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용 스팀에서는 각종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 이런저런 방법을 동원합니다. 그냥 mpv나 VLC같은 외부 플레이어를 쓰면 참 편하겠는데 스팀에서 영화도 팔고 게임 트레일러도 광고하다보니 그냥 자체적으로 플레이어를 만들어 쓰더군요.


그런데 이상하게 CPU점유율이 높아서 보니까 동영상 가속이 안 되더군요. 그런데 웃긴건 VLC나 MPV에서는 아무 문제없이 동영상가속이 잘 되는 겁니다.



알고보니... 스팀은 32비트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32비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야 하더군요. 그래서 스팀을 설치하고 나서 추가적으로 32비트 동영상 가속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합니다.


sudo apt install mesa-vdpau-drivers:i386 (AMD, Nvidia사용자)

sudo apt install mesa-va-drivers:i386 (AMD, Intel 사용자)


AMD는 VDPAU, VAAPI 둘 다 지원하므로 둘 다 설치해두면 좋습니다.


그리고 VAAPI는 2020년 1월 현재 메모리 관련해서 버그가 발견되었습니다. 스팀의 문제로 보이며 VDPAU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Steam에서 신박하게도 Remote Play라는 서비스를 내놓았습니다. 이전에 In-Home Streaming이란 것으로 내놓았다가 이제는 집안 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게임이 가능하게끔 만든 것입니다.


실제로 써본결과 약간 미묘하게 반응이 늦는것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그럭저럭 쓸만했습니다. 다만 좀 멀미가 와서 그런지 어지럽네요.


아무튼 이 스트리밍 기능은 상당히 유용합니다. 강력한 게임용 WindowsPC에서 저성능 리눅스PC나 라즈베리파이로 게임을 스트리밍 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일부 게임의 경우에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기본 사운드카드를 Steam 스피커로 바꿔줘야 합니다.



WindowsPC에서 스피커 부분에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소리 설정 열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기본 출력장치를 Steam Streaming Speaker로 바꿔줍니다. 이러면 WindowsPC에서 나오는 소리를 Steam이 대신 잡아갑니다.


그러면 스트리밍되는 곳에서 소리가 문제 없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Windows10부터는 하드웨어가 연결되어있지 않으면 해당 하드웨어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그래픽카드에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지않으면 해당 장치관리자에는 잡히자만 그래픽카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만약 필요하면 더미플러그를 끼워서 인식을 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마우스도 연결하지 않았다면 포인터가 뜨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건 굳이 더미를 연결하지 않아도 쓸 수 있습니다.





Windows초창기부터 지원해 오던 마우스키를 활성화 함으로서 마우스를 인식 시킬 수 있습니다.


Windows 설정에서 마우스 키라고 검색하면 마우스 키 켜고 끄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마우스 키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 포인터 이동을 켜면 포인터가 마우스를 연결하지 않아도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로지 Steam Streaming을 위해 만들어진 PC라면 유용하겠죠!

,

윈도우에서 리눅스 설치 USB만드는 것은 쉽습니다. win32diskimager(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라는 것으로 처리하거나 Unetbootin(https://unetbootin.github.io/)이라는 것을 이용하거나 LiLi(https://www.linuxliveusb.com/)라는 것을 이용하면 주요 배포판은 물론이고 각종 변종 배포판의 USB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Windows 설치용으로 주로 쓰이는 Rufus라는 툴도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는..? 리눅스에서 Windows설치 USB를 만드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그냥 VirtualBox에서 윈도우를 올리고 Rufus나 winUSB Creator를 쓰는 것이 제일 확실합니다.

 

아니면 이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WoeUSB(https://github.com/slacka/WoeUSB) 이것을 쓰는 방법 뿐인데 이것마저 사람 참 괴롭게 하더군요. 다행히 우분투에서 설치는 쉽습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nilarimogard/webupd8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woeusb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보통 실행까지는 문제없지요.

 

 

일단 여기만 보면 대충 어떻게 해야할 지 감이 오실겁니다. From disk image에서 iso파일을 선택하고 File system을 고른다음(보통 64비트에서는 파일 크기문제로 NTFS를 선택하게 됩니다.) Target device에서는 꽂혀있는 USB메모리를 고르면 되지요. 그리고 Install을 누르면 되야하는데...

 

설명하자면 지금 USB메모리를 누가 쓰고 있으니 껐다 켜던지 기다리시오 하는 이야기다

이런 오류메시지가 뜹니다. UnetBootin은 이렇게 뜨면 그냥 USB를 뺐다 다시 꽂는 것으로 해결되는데 이건 해결이 안 되더군요!!!

 

그래서 삽질하다가 방법을 알았습니다. 마운트된 것을 해제하면 됩니다.

 

이건 보통 마테나 그놈환경에 있는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됩니다. (다른 데스크탑환경의 경우에는 확인 바랍니다.)

일단 USB메모리를 연결하고 디스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다른 디스크는 그만두고 USB메모리를 누른다음 ■ 버튼을 찾아서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전원은 연결된 상태에서 마운트만 해제됩니다. 그리고 다시 WoeUSB를 실행하면 아주 잘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