했을 때 윈도우보다 더 빠른 성능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