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rive.google.com/open?id=1O5SLc6hdE6UgkTRzJIR2NSgKfjvXoO6L


MD5: 511fe57e427757adf362011468bf2ab2  linuxmint-19-mate-64bit-Moordev.iso



위 주소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그동안 한국어 설정이 된 버전을 자주 배포했지만 저번 ubuntuMATE버전의 피드백을 받아 이번에는 수정을 최소화 했습니다.


기존 리눅스민트와 다른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어 설정이 완료되어있습니다. 한국어 언어팩도 기본으로 설치되어있습니다.

2. 나눔폰트와 Noto폰트 그리고 스팀게임의 한글을 위해 wqy-ttf-zenhei가 설치되었습니다.

3. 한글입력기를 fcitx로 기본 설정되어있습니다.

4. ALZ, EGG압축해제를 위해 Arkzip이 설치되었습니다. 파일탐색기에서 arkzip으로 열기를 하시면 ALZ와 EGG압축을 풀 수있습니다.

5. HWP를 열기 위해 한글뷰어를 설치했습니다.

6. 결국 피드백을 받아 Firefox용 Adobe-FlashPlugin을 설치했습니다.

7. 기본으로는 빠져있는 코덱을 사전 설치했습니다.

8. Windows10테마를 추가는 하였으나 기본 설정하지는 않았습니다.

9. 사진작가 허태무님의 사진을 기본 배경으로 설정 및 추가했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pho_taem/)

10. Bleachbit를 설치했습니다.


11. Gabia폰트, Spoka폰트, 서울폰트를 추가했습니다.

,

이전에 리눅스에서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바꾸는 작업을 알려드렸습니다. 이유가 바로 이 게임 때문인데 Life is Strange라는 게임입니다. Feral이란 곳에서 리눅스용으로 포팅을 했고 현재 스팀에 입점한 상태입니다. (Square Enix 게임은 요즘 리눅스용이 잘 나옵니다.)


그러나 한글패치는 역시나 윈도용 기준으로 나와 있었고 이것을 수정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파일과 폴더명만 소문자로 바꾸면 되는 것이었기에 크게 문제는 없었습니다.


한글패치 원본은 https://blog.naver.com/kibme0325/220624344482

여기입니다. 이곳의 것을 리눅스용에 맞게 수정했습니다.


LifeisStrange통합4Linux.7z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받아서

스팀 기본판 기준으로 

~/.steam/steam/steamapps/common/Life Is Strange/share/data/lifeisstrangegame


이곳으로 들어가서 덮어 주시면 한글패치가 됩니다.


정 모르겠으면

스팀에서 Life is Strange의 속성으로 들어간다음


로컬파일의 로컬 콘텐츠 폴더 보기를 누릅니다.


그리고...

share/data/lifeisstrangegame

순서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에다가 위에서 압축을 한 내용물을 풀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실행하면

놀라지 마세요. 여긴 기본적인 게임 설정창일 뿐입니다. 조용히 Display쪽을 살짝 들어가서 손을 보시기 바랍니다. Feral에서 제작한 것이기에 아직 한글화가 안 된 것 뿐입니다. 아래의 Play버튼을 클릭


확인해보면 한글화가 잘 적용 되었습니다.


이로서 리눅스버전의 Life is Strange를 한국어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discord 이전에 자주 사용되었던 팀보이스와 스카이프를 대신 할 수 있는 훌륭한 목소리 채팅 프로그램입니다. 음질은 팀보이스보다 훨씬 좋고 딜레이는 스카이프수준입니다. (제일 가까운 서버가 일본에 있어서 이 정도지 더 빠를 수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리눅스에서도 게임을 자주 하기 때문에 디스코드를 사용할 일이 많은데 우분투계열에서 Discord를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다만, 약간 속은 기분이 들지도 몰라요.


https://discordapp.com/download

이쪽으로 접속합시다.



그러면 알아서 OS에 맞춰서 데스크톱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우분투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deb으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물론 Deb이 지원 안 되는 배포판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tar.gz도 배포하고 있습니다.


deb을 다운로드 받으면 그냥 설치가 가능하겠지요. 설마 이것도 못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터미널을 사용하는 변태는

sudo dpkg -i discord*.deb


물론 그냥 마우스로 실행해서 설치하는게 제일 빠릅니다.


