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는 구글 2위는 다음 3위는....하나코게임즈? 그나저나 장동건을 검색해 들어오신 분은 뭐지?

오늘만 잡담 글을 2개씩 올리네요. 일하기 싫어서 그런 건가... 이제 글이 30개 남짓한 작은 블로그인데 생각보다 재미있는 유입 결과가 올라와서 보여드립니다.


유입경로 4위부터는 그다지 영향도 없고 재미도 없어서 가렸습니다. 1위부터 3위를 보시면 보통의 다른 블로그와 다른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를 통한 유입이 전혀 없다는 것인데, 블로그 많이 하신 분들이라면 검색 누락이라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네, 검색 누락 맞습니다. 그런데 사실 저는 네이버가 좋아할만한 글은 하나도 올리지 않았습니다. 네이버가 좋아할 만한 키워드로는 '아이돌'.'연예인','아이폰', '삼성전자','정치권이야기' 이런 것인데요. 저는 네이버가 좋아하지도 않고 사람들이 별로 찾지도 않는 우분투관련 글만 올려대고 있으니 좋아 할 리가 없습니다. 네이버에 검색 요청을 하는 것도 생각했는데 이제 30개 남짓 올라온 블로그에 요청하는 것도 웃기고, 설사 걸린다고 해도 그것이 바로 방문자 증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입니다. 보통 리눅스를 쓰시는 분들은 대개 구글을 이용하시는 경향이 많다보니 저는 구글만 믿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


3위가 조금 독특한데, 8명뿐이기는 하지만 hanakogames포럼에서 들어오신 분들은 오직 저의 글 중 Long Live The Queen을 안드로이드 포팅하기http://moordev.tistory.com/20 을 위해 손수 들어오신 분들입니다. 어떤 분이 가이드를 알려달라고 해서 링크를 걸었거든요. 대신, 영작은 어려우니 구글번역기를 쓰라고 하면서요.(그 분이 욕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영어로 실컷 자랑했으면서 정작 가이드는 한국어로 하다니) 실제 그분이 구글번역기를 쓰셨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 글 마지막에 포팅 영상을 같이 올렸으니 그것을 보셨을지도 모르곘습니다.(그런데 그것조차도 한글 환경에서 찍은 영상...)


해당 포럼에 가면 아이패드에 포팅(제대로 된 라이브러리도 없는데?)한 분도 있더군요. 굳이 제 글을 보시지 않았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유입 국가는 지원을 안 하니 조금은 답답하네요.


구글 검색에 상단에 걸릴만한 방법은 네이버와 다르게 딱 하나밖에 없다고 하네요.


그냥 좋은 글을 잔뜩 쓸 것.


이 블로그를 구글만 믿고 가기로 한 이상 좋은 글을 더 양산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저는 그렇게 건실한 것은 아니지만 꽤 오랫동안 운영(?)해 왔던 다음블로그가 있습니다. http://blog.daum.net/moor


하지만 저는 다음 블로그가 약간 제 손으로 못 만지는 곳이 너무 많은 것 같아서 티스토리로 작정하고 옮겨왔지요. 그런데 티스토리는 티스토리대로 문제인 것이 만질 곳이 많아지자, 제가 손을 대기 귀찮아졌다는 것입니다. 기본 스킨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보시면 너무 나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아 조금 폰트크기를 키울 필요는 있겠네요. 모바일에서 보니 약간 답답한 면도 보이니까요.


사실 다음블로그에서 글을 써본 결과 이상할 정도로 해외에서 스팸성 트랙백이 자꾸 걸렸습니다. 이유를 알고 보니 다음블로그는 새 글이 올라오면 각종 봇 들이 주르륵 훑고 지나가더군요. 검색엔진 봇도 아니고 처음 보는 괴상한 봇도 나타나던데 그게 원인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 외에도 글을 관리하기 힘들고 제가 그냥 수첩에 끄적이듯이 글을 적다 보니 제대로 된 글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나마 그럭저럭 제대로 쓴 글은 

http://blog.daum.net/moor/37 (이것은 새로 스크린샷 찍고 영상을 찍어서 가져왔습니다.)

http://blog.daum.net/moor/107 (Ren'Py 안드로이드 포팅 글 새로 쓰면서 기존 다음블로그는 비공개 처리)

http://blog.daum.net/moor/102 Cups+Sane 프린트+원격스캔 서버 만들기 정리 후에 가져올 예정.


수많은 글 중에서 쓸 만한 글은 대충 이 정도 뿐.


굉장히 공은 들였지만 그저 일기 형식으로 써서 다른 사람들에게 별로 도움은 안되는 글

http://blog.daum.net/moor/45

http://blog.daum.net/moor/50(내 생각에 거의 삽질이 블록버스터 급인데 현재는 별로 도움 안되는 글)

http://blog.daum.net/moor/106 삽질 하다 포기함. 그냥 다른 물건을 구하는 것이 100배 나음.


난 참 글 쓰는 재주는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 더 다른 사람을 배려하듯이 써야 하는데 제가 편한대로 글을 쓰다 보니 그 수많은 글 중에서 건질 것이 전혀 없네요. 어쨌건 블로그에 제대로 된 정보성 글을 올리기 위해선 아무런 글도 올라가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땅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다 티스토리가 눈에 띄인 것이고요. 네이버블로그도 있지만 여긴 다음보다 더 했으면 더 했지 덜 한 곳은 아니라서 그냥 깔끔하게 접었습니다. 티스토리에는 전문성 있는 글들이 자주 올라오는 곳이니, 저도 이 대열에 한 번 끼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MoorDev 올림.

