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봇이란 물건이 있습니다. 일종의 인공지능 대화상대인데 특정 대화방(채팅룸)에서 특정 키워드가 나오면 해당 키워드에 맞는 대답을 해주는 물건입니다.
이미 잘 이용되는 물건으로는 간단하게는 심심이가 있고 Youtube와 TwitchTV에서 사용하는 NightBot, MooBot등이 있고 인공지능 대화용으로 만들어진 MS의 테이(Tay)나 구글의 채팅봇도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해 알려주는 채팅봇도 있습니다.
사실 인공지능까지는 아니더라도 간단하게 유튜브나 TwitchTV등에서 방송하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봇들은 이미 많이 쓰이고 있지요. 이들의 조상은 IRC에 플러그인 방식으로 사용되어서 해당 채팅방에서 물을 흐리는 몇몇 또라이들을 추방하거나 욕설등을 가려주는 등 IRC의 심판으로 쓰였던 그런 물건이 시초라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몇가지 키워드를 더 추가해서 특정 키워드가 나오면 대신 대답을 해주거나 간단한 대화기능을 넣는 등 발전을 했고 이후 지금의 시리같은 인공지능 기술과 음성인식 기술이 접목되어 굉장히 편리해졌지요.
지금 많이 이용되는 채팅봇 혹은 전자비서의 조상은 IRC의 플러그인들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사진은 IRC클라이언트 중 제일 유명한 mIRC의 로고
이런 쪽에 제가 관심을 갖게 된 원인은 한 때 유명했지만 지금은 그저그런 Twitch Plays Pokemon때문이었습니다.
Twitch Plays Pokemon은 말 그대로 TwitchTV방송의 채팅을 통해 직접 게임을 움직여서 게임을 하는 특이한 방송이었습니다. 지금은 시들하지만 처음에는 방송을 보려는 사람들로 붐볐었습니다. 문제는 그만큼 컨트롤이 산으로 갔다는 것이지만...
당시 이슈가 되었던 Twitch Plays Pokemon 방송.
사공들의 수많은 채팅들을 봇이 읽어들여서 게임을 하는 그런 방송이었다.
해당 방송의 방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사람들이 채팅방에 특정 키워드(right, left, up, down, a, b, start, select 등)을 치면 게임과 함께 연동되는 봇이 해당 명령에 맞는 기능을 게임에 전달하여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TwitchTV의 채팅이 기존의 IRC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이었습니다. TwitchTV는 채팅방식을 공개된 IRC프로토콜을 이용하되 약간의 보안을 적용해서 사용했기 때문에(그나마 그 보안도 알려진 방식입니다.) 기존의 IRC봇을 만들기 쉬웠습니다. 실제로 여기에 쓰인 플러그인과 비슷하게 구현된 소스코드도 공개되어 있지요.
https://github.com/hzoo/TwitchPlaysX
https://github.com/sunshinekitty/TwitchPlaysPokemon
위 github가 해당 플러그인을 구현한 소스코드입니다. IRC를 기반으로 키보드 혹은 마우스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되어있지요.
채팅을 할 수 있는 방송은 TwitchTV만 있는 것은 아니지요. Twitch외에도 Youtube가 있고 국내에서는 DaumTV팟도 있습니다. (아프리카TV는 너무 구식이기 때문에 예외로 합시다.)
1. 실시간 방송이 가능하고
2. 동시에 채팅도 할 수 있으며
3. 여러명이 달려들어도 서버상태가 괜찮다면
이런 류의 봇을 직접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네, 사실은 안일한 생각이었습니다. 대다수 서비스는 IRC기반이 아닌 다른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고 해당 프로토콜을 알아내는 것은 굉장히 어려웠습니다. TwitchTV가 알려진 방식을 사용한 특이 케이스였던 것입니다.
그런데 Youtube는 API를 통해 채팅봇을 만들 수 있게끔 공개가 되어있었고 실제로 NightBot이란 봇이 이미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즉, Youtube는 충분히 이러한 봇제작이 가능하다는 의미였지요.
https://developers.google.com/youtube/v3/live/docs/liveChatMessages/list
"그래! 그럼 나도 ChatBot이란 것을 한 번 만들어보자!"라는 생각으로 시작을 해봤습니다.
결과는...당연하게도 참패.
YoutubeAPI는 생각보다 요구하는 것이 너무 많았습니다. 저는 그저 채팅 내용을 읽어들인다음 키워드분석을 하는 것을 원했는데 해당 채팅방의 전반적인 것을 다 API로 세팅하게 만들어져 있더군요. 전반적인 IRC봇이 그렇기는 하지만 위의 TwitchPlaysPokemon의 소스코드는 그렇게 복잡하게 만들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즉,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설정을 요구했던 것입니다.