그리고 실행하면 그냥 별 문제없이 됩니다....


그리고 한번 로그인하라고 브라우저가 실행되는데 그냥 디스코드에 가입하고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쉬워요.


그러면...


네 끝났습니다. 이제 그냥 쓰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discord 사용방법만 아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게 가능한 이유를 알면 황당하실지도 몰라요.

사실 이건 HTML5의 위엄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따로 데스크톱앱을 설치하지 않고도 웹브라우저에서 사용이 가능 한 것을 알 수 있는데 그게 HTML5를 쓰기 때문입니다. 그럼 데스크톱앱은 뭐냐... 그냥 자체 브라우저 만들어서 띄운겁니다. 끝이에요.


제가 속은거 같은 기분이 들지도 모른다고 한 이유가 이겁니다. 하지만 이게 기존 스카이프나 팀보이스보다 더 성능이 좋다는 것...


아무튼 우분투에서 디스코드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뭔가 정말 속은 기분이야...)

,

VirtualBox는 다들 알고 계실겁니다.

가상머신. 이 한마디면 충분하지요.

https://www.virtualbox.org/


어느새 버전이 5.2까지 나오게 된 오픈소스 가상머신 VirtualBox.


리눅스에서 Windows환경이 필요할 때 가장 마지막으로 쓸 수 있는 비장의 카드가 바로 이것이다.


그런데 VirtualBox는 반응속도는 빠르지만 IO속도에 문제가 많다보니 VMware와 비교해서 성능이 많이 까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IO로 인하여 소리가 깨진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일단 VirtualBox에 Windows를 깔고 아무 음악이나 틀어보세요. 조금 잘 나간다 싶다가도 갑자기 버벅 거리면서 깨지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특히 리눅스 호스트에서 Windows를 설치할 경우 이러한 깨지는 소리가 왕창 늘어나는데 리눅스의 성능 문제가 아닌 드라이버와 오디오 서버간 레이턴시 문제가 발생해서 그렇습니다. 가끔 Windows에서 동영상을 돌려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빌어먹을 정부...) 소리가 왕창 깨지는 것을 듣다보면 귀가 썩는 느낌이 듭니다.


그런데 그게 저만 그런게 아니더군요.

https://www.virtualbox.org/ticket/15925


다들 해당 현상에 대해 고통을 호소(?)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Bilikumar란 분이 해결책을 알려주셨습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ALSA를 사용하고 인텔HD오디오 대신 ICH AC97을 선택하라.

그리고 가상머신에서 Realtek AC97 드라이버를 설치.

http://www.realtek.com.tw/downloads/downloadsView.aspx?Langid=1&PNid=23&PFid=23&Level=4&Conn=3&DownTypeID=3&GetDown=false


일단.. 그렇게 해보았습니다.


우선 가상머신 설정에서




위에 나온 것을 아래의 것으로 바꿔줍니다.

호스트 오디오 드라이버를 ALSA(시스템에 따라 PulseAudio가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로 오디오 컨트롤러를 ICH AC97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http://www.realtek.com.tw/downloads/downloadsView.aspx?Langid=1&PNid=23&PFid=23&Level=4&Conn=3&DownTypeID=3&GetDown=false


여기로 들어가서...

Accept를 해준 다음.


Vista Win7용으로 나온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물론 가상머신에서 다운로드 받아야 편합니다. 가능하면 호스트에서 다운받아 공유폴더로 넣어도 됩니다.


그리고 Windows10의 드라이버 서명을 잠시 중지해야 합니다.

참고 : https://www.howtogeek.com/167723/how-to-disable-driver-signature-verification-on-64-bit-windows-8.1-so-that-you-can-install-unsigned-drivers/


우리는 커맨드가 익숙하니까 커맨드로 하는게 좋겠지요.

시작메뉴에서 cmd를 친 다음 명령프롬프트에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그 다음에 다음 명령을 줍니다.


bcdedit /set testsigning on

작업을 완료했습니다가 뜨면 오케이.


그리고 가상머신 재부팅


그 다음 드라이버 설치를 합니다.


여기에서 그냥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를 누르자.


가상머신에서 쭉쭉 설치해줍니다.

그리고 가상머신 다시 재시작


이로서 더러운 가상머신 세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가상머신일 뿐이지만)재부팅만 대체 몇번 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인텔HD 오디오가 아무 문제 없었으면 이 고생은 안 했을지도 모릅니다.


