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team의 Remote Play를 애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노트북 PC가 워낙 오래된 물건이라 게임이 돌아가지 않는데 최근에 Windows를 돌리기 위한 데스크탑PC를 하나 맞췄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데스크탑PC는 있는데 모니터가 없습니다.
이쯤되면 모니터를 새로 하나 사는 것이 낫겠지만 그냥 스팀의 리모트 플레이를 쓰니까 굉장히 편해서 모니터를 안 사고 이걸로 버티는중입니다.
그러니까 WindowsPC에서는 자동으로 스팀 로그인을 하게 세팅을 하고 리눅스가 돌아가는 노트북 PC에서 리모트플레이를 하는 것이지요. 생각보다 게임이 잘 돌아갑니다. 이전에는 멈칫거리고 딜레이도 심했는데 알고보니 공유기가 오래되서 그랬던 것이고 공유기도 짱짱한 놈으로 바꿨더니 딜레이도 거의 없어서 리듬게임이나 FPS게임도 아무 문제없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30분~1시간 정도 플레이하고 나면 알 수 없는 오류로 리모트 플레이 클라이언트가 멈추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런저런 방법을 찾아봤는데 제가 내린 결론은...
그래피카드 드라이버 문제였습니다. 리눅스에서는 동영상 가속 시스템으로 VDPAU나 VAAPI를 쓰는데 둘다 스팀의 방식과는 어딘가 안 맞는 것이었습니다.
그럼 방법은 하나입니다. 그냥 CPU를 갈구면 됩니다. CPU동영상 렌더링 방식을 써서 오류가 난적은 거의 없습니다. CPU가 그렇다고 안 좋은 것도 아니니 만약 CPU만으로 1080을 돌릴 수 있을 정도면 되고 그래도 성능이 딸린다 싶으면 대역폭을 제한해서 낮은 비트레이트로 돌리면 됩니다.
클라이언트의 스팀에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Remote Play에 보시면 고급 클라이언트 설정이 있습니다. 이쪽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하드웨어 디코딩 활성화의 체크를 풀면 CPU를 열심히 갈구게 됩니다. 만약 멈칫 현상이 잦다면 이쪽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CPU렌더링이기 때문에 성능이 모자라게 될 수 있는데 그럴 때는 해상도 제한과 대역폭 제한을 이용해서 CPU가 감당할 수 있게 제한을 넣어주면 됩니다.
일단 여기만 보면 대충 어떻게 해야할 지 감이 오실겁니다. From disk image에서 iso파일을 선택하고 File system을 고른다음(보통 64비트에서는 파일 크기문제로 NTFS를 선택하게 됩니다.) Target device에서는 꽂혀있는 USB메모리를 고르면 되지요. 그리고 Install을 누르면 되야하는데...
이런 오류메시지가 뜹니다. UnetBootin은 이렇게 뜨면 그냥 USB를 뺐다 다시 꽂는 것으로 해결되는데 이건 해결이 안 되더군요!!!
그래서 삽질하다가 방법을 알았습니다. 마운트된 것을 해제하면 됩니다.
이건 보통 마테나 그놈환경에 있는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됩니다. (다른 데스크탑환경의 경우에는 확인 바랍니다.)
일단 USB메모리를 연결하고 디스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다른 디스크는 그만두고 USB메모리를 누른다음 ■ 버튼을 찾아서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전원은 연결된 상태에서 마운트만 해제됩니다. 그리고 다시 WoeUSB를 실행하면 아주 잘 됩니다!
digispark는 소형 아두이노가 있습니다. 아두이노를 사용하고 아두이노와 호환되지만 사실 아두이노와는 구조가 다르죠.
하지만 크기가 워낙 작아서 쓸모가 많고 전력소비가 적은 ATTY85를 사용해서 전력이 부족한 배터리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습니다.
문제는.. AdaFruit사의 정품은 가격이 좀 쎈편입니다. 2만원 남짓..?
대신 중국에서 이를 복제한(복제해도 아두이노 라이센스상 문제는 없습니다.)제품이 배송비 포함 1달러 조금 넘게 팔리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거... 호환성이 극악합니다.