처음에는 그냥 장난으로 시작한 것인데 이런식으로 흘러가다간 올해안에 ChatBot은 커녕 비슷한 것도 만들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세상은 넓고 꼼수는 많습니다. 그리고 그 꼼수는 간단한 아이디어부터 시작되었습니다.
"Youtube나 TwitchTV나 웹페이지에서 채팅이 가능하다."
특히 Youtube는 어딘가의 방송시스템 처럼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지 않고 웹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웹페이지 분석을 하면 채팅의 키워드를 읽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Youtube는 편의를 위해 채팅창만 따로 빼서 쓸 수 있게 할 수 있는데 즉, 채팅페이지를 따로 찾을 필요없이 해당 채팅창만 분석, 확인하면 채팅창으로 올라오는 키워드를 읽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게다가 해당 페이지의 주소를 긁어내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당장 위 스크린샷만 봐도 창 주소를 바로 읽을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저 페이지주소는 어떤 웹브라우저를 사용해도 똑같습니다. (어딘가의 무언가와 다르게 말입니다.)
그렇다면 소스보기를 통해 채팅창의 코드 분석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므로 어떤 Element(요소)가 채팅 메시지 요소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해당 작업에는 크롬의 개발자도구가 유용하게 쓰였습니다. 분석 시작 15분만에 코드를 찾아냈으니까요. 하지만 이후는 노가다로 귀결된 것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채팅 메시지는 해당 페이지에서 content라는 이름으로 찾으면 (아이디)+(메시지)형태의 리스트로 되어있었고 author-name이라는 이름으로 찾으면 채팅창에 떠있는 아이디를 리스트형태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두 리스트를 이용해서 메시지만 뽑아낼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채팅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데 새로운 메시지는 어떻게 아냐고요? 위 작업을 그냥 계속 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전 리스트와 새 리스트를 비교한 다음 추가된 것만 뽑으면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걸 만들까요? Selenium이란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에 덧붙여서 사용하는 웹 자동화 모듈이 있는데 이것을 Youtube채팅페이지를 띄워서 해당 요소를 찾으면 되는 것입니다.
(http://www.seleniumhq.org/projects/webdriver/)
Chrome, Firefox, Safari 등 유명 웹브라우저와 함께 PhantomJS란 따로 UI를 제공하지 않지만 WEB접속을 해주는 Selenium을 위한 웹브라우징 엔진도 지원합니다. 저는 Firefox에 Selenium을 설치한 후 읽어들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문장처리는 Python으로 처리를 했습니다. Selenium의 예제는 JAVA로 되어있지만 Python이 문자열 처리는 월등하기 때문에(대신 느린것은 어쩔 수 없지요.) Python Wrapper를 찾았더니 있더군요. pip로 쉽게 설치 할 수 있었습니다.
sudo pip install selenium
혹은
sudo pip3 install selenium
만약 pip(Python2)나 pip3(Python3)가 없으시면 우분투의경우 저장소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2017년 현재에는 Python3가 낫겠지요.
그리고 WebDriver를 설치해야 하는데
Firefox는 https://github.com/mozilla/geckodriver/releases
여기서 geckodriver를
Chrome은 https://sites.google.com/a/chromium.org/chromedriver/
여기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 /usr/bin에 넣어주시면 알아서 활성화가 됩니다.
PhantomJS는 그냥 PhantomJS를 저장소에서 설치하시면 알아서 활성화가 되므로 상관이 없습니다.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driver = webdriver.Firefox() #Firefox가 싫음 PanthomJS나 Chrome도 상관없다.
#Youtube chat room's page URL driver.get(' 유튜브 채팅창 URL') driver.implicitly_wait(10) |
요렇게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면 웹브라우저가 하나 실행되면서 Webdriver를 통해 자동화가 가능하게 됩니다.
위 코드 다음
id_msg = driver.find_elements_by_xpath('//*[@id="content"]') id_l = driver.find_elements_by_xpath('//*[@id="author-name"]') |
이렇게 하면 id_msg란 리스트에는 content항목인 요소들이 들어가고 id_l이란 리스트에는 author-name이란 이름의 요소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xpath란 것은 W3C에서 요소들을 쉽게 쓸 수있도록 XML형태로 만든 규약인데 자세한 것은 따로 찾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print (id_msg[0].text)
print (id_l[0].text)
|
이렇게 하시면 해당 채팅창의 제일 첫 메시지의 아이디와 문장이 콘솔창에 뜨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채팅창의 메시지를 읽어들이는데에 성공한 것이지요. 그렇다면 문자열을 조작하고 Tokenizer를 통해 단어별로 자른다음 키워드를 분석하면 봇을 충분히 만들 수 있겠지요?
일단 오늘은 Youtube의 채팅창의 내용을 읽어들이는 것까지만 하고 나머지는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예시는 위의 방식을 이용해서 Youtube의 채팅창의 내용을 콘솔창에 계속 띄우는 소스코드입니다.
https://colorscripter.com/s/h7ME3n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