이걸로 상당히 버벅거리면서 깨지는 소리를 해결이 되었습니다.

,

이제 곧 6월 4일(세계 표준시 기준)에 리눅스 민트 19 Tara의 베타버전이 배포됩니다.


사실 이미 테스트버전이 FTP를 통해 배포중이었습니다. ftp://ftp.heanet.ie/pub/linuxmint.com/testing/


이미 이쪽을 통해 사전 다운로드가 가능했었다.



하지만 공식홈페이지에는 아직 올라오진 않고 있었는데 이번 6월 4일을 기준으로 공식적인 19 Tara의 베타버전이 배포될 예정입니다. 이번 리눅스 민트 19는 기존 16.04기반의 18.x버전과 달리 우분투 최신 버전인 18.04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분투 18.04에서 개선된 것이 적용이 될 것입니다. (인텔의 Meltdown 완화 패치 포함) 


큰 기대는 하지 않지만 반대로 실망은 절대로 하지 않는 배포판이기에 초보자 및 본격적인 데스크탑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많이 추천하는 배포판입니다. 우리나라의 HamoniKR프로젝트(http://hamonikr.org/)도 이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저도 이걸 기반으로 배포를 많이 했었지요. 


일단 우분투 18.04기반이기에 그동안 우분투 18.04가 쌓은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따라서 개인 PPA들이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이용이 가능합니다. 18.2에서 18.3으로 넘어갈 때에는 Time Shift기능을 통해서 차별화를 했는데 이번에는 어떤 것을 가져올지 기대되는군요.


Tara버전의 베타버전이 나오면 일단 써보면서 이런저런 것을 해야겠지요.

,

윈도우10이 기본 테마 https://b00merang.weebly.com/windows-10.html 여기서 만든 테마를 넣었다. 아주 좋소!

하모니카 바탕화면(http://hamonikr.org/board_KtxL32) 에 올라온 것을 적당히 추려서 추가해 넣었다.

정말로 워드 아닙니다. 테마를 설정했더니 워드 아이콘이 박혀버렸습니다.

우분투18.04가 발표된지 꽤 지났습니다.


처음에 조금 문제가 많았지만 그래도 많이 안정화 되었고 이제 우분투 18.04로 업그레이드를 조금 생각해봐도 좋을 시기가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우분투... 는 아니고 우분투 마테(ubuntuMATE)를 한국어로 설정한 이미지를 공유합니다.


사실 그동안 쭉 공유해왔던 리눅스민트 한국어버전이나 우분투 16.04기반 한국어화 버전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제가 따로 만들어 넣은 것도 없고 추가 번역을 한 것도 없습니다. 오로지 깔고 귀찮은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없는 것을 바라는 마음에서 세팅을 완료한 버전을 공유하는 것이지요.


이번 우분투 마테 한국어 버전의 기본 버전과 다른 수정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어 설정 완료(물론 설치할 때 설정합니다.)

2. 한국 시간 설정 완료(물론 설치할 때 설정합니다.)

3. 기본 한글 입력기 fcitx 설정 완료

4. 기본 키보드 한국어 104키 호환 레이아웃(노트북 한/영키 지원)

5. 한컴 뷰어 설치

6. arkzip 설치(Egg, Alz 해제 가능)(https://github.com/Thestars3/arkzip)

7. Bleachbit 설치(캐시 등 찌꺼기 제거 프로그램)

8. 깨진 한글 파일명을 고쳐주는 Filename-Repairer 설치

9. BriskMenu 일부 자체 한글화

10. 기본 저장소 카카오 미러(mirror.kakako.com)로 설정

11. Windows10테마 기본 설정(https://b00merang.weebly.com/windows-10.html)

12. 기본 배경화면 일부 추가(하모니카 바탕화면 자랑 게시판 이미지 http://hamonikr.org/board_KtxL32)

13.Spoka-Han-Sans 폰트 설치(https://spoqa.github.io/spoqa-han-sans/ko-KR/)

14. Gabia 폰트 설치(https://company.gabia.com/font)


Windows10테마를 설정하는 방법은 http://moordev.tistory.com/238 여기를 참고하세요. 이런 식으로 만들었습니다.


