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LE에는 기본적으로 들어있지만 Lubuntu에는 들어있지 않은 메뉴 편집기입니다. 메뉴 편집기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Menulibre가 가장 호평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보통은 Gnome메뉴만 지원하는데 KDE에서도 상당히 쓸만하며 인터페이스도 깔끔하기 때문입니다.



Menulibre의 모습. Gnome스럽게 굉장히 깔끔하다.


PPA는 여기입니다. ppa:menulibre-dev/daily


sudo add-repository ppa:menulibre-dev/daily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menulibre


위 명령어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만든 메뉴 바로가기는 ~/.local/application에 만들어지는데

/usr/share/applications 여기에도 바로가기들이 있기 때문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것도 하나 더 있어야 편리합니다. 즉 BleachBit처럼 관리자권한 바로가기 하나와 유저권한 하나 이렇게 두가지로 만들어두셔야 메뉴 편집이 요긴하게 쓰일 겁니다.



/usr/share/applications 여기에다가 바로가기를 하나 더 만들어서 gksu를 붙이자. 이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놈이다.


,

 저는 한동안 Lubuntu를 제 입맛에 맞게 튜닝해서 써왔습니다. 그런데 EFI파티션에 문제가 생겼는지 지난 설 연휴 막바지에 갑자기 부팅이 안되는 상황에 빠졌습니다. 제가 아직 HDD를 쓰고 있던터라 HDD에 충격이 가거나 한 줄 알았는데 다행히도 Live부팅을 하니 데이터는 고스란히 남아있더군요.


이전에 만들어두었던 USB메모리로 EFI를 복구하고 Grub을 다시 올렸는데 여기서 실수 했습니다.


저는 몰랐습니다. EFI부팅을 했다면 EFI부팅을 한 Live리눅스에서 복구를 해야하는 것을 말이지요. 아무래도 LiveUSB는 범용성을 지녀야 하기 때문에 Legacy부트 방식으로 만들어 놓았는데 Grub을 레거시에서 올리니 당연히 Grub을 빠이빠이~ 해버렸습니다. (grub-efi와 grub-pc와의 차이라고 합니다.)

GPT와 MBR(EFI부트는 GPT파티션으로, Legacy부트는 MBR부트방식으로 해야한다네요. 우분투는 그런거 없이 보통 부팅되었지만)간의 차이가 문제를 일으킨다고 하네요.


결국 /home파티션만 살리고 처음부터 다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home에서 .config일부와 몇몇 프로그램 설정을 제외하고 일단 숨김폴더는 싹다 지웠습니다. 나머지 파티션도 깔끔하게 포맷하고 어떤 배포판을 올릴까 고민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그동안 편하게 잘 썼던 민트를 생각했었는데 묵직한 느낌이 아직도 있어서 넘어가고 LXDE(LXQT)계열로 생각했습니다. wayland기반의 MauiOS도 시도했는데 AMD라 그런지 GUI가 안 뜹니다. 일단 이건 포기. Arch리눅스도 관심이 많아서 어떨까 했는데 (ArchBang)라이브 만으로도 굉장한 성능을 뿜어주었지만 당장 일처리를 해야하는데 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도로)우분투나 데비안 계열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그러다 이전에 썼던 LXLE가 생각나서 이번에 다시 설치했는데 EFI부트가 지원이 되더군요? 그래서 다시 LXLE로 시스템을 꾸몄습니다. 실컷 설치 하고보니 이전에 제가 쓰던것과 큰 차이가 없네요. Openbox대신 icewm같은 걸로 바꿔볼까도 생각했는데 굳이 그럴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Openbox도 안정적이면서 가볍고 TinyWM거라면 모를까 메모리 사용률이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TinyWM에 대해서는 나중에 살짝 맛보기 용도로 포스트 해보겠습니다.)


LXLE를 그냥 저냥 쓰고있는데 OS를 새로 설치했다는 느낌이 전혀 안 듭니다. 심지어 제가 튜닝했던 것이 LXLE에서는 그냥 기본 세팅이네요. 일단 느낌은 좋습니다. 홈페이지에서의 소개와는 다르게 가볍다는 느낌은 전혀 안 들지만 Lubuntu를 편리하게 만들었다는 느낌입니다. 어쨌건 블로그 명칭은 안 바꿉니다. LXLE도 어쨌건 우분투 계열이니까요.

,

우분투를 설치할 때 요즘은 당연히 키보드 레이아웃을 한국어로 설정합니다. 한/영키가 따로 없는 노트북은 Alt키가 한영을 대신하는 104키호환으로 설정하고요. 하지만 8.04 시절만 하더라도 한국어가 따로 없어서 미국레이아웃을 사용했습니다. 사실 한국에선느 qwerty기반의 자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US자판을 사용해도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다만 노트북에서 Alt를 한영키로 인식하지 않아 헷갈릴 뿐입니다.


ibus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이게 좀 많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지금은 ibus-hangul이 한국어와 영어 둘 다 입력에 관여하지만 잠시동안은 영문입력모드일 때는 ibus-hangul이 비활성화 된 상태로 된다던지 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언제 다시 이 방식으로 돌아갈지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더더욱 키보드 레이아웃을 고정해야겠지요.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프로그램이 있지만 이게 자주 리셋이 되곤 합니다. 아마도 저장이 안 되는 듯 한데 처음부터 시스템의 키보드 레이아웃을 수정하면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etc/default/keyboard


해당 파일을 수정하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고정 시킬 수 있습니다.


설치할 때 키보드 레이아웃을 잘못 정했거나(FR등으로 하면 난리납니다.)ibus상에서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 한/영 전환시 답답한 상황이 생긴 경우에 이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혹은 Alt키가 어떤 단축키인 경우에도 좋습니다.)


위에서 말한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엽시다. 어떤 텍스트 에디터도 좋습니다. gedit이나 leafpad 아니면 nano나 vi도 좋습니다. 다만 관리자 권한 즉 sudo를 사용해야 합니다.


sudo gedit /etc/default/keyboard


이런식으로 말이지요.


그리고 파일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위의 것은 일반 키보드이고 아래것은 104키 호환모드 즉, 노트북용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골라서 똑같이 수정하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