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Ram이란 기술은 리눅스가 임베디드기기에 올라가던 시절에 생각했었고 2010년 스마트폰에서 안드로이드가 미친듯이 성장하면서 많은 발전을 이룬 기술 중 하나입니다. 즉 2015년 현재 zRam은 상당히 나온지 오래된 기술중 하나입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zRam은 램드라이브 스왑 파티션이라고 생각하면 의외로 간단합니다. 물론 그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로 램드라이브를 보통의 스왑파티션으로 잡으면 상당히 병맛납니다. 하지마세요.)


리눅스는 윈도우의 그것과 같이 메모리가 모자르면 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기 위해 스왑을 시도합니다. 그 덕에 메모리가 부족하면 무시무시하게 늘어지는 데스크탑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스왑을 안 쓸 수는 없었습니다. 당장 메모리가 없는데 일단 지금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나마 종료하려면 그나마도 메모리가 필요했으니까요.


zRam은 이 생각을 뒤집고 다르게 생각한 기술입니다.

"프로그램의 사용량을 판단해서 잘 안 쓰는 메모리는 압축해 두는 것은 어떨까?"


사실 리눅스는 잘 안 쓰는 데몬이나 프로그램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당장 cups만 봐도 프린터를 안 쓸 때는 굳이 돌아가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Windows의 Printer Spooler 서비스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수동 모드로 되어있지요.) 1시간에 한번씩 체크하는 업데이트 서비스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구요. 그런데 이 놈들은 전부 메모리에 올라앉아서 아까운 메모리를 쳐묵쳐묵하고 있습니다. 요새 컴퓨터에 워낙 성능이 좋으니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아까운것은 아까운 겁니다. 저 데몬들이 메모리를 잡으면서 발생하는 전력소모도 상당히 아깝습니다.

이럴 때 zRam은 저 잘 쓰이지 않는 메모리들을 압축해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램 한쪽 구석에 쑤셔넣어버립니다. 이 과정은 눈에 보이지 않고 사용자가 느낄 수도 없기 때문에 이런일이 벌어지는지 사용자는 전혀 눈치를 챌 수 없습니다.

 특히 어마어마한 자동화 스크립트와 데몬이 기본으로 굴러가는 우분투는 데비안같은 배포판에 비해 메모리 사용량이 상당히 높습니다. 2GB이하의 메모리를 지닌 하드웨어는 우분투가 상당히 버거울 지경입니다. 이때 zRam을 활성화한다면 상당한 성능향상을 꾀 할 수 있습니다.


만약 8GB이상의 메모리를 장착한 PC라면 굳이 zRam은 필요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도 상당히 애용되었는데 요즘 스마트폰은 괴물이 많은데다가 최적화기술이 많이 발전되어서인지 zRam이 빠지고 추세입니다. 하지만 3년만 지나면 구형이 되는 이 시대에 zRam은 커스텀롬에서 빠질 수 없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말만이렇게 주구장창해봐야 소용없고 한번 zRam을 써보셔야 아시겠지요?


우분투 14.04이후에선 아주 간단하게 zRam을 쓸 수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zram-config


이렇게 zram-config을 설치해주시면 zRam의 설정은 끝입니다. 

궁금하시면




이렇게 zRam 블록이 추가되었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메모리 부족하신분은 이 설정만으로도 어마어마한 성능향상을 느낄 수 있으실 겁니다.

,

리눅스에서 알파벳 사용권 이외의 사람들이 자국어를 입력하고자 정말 많은 일들을 했습니다. 그리고 한국도 이와 다르지 않아 한글을 입력하고자 많은 사람들이 노력해왔습니다. 이는 Windows에서도 있었고 지금의 리눅스 환경에서도 있었습니다. Windows에서는 90년대만 하더라도 남극성이라던가 AsianSuite같은 것들이 쓰였습니다만 NT시대가 도래하면서 내부적으로 유니코드로 처리를 하게 되었고 기본 한글 입력기인 MS-IME 하나가 독보적으로 쓰입니다. (물론 새나루 같은 3rd-Party입력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리눅스는 누구 하나가 독점적으로 주도해 나갈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덕에 한글입력기가 여러가지가 나와있고 어느 하나가 낫다고 말을 못하는 실정입니다.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리눅스의 한글입력기 3종 세트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나비(nabi)

2. 벼루(UIM-Byeoru)

3. 아이버스 한글(ibus-hangul)