다운로드:

https://drive.google.com/open?id=1nsrwa9wld7DLfvHiciqJcgzndUNOev0s


MD5:

47260ae1d6b9a7a1b791b36ba5efd97a  ubuntu-mate-18.04.0-2018.05.02-desktop-amd64.iso

,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일부 사람들에 한해서 우분투 업데이트를 시도 하던 중에 dpkg(설치 프로세스)가 랜덤하게 튕기는 증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다시 정상화 된 것처럼 보이는데 어떻게 될지는 아직 저도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아마도 제 예상에는 우분투 18.04 업그레이드를 위해 과도한 업데이트 요청이 쏟아지면서 각 업데이트 미러 서버 동기화에 문제가 생긴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웃긴것은 업데이트가 알 수 없는 오류로 중단 된 이후 다시 업데이트를 시도(apt upgrade)하면 또 업그레이드가 정상적으로 된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우분투 출시 초기의 혼란으로 보이므로 만약 패키지 설치 중 오류가 발생하신다면 차분하게 다시 시도를 해보세요. 혹은 상대적으로 넉넉한 용량을 확보한 하루카상 서버(부경대) ftp.harukasan.org 를 이용하시면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한번 잠깐 오류가 나는 것이 아닌 만약 패키지의 지속적인 설치 오류가 난다면 그것은 문제가 있는 것이니 꼭 버그리포트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2018년 4월 현재 한국에서 가장 빠른 오픈소스 미러 서버는 다음카카오 입니다.


이전에는 그냥 Daum이었지요.


그래서 이전에는 저장소를 쓸 때

http://ftp.daum.net


이렇게 썼는데 다음과 카카오가 합병한 이후에는 주소가 바뀌어서


http://ftp.daumkakao.com


이렇게 바뀌었고 저도 이렇게 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주소가 또 바뀌었네요? 물론 리다이렉트 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지만 어딘가 한군데를 더 거치는 것이 걸리적거리니...


http://mirror.kakao.com/


여기로 바뀌었습니다. 이젠 다음이란 이름을 싹 날려버리고 오로지 카카오로 통일하려고 하는군요. 카카오가 거대기업이 되더니 느낌이 어째 쎄합니다? 통근버스가 동네 학원버스였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세상 참 빨리 변하네요. 이젠 괴물로 보이기 시작하다니...


인터페이스도 훨씬 더 예뻐졌습니다. 보통은 이 화면을 보기전에 그냥 컴컴한 CMD화면에서 주소를 바꾸기 때문에 잘 모르시긴 하겠지만...

,


LibreOffice가 어느새 6.0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기존 5.0보다 더욱 좋아진 기능으로 무장했고 더욱 호환성을 높혔습니다.


그런데 그에대한 반동으로 상당히 무거워졌습니다. 왠지 MSOffice가 갔던 그 길을 따라가는 것 같아 슬프네요.


하지만 뭐 이걸 어느정도 완화 할 수 는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무거워 진 것은 어쩔 수 없으니 답답하면 버전을 낮추기라도 해야겠지요. (....아니면 이참에 다른 것으로 바꿔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일단 LibreOffice의 아무 프로그램이나 실행한 다음

도구-옵션으로 들어갑니다.


그다음 Advanced를 찾아 들어갑니다. 아직 번역이 완벽히 되지 않아서 한글과 영문이 섞여 있습니다.


여기서 Open Expoert Configuration 즉, 전문가 설정을 눌러 들어가도록 합시다.

참고로 여기서 JAVA를 꺼주시면 조금이나마 더 성능이 나아지기도 합니다. 대신 일부 기능을 못 씁니다.



여기서 org.openoffice.Office.Common에서 Cache -> GraphicManager 순으로 열어서 확인합니다.


여기서 캐시크기를 늘려주면 그림이 많은 문서를 작업할 때 캐시를 확보해서 어느정도 버벅임을 줄일 수 있습니다. TotalCacheSize와 ObjectCacheSize를 늘려주세요. 물론 적당히 늘려야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겠죠?


그리고 확인을 누른다음 옵션에서 보기를 누릅니다.



그래픽출력을 확인해보시면 하드웨어가속 사용이 있는데 시스템에 따라 하드웨어가속을 써야 빠른 경우가 있고 하드웨어 가속을 꺼야 빠른 경우가 있습니다. 그건 상황에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OpenGL렌더링 사용은 왠만하면 체크해두세요. Ignore OpenGL Blacklist는 체크를 해서 쓰다가 렌더링이 깨지면 그냥 OpenGL 사용 자체를 꺼주세요. 일부 GPU에서 렌더링이 깨진다고 합니다.


