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덱이 최근 핫합니다.
휴대가 가능하면서 스팀게임이 구동된다는 점 하나로 많은 점수를 먹고 있습니다.

사실... 스팀덱은 스팀OS가 깔린 UMPC입니다. GPDWin시리즈와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스팀OS는 리눅스 기반이고 Proton을 위에 얹어서 호환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Proton이 지원되지 않으면 구동되지 않습니다. 이걸 간과하고 계신분들이 있는데 Proton은 그 기반인 Wine과 마찬가지로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안티치트같이 커널모드로 돌아가는 것이 있다면 문제가 생깁니다. 그래서 안티치트가 적용된 게임이 안 돌아갑니다.

만약 내가 하는 게임이 스팀덱에서 잘 돌아가는지 궁금하다면 리눅스에서 Proton으로 구동해보거나 그냥 ProtonDB https://www.protondb.com/ 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다만 최근 Easy Anticheat와 Battleye가 지원이 되기시작했고 Xinecode도 지원계획이 있다고 했기에 추후 스팀덱에서 더 많은 게임이 구동될거라고 생각됩니다.

안티치트외에 다른 문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합니다. DirectX 호환 레이어인 DXVK(Vullan으로 구동)의 구동수준은 놀라울 정도이고 정 안 되면 Wined3d(OpenGL로 변환)로 구동하면 거의 구동됩니다.

스팀OS가 불안하다는 분도 있는데 리눅스에서 스팀깔면 차이점이 크게 없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의 안정성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즉, Proton의 업데이트는 곧 스팀덱의 성공을 만들 가능성이 높고 리눅스 게이밍의 경험을 좋게 만들게 될겁니다.

스팀덱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

이전에 Blu-ray를 우분투에서 보기위해 makemkv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했던 적이 있습니다.

참고 : https://moordev.tistory.com/322

 

지금은 사실상 유일한 블루레이 리핑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DVD시절에는 DVDFab, Handbrake 등 여러수단이 있었지만 Blu-ray는 이상한 DRM을 넣어놓아서 굉장히 어려워 졌습니다. (그마저도 재생을 방해하는 수준입니다.)

 

심지어 4k 시대에 들어오면서 DRM이 너무 심해져서 그냥 4k BD대신 넷플릭스를 권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넷플릭스에 비해 워낙 화질이 좋다보니 BD로 나오면 이쪽으로 보고 싶어지는데 그냥보지 말라는 수준으로 만들어 놓아서 사놓아도 쓸 수가 없습니다. 그나마 PS5나 엑스박스정도만이 편하게 감상이 가능합니다.

 

이쯤되면 그냥 리핑해서 영상을 USB나 SD카드에 담은 다음 BD는 책꽂이 구석에 박아두는게 더 유리할겁니다. 그러려면 어찌되었건 리핑을 해야합니다.

제가 갖고 있는 것은 HP노트북에 끼워주었던 CU10N이라는 BD DVD RW 드라이브 입니다. DVD나 CD는 구울 수 있지만 BD는 못 굽습니다.

 

그런데 모든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리핑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심지어 기존 FHD 블루레이는 리핑이 되지만 4k는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그냥 최신 DRM이 지원이 안되서 BD재생은 폼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삽질이 필요한데 리핑 가능성을 보고 싶다면 MakeMKV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오른쪽에 LibreDrive Information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 필요없고 Status에서 Enable 되면 4k UHD도 리핑이 가능합니다.

Possible이라고 되어있으면 수정된 펌웨어를 입히는 것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Hardware Support가 No라고 되어있으면 포기하세요.

 

대부분 BD Drive는 LG-Hitachi의 제품을 추천합니다. 저는 다행히 OEM제품인데도 불구하고 Enable로 되어있습니다. (아무래도 LG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엥간하면 지원이 된다는 거지요. 특히 Drive Platform이 MT1959면 다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3월중에 4K BD가 하나 올 예정인데 그때 한번 이걸로 시도해봐야 할 듯 합니다.

,

https://github.com/kornelski/pngquant

 

GitHub - kornelski/pngquant: Lossy PNG compressor — pngquant command based on libimagequant library

Lossy PNG compressor — pngquant command based on libimagequant library - GitHub - kornelski/pngquant: Lossy PNG compressor — pngquant command based on libimagequant library

github.com

png 파일은 그림파일로 많이 쓰입니다.

사실 png는 비손실 압축이기 때문에 용량은 줄이면서 화질을 유지하고 싶은사람들에게 좋은포맷입니다.

무엇보다 워낙 오래쓰여왔기에 못 여는 프로그램이 없지요.

 

사실 png파일 하나만 써도 용량문제는 거의 해결되는데 이걸 또 한번 더 압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본 png는 24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포토샵이나 김프에서 작업한 이후에도 24비트로 만들어진 png파일이 나옵니다.

이것을 투명도를 깨뜨리지 않고 256색 png형태로 바꾸거나 JPEG수준으로 압축을 하는 형태로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TinyPNG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이게 pngquant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분투에서는 다음 명령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sudo apt install pngquant

 

데비안에도 그대로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pngquant <압축할려고 하는 파일>.png

이렇게 하면 -fs8이라는 것이 붙으면서 파일 크기가 줄어듭니다.

한번 이 스크린샷을 이용해봅시다.

이 파일의 용량은 648.4KiB 입니다.

이걸 pngquant로 한번 압축을 하면...

이겁니다만... 별 차이가 없죠? 하지만 용량은

209.8KiB로 확 줄어들었습니다.

 

이것만으로도 엄청나게 용량절약이 되는겁니다. 포토샵 플러그인등으로도 나와있으니 이를 이용하면 PNG파일의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을겁니다.

 

엄청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