우선 나비는 한국에 한국에 의한 한국을 위한 입력기 입니다. 무슨 말이냐면 나비는 다른 입력기와는 다르게 오로지 한국어와 영어만이 입력가능합니다. 다른 입력기는 입력 프레임워크위에 한글 입력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나비는 그 자체만으로 한국어 입력을 위해 만들어졌기에 일본어나 중국어의 입력에 관해 전혀 고려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2004년에 처음 만들어진 나비는 거의 유일하다시피한 한글 입력기여서 많이 쓰였습니다. 하지만 업데이트가 상당히 더디며 새로운 라이브러리에 대응이 느린 덕에 아치리눅스 같이 빠른 업데이트가 생명인 배포판에서는 상당히 골때리는 상황이 자주 연출됩니다. 대표적인 것이 우분투의 Unity버그입니다. Unity가 나온지는 4년이 지난 지금도 입력기가 트레이에 들어가지 않는 버그가 있습니다. 하지만 LXDE나 MATE환경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이외에도 QT5대응이 늦어져서 QT개발자들이 다른 입력기로 많이 넘어갔습니다. 여러모로 참 인력난에 시달리는 입력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벼루는 일본에서 개발된 UIM프레임워크용 한글 입력 시스템입니다. 3종 입력기중에서 제일 오류가 적으며 호환성도 상당히 좋아서 보통 한글입력기를 추천하라고 하면 많이 추천하는 입력기입니다. 벼루 자체도 상당히 완성도가 높아서 Windows의 MS-IME의 입력과 동일한 입력이 가능합니다. 특히 리브레 오피스와 크롬에서 악명을 떨쳤던 끝글자 버그를 해결해버려 상당히 점유율이 높습니다. 지금은 다른 입력기도 해결한 버그지만 벼루가 제일 먼저 해결하여 상당히 선점 효과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입력기에 비해 메모리를 많이 먹는 것은 단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UIM자체가 메모리를 많이 먹습니다.)


ibus는 우분투의 기본 입력 시스템으로 쓰이기에 우분투와 상당히 궁합이 좋습니다. ibus프레임워크는 중국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즉, 개발팀의 규모가 UIM이나 나비와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피드백도 빠르고 업데이트도 상당히 빨리 나오는 편입니다. 하지만 업데이트가 빠른만큼 버그가 상당히 많아서 한국어 사용자들에게 상당히 이미지를 많이 깎였습니다. 리브레 오피스에서 끝글자 버그라는 버그를 거의 7년 넘게 갖고 있었고 한영전환이 자유롭게 되지 않아서 수동으로 전환하는 삽질을 하게 되는 의외로 이런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하지만 또 그만큼 사용자층이 두껍다보니 다른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은 매우 좋습니다. 특히 Wine환경 같이 입력기의 호환성이 애매할 때는 그냥 ibus를 이용하면 한글 입력에 큰 문제를 안 일으킵니다. 무엇보다 입력기의 커버리지가 상당해서 전혀 생각지도 못한 언어도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이라면 장점입니다. 다만, 한국어 사용자들의 피드백이 적은 탓인지 한글쪽은 입력기의 문제가 해결이 잘 안 되는군요.(한국은 워낙 피드백이 적어서 7년넘게 버그가 해결이 안 된다거나 합니다.)


무엇을 쓰던지 상관은 없습니다만, 결국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어떤 입력기를 사용하던지 큰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UIM은 고사양용이며 ibus는 한국어에 한해 버그가 참 많습니다. Nabi는 업데이트가 늦습니다. 자 그래서 여러분들은 어떤 한글입력기를 쓰시나요?

,


Plae Moon은 창백한 달이란 의미입니다. 웹브라우저의 성능과는 큰 관계가 없지만 기존의 Firefox의 로고에서 여우만 지워버리면 대충 비슷하게 생기기는 했습니다.


Pale Moon은 이제 개발이 시작되고 10년이 넘어가는 Firefox를 Fork하여 만들어진 브라우저입니다. 속도와 메모리 사용량을 꽤나 생각했습니다. 다만, Firefox도 원래부터 메모리를 적게 먹기로 유명한 물건이니 메모리 사용량이 큰 차이는 나지 않았습니다. (한 100MB차이 나더군요.) 


Pale Moon과 Firefox의 메모리 사용량 비교 큰차이는 나지 않지만 Pale Moon은 탭이3개였고 Firefox는 탭이 1개였다. (아래 스크린샷 참조)

실제로 Pale Moon은 Firefox 사용자들의 입소문을 타고 많이 알려져 있던 변종 중 하나 입니다. 이제서야 써보게 되었는데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메모리도 약간이나마 적게 쓰는 것 같고요. Chrome이 속도는 제일 빠르지만 메모리를 너무 먹어대서 일을 보기위해 가상 머신이라도 하나 열면 버벅버벅대는 꼴이 보이더군요. 그러다보니 Chrome은 그냥 가끔 쓰고 Firefox를 주 웹브라우저로 쓰고 있었는데 Pale Moon은 Firefox보다 더 가볍군요.


설치하기전에 Firefox와 비교를 안 할 수는 없겠지요? 한번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인터페이스 비교. 아래 스크린샷을 보시면 미묘하게 차이가 보입니다.



기존의 Firefox의 외관이다. Chrome의 영향을 받아 인터페이스가 Chrome스럽다.