일단 이렇게만 해도 적당히 돌아는 갑니다. 그런데 아직도 답답하다면 LibreOffice를 다운그레이드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뭐... 차차 나아지겠지요.

,

유명한 프로그램입니다. Windows에서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Blustacks나 MEmu같은 프로그램들이 있어서 묻히는 감이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안드로이드 게임을 하려면 선택지가 이거 밖에는 없습니다.


개발자 킷에 있는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는 아시다시피 느려서 OpenGL굴리려고 하면 답답함이 많습니다. 그에비해 Genymotion은 OpenGL신호를 그대로 납치해서 PC의 OpenGL 신호로 뿌려버립니다. 덕분에 빠른 속도로 안드로이드 게임(...)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홈페이지는 여기입니다. https://www.genymotion.com/


오른쪽 위의 Sign In을 클릭


여기서 가입하고 Genymotion을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그런데...


무리 봐도 Trial버전밖에는 안 보입니다. 하지만 무료 개인용 버전이 있습니다. 바로 Resource를 누른다음 Funzone으로 가면 됩니다. 그냥 바로 가시려면


https://www.genymotion.com/fun-zone/


그러면 Genymotion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그러면 왠 bin파일이 덜렁 나오는데 여기서 해당 파일의 속성을 잠시 바꿔줘야 합니다.


bin파일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에 들어가신 다음 권한 탭에서 "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실행 허용"을 체크합니다.




만약 터미널에서 작업 하시겠다면


sudo chmod +x genymotion~~.bin


그리고 터미널로 해당 파일이 있는 곳으로 넘어가서

(cd bin파일이 있는 곳)

sudo ./genymotion~~.bin


이렇게 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virtualbox는 미리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아직 설치가 안 되었다면

sudo apt install virtualbox


그러면 메뉴에 Genymotion이 추가됩니다.

리눅스 민트 기준 개발 탭에 가면 있다.

처음에 설치하면 가상머신을 만들까요? 하고 물어봅니다. 여기서 Yes를 눌러도 되고 No 를 눌러도 이후 Add 버튼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기종을 선택 Android 버전은 이왕이면 4.4 이후를 추천한다. 이유는 아래에서 알려줍니다.

여기까지 오면 Finish를 눌러서 종료

바로 실행하기 전에 몽키스패너 모양을 눌러서 세부 조정이 가능합니다. 특히 해상도는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데 너무 해상도가 높으면 버벅거리고 너무 해상도가 낮으면 화면이 작아 보이지요.


여기서 적당히 선택을 하지 않으면 난감한 상황이 터집니다.


이렇게 부팅이 됩니다.

하지만 딱 보면 난감한 것이 우선 Play스토어가 없어서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그렇지만 한방에 끝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부팅이 완료 된후 오른쪽 위의 버튼을 주목해주세요. OpenGapps란 아이콘이 보입니다. 이게 Gapps 즉, 구글 앱을 설치해주는 메뉴입니다.


다만 이 기능은 OpenGapps가 4.4 이후부터 지원하므로 이전버전인 4.2, .4.3 등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가 4.4 이후로 하는 것이 좋다고 한 것입니다. 이 전 버전은 직접 ADB를 이용해서 gapps를 넣어줘야 합니다.


이것을 눌러주면 PlayStore가 생깁니다. 이후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사용과 동일합니다.


아차. 언어가 영어라서 난감하시다고요? (Genymotion은 영문인터페이스인데 이건 어떻게 하셨습니까..?)


간단합니다 Settings에 들어가시면 Language가 있습니다. 여기서 한국어를 찾아서 바꿔주시면 됩니다. 참 쉽죠?

4.4 Kitkat의 화면이지만 최신판인 Oreo도 Language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거의 비슷하다.


그리고 Playstore에서 추가로 Google 한국어 입력기를 설치해주시면 한글 입력도 됩니다. 물론 한영 전환은 아래에 뜨는 언어 전환 아이콘을 써야하지만요.


다만, 아직도 불안정한 면이 있고 메모리가 부족하면 그대로 튕기는 등 애매한면이 많습니다. 그래도 되는게 얼마입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