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상품설명에 번역을 해놨으면 좋겠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최근 인터넷쇼핑몰을 찾다보면 중국회사와 연계해서 물건을 직접 중국에서 배송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이전에는 중국에서 물건을 떼서 자신들의 회사상표를 붙이는 경우(OEM)이 많았다면 요즘은 그냥 중간유통만 하고 중국회사의 상표를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아졌더군요.

나쁜것은 아닙니다. 해외 직구가 활성화된 요즘 해당제품을 통관번호 없이 직접 살 수 있다는 것은 초보자들에게 엄청난 장점이니까요.

그런데 그로인한 폐해가 나오고 있습니다.

제품설명란은 보통 제조사가 직접 건네준 카탈로그를 넣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전에는 한국상표였기에 한국업체가 만든 카탈로그가 들어갔습니다. 최소한 글로벌업체라도 한국어 아니면 영어로라도 스펙은 볼 수 있게 했습니다.

그런데 중국업체의 상표를 쓰다보니 카탈로그로 되어있는데 그걸 고대로 제품설명란에 넣습니다.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들 중 중국어를 읽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B2B라면 그럴 수 있지만 보통 쇼핑몰은 B2C입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팔겠다는건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고 카탈로그를 중국어를 주면 누가 읽을까요?

비슷한것으로 책이 있습니다. 번역서와 원서 어느것이 더 잘팔릴까요? 교수나 박사같은 사람도 번역서를 우선 챙깁니다. 원서는 혹여나 번역으로 인해 왜곡될것을 감안해야하는 경우에 선호합니다. 그리고 이건 애초에 박사급 되는 사람들은 국제학회에 나가기 때문에 영어를 기본으로 깔고 가니까 가능한것이지요.

근데 수입제품도 한글 의무표기한다고 스티커라도 붙이는게 있는데 제품설명이 중국어면 대체 어쩌라는건지 모르겠습니다.

P.S 같은 제품인데 어떤 가게는 번역을 해서 올렸고 어떤가게는 중국어 그대로 올렸더군요. 번역한 가게는 5000원 정도 더 비쌌지만 이쪽이 더 판매량이 더 높았습니다. 보고 있나? 보따리상들?

,

잉크스케이프, Blender, Gimp

이 셋은 오픈소스 CG 삼대장이라 불립니다.

 

벡터이미지의 잉크스케이프

비트맵이미지의 Gimp

3D의 Blender

 

이 중에서 제일 성능이 구리고 문제 많기로 소문난 것이 잉크스케이프 입니다.

 

하지만 벡터이미지를 만드는 것에는 Adobe Illustrator를 제외하면 이것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니면 CAD를 쓰는 방법도 있기는 한데 애초에 CAD는 그림그리라고 만든것이 아니라서 Spliine 처리하다보면 빡칩니다.

 

그리고 어차피 대부분 벡터 이미지 쓰는 곳이면 *.ai파일 아니면 *.svg인데 SVG야 잉크스케이프의 네이티브 파일이니 그렇다 치고 ai파일 읽어 들이는 것도 잉크스케이프에서는 문제가 없어서 간단한 작업에는 크게 문제가없습니다.

 

그래서 잉크스케이프가 잘 쓰이는 곳이 있습니다.

 

보통 회사 로고들은 ai파일로 제공합니다. 하지만 그 로고를 도면에 넣으려면 어찌 되었든 AutoCAD형식으로 바꿔야 합니다. (LibreCAD는 PDF형태로 된 것을 바로 읽는다고 하지만 그것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특히 공개된 포맷인 DXF가 여기저기 편리합니다. 그래서 잉크스케이프로 ai파일을 읽은 다음 DXF로 변환해서 넣으면 도면에 깔끔하게 들어가지요.

 

그런데 회사에서 쓰기 위해 잉크스케이프 1.0을 쓰던 도중에 ai나 PDF로 만든 DXF가 오류나더군요. AutoCAD에서 읽히지가 않아서 LibreCAD로도 해봤는데 마찬가지로 오류가 났습니다.