알고봤더니 Digispark가 사용하는 부트로더의 버전이 낮은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1.6버전을 사용한다고 떠있는데 그마저도 중국에서 수정을 좀 한 것으로 보입니다.
Digispark의 부트로더는 Micronucleus라는 것으로 1.x버전으로 1.11까지 나왔고 2.x는 지금도 활발히 개발중입니다. 제가 사용한 보드는 1.6버전의 부트로더를 쓰고 있으므로 2.x를 쓰면 벽돌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1.11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Digispark의 버전을 확인 하는 방법은 아두이노IDE에서 Digispark관련 패키지를 설치한 후에 그곳에 있는 툴을 이용해서 확인 하면 됩니다.
우선 아두이노IDE를 설치하고(IDE의 설치 방법은 생략합니다. 워낙 쉽기때문에...) 파일-환경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위 드라이버를 설치해서 윈도우에서 잡아주는 방법만이 가능했습니다. 대체 중국에서 무슨 짓을 했는지 궁금하군요.
어쨌건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가상머신에서 USB연결을 이용해서 윈도우에 인식시키니 드디어 장치가 인식 됩니다.
대신 윈도우에서 부트로더를 업그레이드하면 이후에는 리눅스에서도 아무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이 참에 윈도우 가상머신을 하나 구비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네트워크를 끊어놓은 XP 가상머신 시스템을 하나 구비했습니다.
어쨌건 윈도우에서 드라이버가 설치되었다면 보드 인식이 되었을 겁니다. 그리고 드라이버 설치 폴더를 뒤져보면 Micronucleus.exe라는 프로그램이 있을 겁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부트로더를 업그레이드 하게 됩니다. 단, 명령어를 쓰기 때문에 기본 cd명령어 정도는 알고 계셔야 합니다.
배터리가 0%로 뜨기는 하지만 잘 켜지네요! 대신 시간은 초기화 되지만 어떻게든 돌아가 줍니다... 그런데 뭐만 하면 툭툭 꺼져버리는군요. 그래서 뭐가 문제인지 봤더니...
전압강하 모듈이 엄청 뜨겁습니다. 얘기를 들어보니 MP1584EN은 온도가 85도가 넘어가면 전류를 알아서 차단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는 이상 다시 전류가 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자세히보니까... 어댑터는 5A이고 전압강하모듈은 최대 3A가 최대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3A 이상 흐르지 않는 이상 과열 될일은 없을 테지만 아무래도 넥서스7이 전기를 많이 먹어서 3A 이상을 먹나 봅니다. (오버클럭도 좀 했습니다. 기본 클럭은 답답해서...) 그래서 전압 강하 모듈을 새로 구매해서 5A 이상 지원 되는 걸 구매했습니다. 이거면...좀 낫겠죠? 아니면 방열판도 새로 사서 달아주면... 넥서스7보다 전원부가 더 커지는 불상사가...
추가...
여기가 뒷판의 와이파이안테나랑 연결되는 부분인데 박살이 났더군요. 어쩐지 통신 속도가 극악하더라니.... 그래서 이부분에도 안테나를 새로 사서(?) 달아줄까 고민중입니다. 이쯤되니 휴대용이 아니라 괴물이 되어 가는 듯한데...
이야기를 들어보니 4.2V로 낮추지 않고 그냥 5V로 넣어도 잘 돌아간다고 합니다. 아니 그냥 5V를 넣어야 안정적이라고 하네요. 대신 GPU풀로드 걸리면 발열량이 무시무시하므로 그건 신경쓰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래서 그냥 5V를 쑤셔넣었는데 유튜브도 잘 나오고 3시간째 아무 문제 없이 굴러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에 플라스틱을 살짝 뜯어 낸다음 선을 뽑았습니다
그리고 5V를 어댑터로 직접 연결했더니 아주 잘 켜집니다.
그래서 그냥 이제는 화면을 끄지 않고 그냥 돌릴라고 합니다. 아무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