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hub.com/kornelski/pngquant

 

GitHub - kornelski/pngquant: Lossy PNG compressor — pngquant command based on libimagequant library

Lossy PNG compressor — pngquant command based on libimagequant library - GitHub - kornelski/pngquant: Lossy PNG compressor — pngquant command based on libimagequant library

github.com

png 파일은 그림파일로 많이 쓰입니다.

사실 png는 비손실 압축이기 때문에 용량은 줄이면서 화질을 유지하고 싶은사람들에게 좋은포맷입니다.

무엇보다 워낙 오래쓰여왔기에 못 여는 프로그램이 없지요.

 

사실 png파일 하나만 써도 용량문제는 거의 해결되는데 이걸 또 한번 더 압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본 png는 24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포토샵이나 김프에서 작업한 이후에도 24비트로 만들어진 png파일이 나옵니다.

이것을 투명도를 깨뜨리지 않고 256색 png형태로 바꾸거나 JPEG수준으로 압축을 하는 형태로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TinyPNG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이게 pngquant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분투에서는 다음 명령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sudo apt install pngquant

 

데비안에도 그대로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pngquant <압축할려고 하는 파일>.png

이렇게 하면 -fs8이라는 것이 붙으면서 파일 크기가 줄어듭니다.

한번 이 스크린샷을 이용해봅시다.

이 파일의 용량은 648.4KiB 입니다.

이걸 pngquant로 한번 압축을 하면...

이겁니다만... 별 차이가 없죠? 하지만 용량은

209.8KiB로 확 줄어들었습니다.

 

이것만으로도 엄청나게 용량절약이 되는겁니다. 포토샵 플러그인등으로도 나와있으니 이를 이용하면 PNG파일의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을겁니다.

 

엄청나죠?

,

모 유튜버가 리눅스 배포판을 리뷰 하던 중 이름가지고 딴지 걸다가 결국 댓글로 사과를 한 일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영상이 안 나오는군요. 아마도 자기가 생각해도 이건 아니다 싶어서 내린듯 합니다.

저도 해당 유튜버를 신뢰했고 상당히 지식이 많다고 생각했는데 그 일이 있고 난 후 신뢰도가 바닥을 쳤습니다.
해당 댓글에 "리눅스를 써본 적이 없어서" 이 말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파더군요.

다른 IT유튜버들은 그래도 대중적인 우분투 리눅스에 대해 언급하거나 하드웨어의 성능이 리눅스에서는 이렇다는 식의 리뷰를 한적이 있어서 그래도 IT쪽이라면 그나마 지식이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이건 좀...

결국 신뢰도 하락과 더불어 저보다 지식을 낮게 지닌것으로 생각되어 해당유튜브의 구독을 끊었습니다.

사실 저보다 나은 부분도 있을겁니다. 하드웨어쪽 지식은 상당했으니까요. 하지만 그뿐이었습니다. 그럴리없겠지만 ARM과 x86의 차이는 아는건지도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

이곳은 윈도우 같은 거 좀 쓸 줄 안다고 봐주는 곳이 아닙니다. 왜 개발커뮤니티를 전쟁터라고 하는지 모른다면 더더욱...

,

보통 동전건전지는 LR44 혹은 CR2032를 주로 씁니다. 자동차 스마트열쇠나 소형 손전등에 사용되지요.

 

그런데 가끔 CR1632배터리를 쓰는 것이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CR2032보다 CR1632를 쓰는거 같더군요. 유럽산 자동차나 가전제품은 CR1632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진은 일렉트로룩스사의 청소기인데 컨트롤러 부분이 고장나서 뜯어보니

건전지 끼우는 부분에 CR1632배터리를 끼워야 하더군요. 혹시나 하고 집에 굴러다니던 CR2032배터리를 끼우려고 하니 안 들어갑니다. 당연하겠지만...

 

그래서 근처에 배터리를 사러 갔더니 CR1632는 없네요..

 

대신 다이소에서 CR1616은 팝니다.

전압은 동일하고 지름은 같습니다. 대신 두께가 반정도로 얇습니다.

CR2032는 CR1632와 두께는 동일하지만 지름이 다르지요.

 

여기서 눈치 채신분이 있을거 같은데 CR 뒤에 붙는 숫자는 지름 두자리 + 두께 두자리 입니다. 그래서 앞에 두자리가 같으면 지름이 같다는 겁니다.

 

그럼 모자란 두께는 어떻게 처리하냐면..

이렇게 쿠킹호일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걸 접고 접고 접어서 모자란 부분에 끼워넣으면 됩니다.

 

다만, 이것도 극성이 있으니 +극쪽(그니까 글씨 써있는 쪽)에 호일을 끼우시는걸 추천합니다. -극쪽에서 옆부분과 닿으면 쇼트 납니다.

 

음.... 고쳤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