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5. 13현재 starcraft용 wine을 이용해서 실행이 가능함이 확인 되었습니다. 버그가 있지만 이는 시간이 해결 할 것으로 보이며 이젠 걱정 하실 필요 없습니다.


링크 참조


http://moordev.tistory.com/158


아래 글은 그냥 그때 그랬구나 하고 넘어가 주시면 됩니다.(한 달도 안되서 해결 됐네요. 역시 대단합니다.)


======================================================



1998년 처음 발매되고 전설이 된 게임 Starcraft.


이 게임이 새로 리마스터되어 4k해상도로 구현된다는 소식에 많이 이들이 환호 했었습니다.


그리고 4k 리마스터 이전에 밸런스 패치라고 할 수 있는 1.18버전의 테스트 버전이 지난 3월 31일에 배포되었습니다.

https://kr.battle.net/forums/ko/starcraft/topic/4564449121

사실 스타크래프트는 Wine1.0버전부터 아무런 문제 없이 구동이 잘 되어 왔기 때문에 얼마나 달려졌는지 확인차 Wine의 최신버전인 2.4버전으로 구동을 했는데 무슨일인지 실행이 안 되더군요(!)


물론 이전 버전인 1.17pre나 1.16버전은 당연하다는 듯이 실행이 잘 됩니다.



위의 메시지를 보시면 1.18에서 새로 추가된 ClientSdk.dll 파일의 실행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파일은 아마도 Blizzrad Clinet와 관련이 있는 것을 보이며 Battle.net과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된 기능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이 문제는 Blizzard Forum에도 보고되어 있고 Wine에도 보고 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식이라면 리마스터된 고해상도 스타크래프트가 나온다고 해도 리눅스에서 플레이하려면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습니다. 그동안은 어쩔 수없이 구 버전인 1.16버전이나 (Wine에선 최신 윈도우에 있는 각종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없이 돌아가는 스타크래프트2의 브루드워MOD를 할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사실 Visual Studio의 버전이 올라갈 수록 이러한 문제가 계속 발생되고 있는데요. Wine측의 새로운 API가 계속 나오고 있어서 대응이 늦는 것은 어쩔 수 없긴 하지만 이 부분에서는 조금 아쉽긴 하네요.


일단 Wine의 대응을 기다려봐야지요. 하지만 제일 좋은 것은 Blizzard가 리눅스 용을 직접 내놓는 것 이지만요.

,

우분투는 생각보다 오류가 좀 있는 편입니다. 게다가 PPA를 쓰기 시작하면 이런저런 충돌등으로 오류가 좀 나지요.


그렇다고 더 안정적인 데스크탑을 위해 오류없는 OS를 쓰겠다고 하신다면 데비안같이 상당히 구버전을 취급하는 배포판을 쓰셔야 할 겁니다.


그런데 우분투는 오류가 날 경우 이를 피드백하기 위해서 제보를 받는 시스템이 있는데 문제는 보통 오류를 피드백을 해도 오류를 보내달라는 메시지가 뜬다는겁니다.


"시스템 프로그램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오류를 보고하시겠습니까?"



이미 보고했다니까!!!!


한번 오류가 발생하면 이런 메시지가 부팅할 때마다 발생한다. 보고를 했는데 왜 자꾸??


오류보고를 했음에도 계속 오류보고를 해달라는 상당히 의미없는 행동을 하는데 중복된 짓은 하기 귀찮으니 이를 해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 오류메시지는 그냥 특정 폴더에 로그가 남아있으면 띄우는 별거 아닌 부팅 스크립트입니다.


하지만 해당 스크립트를 삭제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니(심각한 오류가 났을 때 자동 재부팅을 한다던지 사용자에게 오류가 났으니 하던 작업 저장하라고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부팅시 뜨는 메시지를 없애는 것에 집중을 하도록 합시다.


해당 스크립트는 /var/crash 폴더안에 파일이 있으면 메시지를 띄우게끔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러면 /var/crash 폴더를 비우면 그만이겠네요.


sudo rm /var/crash/*


네 끝입니다.


대신 rm명령은 위험하니 조심히 다뤄주세요. -rf 옵션을 넣는 순간....재미있는 일이 일어나니까요.


만약 저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나온다면 지금 사용하는 PPA를 삭제하고 공식 저장소 패키지로 돌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보통 PPA가 원인이거든요. 아니면 오류를 방치하고 쓰는 것도 방법입니다. Windows가 대표적인 그런 방식의 OS입니다. 크게 문제가 없으면 데스크탑은 오류를 달고 사니까요.

,

http://ohhara.sarang.net/omvp/bin/


Oh! Multi Video Player란 물건입니다.

IPTV의 주소를 따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스트리밍주소를 다 딸 수 있는 물건입니다.


다만 오태호란 분은 우분투 이용자이기도 해서 우분투용도 같이 제공하는데 이 쪽이 윈도용보다 쓰기가 더 편합니다.


위의 주소로 들어가면 OMVS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ubuntu 14.04용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되는데 우분투 16.04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압축을 풀면




그리고 터미널 열고 아래와 같이 명령을 줘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y install libclutter-gst-2.0-0 libpcap0.8 libgstreamer1.0-0 gstreamer1.0-plugins-good gstreamer1.0-plugins-bad gstreamer1.0-plugins-ugly gstreamer1.0-libav


이제 끝났습니다. omvs를 실행하고

https://nas.moe/archives/1433


여기를 참고하시면 주소 추출 어렵지 않습니다.(왠지 불안해서...링크로 대체합니다.)


omvs를 실행시킬 때는 관리자권한이 필요합니다.


sudo ./omvs

이렇게 명령을 내리면 되겠지요.

(WinPCAP같은 복잡한 라이브러리 필요없습니다. 우분투는 필요한 건 다 있습니다.)


대충 쓰면


sudo ./omvs -i 1 -j 4 IP/24


대충 이렇습니다.


-i 1은


ifconfig을 쳤을 때 나오는 인터페이스 번호이고 -j는 컴파일할 때 많이 봤던 스레드 갯수(멀티코어라면 그 코어 수 만큼 해주면 되겠지요.) IP대역은.... 검색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