,


한 때 잠깐이나마 마이크로소프트는 Flash의 대항마 격인 웹 플러그인을 발표합니다. 그 이름이 Silverlight입니다. 은빛이라는 한국말로 바꾸면 꽤 예쁜 이름이지만, 이 실버라이트는 결국 Flash라는 거대한 벽을 넘지 못하고 버려진 자식이 되어버립니다. Windows8의 IE지원 대상에서 빼버린 것이지요. 실버라이트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서비스해 주는 곳도 일부 있었고(SBS, 다나와 리뷰 등), 일부 사이트에서는 Flash처럼 멀티업로드용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에게서 이미 잊혀진 존재가 되어가다보니 해당 사이트들도 Flash로 바꾸거나 아니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실버라이트는 사라지는 듯 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도 실버라이트를 버리지 못한 불행한 사이트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실버라이트가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서도 지원 받지 못하는 마당에 답답한 노릇입니다. 이 사이트들이 정신을 차리고 다른 방법으로 바꾸기 전까지는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실버라이트를 써야만 합니다. 사실 실버라이트가 윈도우를 쓰다 보면 자연스레 설치되는 놈이라 자연스럽게 쓰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마이크로소프트도 지원을 끊은지 오래인데 아직까지 실버라이트를 고집하는 배짱은 대체 무엇일까요?
(제 생각에는 그냥 똥배짱입니다. 시스템을 바꿀 자금이 부족하거나)


그런데 우분투에서 어떻게 마이크로소프트의 실버라이트를 쓸 수 있을까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moonlight라는 실버라이트 호환플러그인을 설치한다.http://www.mono-project.com/Moonlight

2. Pipelight로 실버라이트를 Wine과 조합해서 플러그인을 구동한다.http://pipelight.net


1.경우는 속도는 빠르지만 실버라이트3까지 완벽 지원이며 실버라이트4는 일부 호환입니다. 실버라이트가5까지 나왔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네요. 적당히 구동은 되지만 저 일부 사이트들 중에서 실버라이트5를 요구하는 (망할)사이트가 있어서 어쩔 수 없이 2.의 방법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실버라이트5가 리눅스환경에서 무사히 구동이 된다는 것에서 안심을 해야 할 것 같네요. 참고로 PipeLight는 Windows용 Flash플러그인도 구동지원됩니다. 리눅스용 Flash가 10.x에서 멈춘 지금, 최신플러그인을 요구 할 경우 대용으로 쓸 수 있습니다. 물론 구동 속도는 보장 못합니다. 


Pipelight를 한번 설치해서 Silverlight를 구동해 봅시다. 우선 Pipelight를 설치해야겠지요?

우선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명령을 순차적으로 내립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pipelight/stable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pipelight-multi
sudo pipelight-plugin --update

첫 번째 명령어는 PPA를 등록하는 명령어 입니다.

두 번째 명령은 새로운 패키지 리스트를 가져오는 명령어 입니다. 즉, 패키지 리스트에 Pipelight를 가져오는 과정입니다.

세 번째 명령은 Pipelight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install-recommends 옵션은 같이 추천하는 패키지를 설치하란 것입니다. 이 때 Pipelight 전용 Wine이 설치됩니다. 브라우저 플러그인 전용으로 특화된 Wine입니다.

네 번째 명령어는 플러그인 업데이트 리스트를 받아오는 명령어입니다. 사실 이 순간에도 새로운 플러그인이 지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의 Pipelight는 Unity3D Web Player도 지원이 되더군요. 이제는 웹 게임도 우분투에서 3D로 구동할 수 있다니 무서운 세상이군요.


이제 실버라이트를 활성화 해봅시다. 같은 방법으로 Flash도 활성화 가능한데 이것도 터미널을 이용해야 합니다. GUI가 아직 지원이 될 가능성은 없어 보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터미널과 친해지는 수 밖에 없습니다.




sudo pipelight-plugin --enable silverlight


끝입니다. 이제 Firefox나 Chrome에서 실버라이트를 사용하는 (망할)사이트에 들어가면 잠깐 Wine구동 메시지가 뜨더니 실버라이트가 작동하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만약 해당 사이트가(정말로 망할)OS차별을 한다면 Agent Switcher같은 확장기능을 써서 Windows로 속이시면 간단합니다. (실버라이트는 원래 브라우저 구별은 안 합니다. 단지 Windows에서만 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런데 이것 때문에 웹디자이너분들이 Windows외의 OS접근을 막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비슷하게 Flash 11이상 버전을 요구하면



sudo pipelight-plugin --enable flash

이렇게 해주시면 됩니다. Firefox야 문제 없는데 Chrome은 자체 내장 Flash때문에 고생을 한다네요. 어차피 Chrome내장 Flash는 버전이 높으니 굳이 pipelight를 통하지 않아도 됩니다. Firefox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이용해 주시면 좋을 것입니다.


http://pipelight.net/cms/installation.html

Pipelight에 우분투 계열 외의 다른 OS나 실버라이트,Flash외의 다른 플러그인을 설치하실 분들은 위의 주소로 가시면 자세히(영어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미 버려진 기술인 실버라이트를 쓰기 위해서 이런 삽질을 해야만 한다니, 정말 짜증이 올라오는군요. 그런데 어쩌겠어요. 해당 사이트를 안 쓸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굳이 윈도를 부팅하기는 더더욱 싫으니 그냥 이렇게라도 써야지요. 역시 오늘도 우분투는 삽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