 

방법을 몰라서 이리저리 옵션을 바꾸면서 수많은 오류를 경험하고 그냥 잉크스케이프 버전을 0.92로 낮추니까 잘 되네요.

그냥 ai파일을 잉크스케이프로 읽은 다음에 dxf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아무래도 동봉된 Python이 문제된것이 아닐까 싶은데 잉크스케이프 0.92버전은 Python2.7을 사용하고 이후 버전은 Python3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저는 Python3을 버전별로 깔아두고 쓰고 있지요. (32비트, 64비트, 3.6 3.7 3.8...) 이게 원인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리눅스야 시스템에 설치된 Python을 적극 활용하게 패키징을 하니 문제가 없지만 (정 안 되면 버전과 관련없이 쓸 수 있는 SNAP이 있지요.) 윈도우는 시스템에 Python을 추가로 설치하다보니 기존에 설치된 Python과 충돌이 난 듯 합니다.

 

예로부터 오픈소스 삼대장은 윈도우에서 성능이 그닥 잘 안나오긴 했는데 이번에 또 한번 실감하네요.

,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은 삼성아니면 애플입니다.
그나마 있던 LG는 사업철수를 결정했고 중국제조사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으며 그 외의 다른 제조사들도 떨이 신세된지 오랩니다.

그런데 애플이야 애플고유의 생태계가 잘 되어서 그렇다치고 삼성이 독주인것도 이유가 있을겁니다.

일단 하나는 삼성페이인데 이건 넘어가고 저는 Good Lock이 큰 장점이더군요.

안드로이드의 구글 정책에 의해 제조사 커스텀이 많이 사라졌는데 Good Lock은 그냥 프레임워크를 덮어버리면서 커스텀롬에서만 제공되던 기능을 순정상태에서 제공합니다.

혹자는 Good Lock을 씀으로서 삼성만의 안드로이드가 완성된다고 하더군요.

다만 단점이 있는데 프레임워크를 바꾸는 작업이 수반되므로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바뀌면 기능이 사라지기일수 입니다. 이내 부활하기는 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지요. 그냥 저는 OS업데이트를 6개월쯤 뒤에 합니다.

그래야 GoodLock이 지원되더군요.

일단 갤럭시 스토어에서 Good Lock을 검색했을때 뜬다면 해당 기기는 Good Lock이 지원됩니다.

하지만 진정한 Good Lock은 내부기능에서 시작됩니다.

Good Lock만으로는 기능을 쓸수없고 Good Lock내부에서 추가기능을 설치해야합니다.

개인적으로 LockStar는 쓸일이 없어서 안 쓰게 되더군요. 결국 지워버렸습니다. 내비게이션바를 내마음대로 바꾸는 NavStar도 쓰는 것만 씁니다.

QuickStar는 통신사로고를 지워버리는 필수 앱입니다. 쓸데없이 통신사로고를 띄우는 고집도 대단하지만 그걸 날리는 삼성도 고맙더군요.

안드로이드 11에서는 Home Up에 편입된 Task Changer는 기존에 커스텀롬으로 많이 보던 레이아웃으로 바꿔주는데 이게 물건입니다. AOKP롬에서 사용되던 레이아웃인데 구글이 제시한 페이지뷰 방식보다 더 직관적입니다. Task Changer를 한동안 못 찾아서 헤맸는데 이 기능을 살리고 나니 어찌나 반갑던지 너무 편하더군요.

그리고 Good Lock의 기능은 아니지만 One Hand Operation +도 필수 앱으로 통합니다. 어딘가 부족한 제스처 기능을 보조해주고 편하게 옆으로 쓰는것으로 스크린샷을 찍는다거나 뒤로가기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쓰다보면 저도 모르게 모서리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는 자신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것도 다른 커스텀롬에서 많이 봤던것이지만 커스텀롬이 아닌 순정롬에서 이를 지원하는게 중요한것이지요.

사실 삼성 스마트폰이 겁나게 비싸긴하지만 이래서 바꾸기가 애매하긴합니다. 어쩌면 이게 삼성이 노린것일수도 있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