 

 

예전의 10.x시절의 인터페이스를 고수하는 Pale Moon 10년동안 Firefox를 써왔던 (0.8시절부터 써왔다.) 나는 향수에 젖게 만드는 인터페이스이다.



Firefox에는 제가 확장을 이것저것 깔아놓아서 좀 지저분 하기는 합니다만 전체적으로 깔끔한 인상을 줍니다. 그에비해 Pale Moon은 구버전의 Firefox의 인터페이스를 고수하다보니 약간 옛날 느낌이 나더군요.(물론 2.x~10.x 시절을 안 쓰셨던 분들은 잘 모르실겁니다.) 저야 과거를 추억하며 익숙해지는데 금방 걸렸습니다만 처음 쓰시는 분들은 해메실지도 모르겠습니다.특히 메뉴표시줄의 존재가 차이가 나는군요.


렌더링 속도차이


..으음... 사이트마다 약간씩 다릅니다만, 체감상 1~2초 정도 더 빠르다는 인상입니다. 하지만 요즘 컴퓨터같이 빠른 컴퓨터에서는 큰 차이는 안 느껴질겁니다. Pale Moon 측에서는 과거의 오래된 CPU를 버리고 최신 CPU에 맞춰 컴파일해서 빠르다고 하는데 요즘 하드웨어가 워낙 빨라 의미는 없을 듯 합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메모리를 적게 먹는다는 것 하나는 꽤 중요합니다. 굉장히 오래된 넷북에서 인터넷 하나만 하려고 해도 버벅댄다면 Pale Moon의 성능이 상당히 체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심지어 Atom용 Pale Moon도 배포중입니다!)


기술적인 차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그냥 Pale Moon이 Firefox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왜 더 빠른지에 대한 글입니다.

https://www.palemoon.org/technical.shtml

일반적으로 쓰시는 분들은 그냥 무시해도 좋습니다. 빠르면 좋은겁니다.(펜티엄3 이하는 지원이 안 된다는 것이 중요하군요. 아직도 쓰는 건가 싶지만...)


그럼 이제 제일 중요한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 이군요. Pale Moon은 아쉽게도 아직 우분투용 공식 저장소에 등록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PPA도 없습니다. 하지만 공식홈페이지에서 인스톨러를 따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linux.palemoon.org/download/installer/

위 주소로 접속하면 인스톨러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Downlaod 링크를 누르면 인스톨러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른 것은 다 필요없을터이니.

그리고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면 안에 Readme파일 하나와 sh스크립트 하나가 튀어나옵니다. 그냥 스크립트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이제 저 스크립트를 그냥 실행하자(sudo 따위 쓰지말자..) 지가 알아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한다. sudo를 쓰면 꼬일 가능성이 있으니 쓰지 말라고 한다.


이제 Install Pale Moon을 선택하고 OK만 누르면 끝! 설치는 알아서 해준다.

이제 Pale Moon의 설치가 다 끝났습니다. 이제 한글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ale Moon은 Firefox와 언어팩이 호환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Pale Moon 홈페이지에서 언어팩을 설치해야 합니다.


https://www.palemoon.org/langpacks.shtml


여기서 ko.xpi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합니다.


Korean만 찾자...ko.xpi를 누르면 알아서 확장 설치 모드로 열릴 것이다.

한국어 확장을 설치 후에 Locale을 한번 바꿔주셔야 한글로 나오게 됩니다. locale설정을 위해 한번만 더 삽질을 합시다.


주소창에 about:config 이라고 쳐서 들어갑시다.

그리고 Search창에 general.useragent.locale 이라고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잘 안보이겠지만 general.useragent.locale 이라는 항목이다! (이미 한국어로 설정되어있어서 한글로 뜨는 것 뿐..)


en-US로 되어있는 것을 ko-KR로 바꾸자.


이제 창을 닫았다가 다시 실행하면 한국어로 잘 될 겁니다.

나머지는??? 그냥 즐기세요.


일부 사이트에서 로그인이 안되는 현상을 찾았습니다. 인증서 문제인가 하고

http://moordev.tistory.com/4

이 작업을 했음에도 계속



요렇게 나옵니다. 이건 신뢰 받는 연결 어쩌고 이전에 Pale Moon에서 Firefox와 다르게 설정이 된 탓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만 이러한 것이 아니라고 하네요. 그런데 보안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서 안 쓰는 방식을 아직도 고수하는 것이 더 문제 아닐까 싶지만...


일단 방법은 about:config에서 두 번만 수정하면 됩니다. (출처 : http://forum.palemoon.org/viewtopic.php?f=3&t=3342)


security.ssl3.rsa_rc4_128_md5


security.ssl3.rsa_rc4_128_sha



그냥 더블클릭 하면 true로 바뀐다. 간단!


요 두개만 true로 바꿔주시면 문제없이 잘 될 것입니다.


근데 MD5뚫린게 언제인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