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e으로 Steam을 굴리는 일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사실 대다수 게임들이 Windows용으로만 나오기 때문에 Wine에서 Steam을 굴려서 Windows용 게임을 굴리곤 합니다.


하지만 당연히 삐그덕거리는 것은 여전해서 많은 문제가 일어나곤 합니다.


간혹 Steam을 Wine에 설치해서 사용할 때 Steam의 서버에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로그인은 되는데 정작 게임의 다운로드가 안 되는 경우입니다.


사실 저만 겪은 것이 아니라 많은 분들이 겪고 있는 현상이더군요. Wine3.10이후 현재 버전에서 많이 겪고 계십니다.


https://oluadebari.com/2018/06/23/playonlinux-steam-content-servers-unreachable-and-fixing-mirrors-edge-resolution-issue/


여기에 해결방법이 나와있는데 저는 그냥 제 방식으로 했습니다.


일단 Wine의 Steam폴더로 들어갑니다.


Wine의 Virtual Drive/drive_c/Program Files(x86)/Steam/config


이렇게 들어가면

config.vdf 파일이 있습니다. 이걸 텍스트 에디터로 엽니다.


그러면..


제가 블록을 친 CS 어쩌고란 부분이 없을 것입니다. 이걸 넣으면 되는 겁니다.


                "PercentDefaultWebSockets"        "50"


이렇게 쓰여진 부분 아래에 다음파일의 내용을 복사해서 넣습니다.


Steam_CS.txt



이제 다운로드가 잘 됩니다!!!

,

이전에 리눅스에서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바꾸는 작업을 알려드렸습니다. 이유가 바로 이 게임 때문인데 Life is Strange라는 게임입니다. Feral이란 곳에서 리눅스용으로 포팅을 했고 현재 스팀에 입점한 상태입니다. (Square Enix 게임은 요즘 리눅스용이 잘 나옵니다.)


그러나 한글패치는 역시나 윈도용 기준으로 나와 있었고 이것을 수정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파일과 폴더명만 소문자로 바꾸면 되는 것이었기에 크게 문제는 없었습니다.


한글패치 원본은 https://blog.naver.com/kibme0325/220624344482

여기입니다. 이곳의 것을 리눅스용에 맞게 수정했습니다.


LifeisStrange통합4Linux.7z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서

스팀 기본판 기준으로 

~/.steam/steam/steamapps/common/Life Is Strange/share/data/lifeisstrangegame


이곳으로 들어가서 덮어 주시면 한글패치가 됩니다.


정 모르겠으면

스팀에서 Life is Strange의 속성으로 들어간다음


로컬파일의 로컬 콘텐츠 폴더 보기를 누릅니다.


그리고...

share/data/lifeisstrangegame

순서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에다가 위에서 압축을 한 내용물을 풀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실행하면

놀라지 마세요. 여긴 기본적인 게임 설정창일 뿐입니다. 조용히 Display쪽을 살짝 들어가서 손을 보시기 바랍니다. Feral에서 제작한 것이기에 아직 한글화가 안 된 것 뿐입니다. 아래의 Play버튼을 클릭


확인해보면 한글화가 잘 적용 되었습니다.


이로서 리눅스버전의 Life is Strange를 한국어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건 아는 사람은 다 아는 것이긴 한데...


Bash 명령어로 다음과 같이 명령을 하면 현재 있는 파일과 폴더의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바꿔줍니다.


for i in $( ls | grep [A-Z] ); do mv -i $i `echo $i | tr 'A-Z' 'a-z'`; done


다만 단점은 현재 폴더에만 국한되고 아래 폴더의 파일과 폴더에는 통하지 않다는 겁니다.


이게 필요한 이유가 리눅스 지원 게임의 경우 ext 파일시스템에서는 파일의 대소문자를 구별하기 때문에 모든 파일의 이름을 소문자로 통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니면 윈도버전과 동일하게 합니다. 그런데 유저한글패치의 경우 윈도 기준으로 만들기 때문에 대소문자 구별을 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제대로 패치가 되지 않는것이지요.


Life is Strange 시리즈가 그러한데 이것을 위해서 파일명을 전부 소문자로 바꿔야 했습니다.


LifeisStrange의 경우 리눅스 버전의 파일과 폴더명을 몽땅 소문자로 통일 시켜주었다.



그런데.... 하위 폴더까지 접근하려면...음...


귀찮아서 그냥 ls대신 find를 썼습니다.


for i in $( find | grep [A-Z] ); do mv -i $i `echo $i | tr 'A-Z' 'a-z'`; done


몇 번 못 찾는다고 에러가 나는데 계속 돌리니까 하위 폴더까지 차근차근 소문자화를 해주더군요.


그러니까 위 명령을 될 때까지 그냥 무한정 돌렸습니다.


그렇게 귀찮음을 대충 해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