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IDE의 차이는 성능상으로 큰 차이가 없고, 인터페이스도 사람들마다 반응이 달라서 완벽하게 비교는 저의 특성 상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사용에 따른 문제와 그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주류로 쓰여질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려고 한다면 분명 예전에는 100이면 100 Eclipse + ADT였습니다. 사실 그것밖에 답이 없기도 했고 Eclipse가 워낙 JAVA개발툴로써 제일 좋은 물건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이것을 이용했고, JAVA를 이용하는 안드로이드로써는 Eclipse와의 궁합이 가장 중요했지요.


그런데 구글은 Eclipse가 상당히 마음에 안 들었던 모양입니다. 자체적으로 Android Studio란 물건을 내놓았거든요. 사람들 반응은 상당히 괜찮은 물건이라고 합니다. 제가 써본 결과로는 잘 모르겠네요. 다만, 한 가지 기능이 상당히 마음에 들던데, 그 기능은 바로 SDK버전 별로 APK를 빌드 해 주는 기능이었습니다.


Android Studio의 모습. Eclipse와 다른 것은 대체 무엇일까?


Eclipse 시절에는 한번 SDK 최소 버전을 설정하면 SDK버전을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특히 프로젝트를 API 15로 시작했다면 나중에 구 버전 안드로이드 호환을 위해서 API10으로 낮춘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반대로 신 버전 안드로이드의 추가된 기능을 쓰기위해서 API버전을 올리는 것도 문제가 많았습니다. 컴파일이 안 된다거나 소스가 꼬인다던가 하는 일이 많았지요. 그런데 Android Studio로 만들면 이와 같은 문제가 한번에 해결되더군요. 빌드 할 때 API버전별로 APK를 뽑아내줍니다. 나중의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으로 정말 좋은 기능이지요. 새 안드로이드가 나올 때마다 호환성 문제를 매번 겪는 것을 감안하면 정말 눈물 나게 고마운 기능입니다.


그 외에도 많은 개발자들은 Eclipse를 버리고 Android Studio로 넘어갔다는 후문입니다. 하지만 딱 하나 Android Studio를 쓰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NDK가 지원이 안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NDK는 빠른 구동을 위해서는 필요한 라이브러리이지만 일반적인 어플에서는 필요없는 물건입니다. 특히 자바만 이용한다면 당연히 쓸모 없습니다. 하지만, 게임이라던가 동영상 재생기(MX플레이어 같은 소프트 디코딩 지원 재생기)라면 NDK는 없어서는 안되는 물건이지요. 이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Eclipse를 써야합니다.


하지만 Eclipse를 NDK를 쓰지 않음에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의 생각은 바로 이것입니다. "구관이 명관이다." 아무래도 이 생각으로 아직도 Eclipse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구글은 아직도 Eclipse의 ADT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Android Studio는 아직도 베타 딱지를 못 떼내었습니다. 각종 버그가 출몰 중이라고 하는군요. 저도 실행 중 튕김 증상을 겪었습니다. 아직 베타이니 그러려니 하지만, 진짜 중요한 개발이라면 별로 추천할 만한 상태는 아닌 듯 합니다. 아무리 좋은 기능이 있어도 안정적이지 못하면 그건 쓸모없는 것이니까요. 그냥 개인 개발자라면 그래도 무리없이 쓸 수 있겠지만 수십 수백의 돈이 오가는 프로젝트라면 불안정한 Android Studio보다 기존에 써왔던 Eclipse가 더 믿음직 할 것입니다.


기존 안드로이드 개발용으로 많이 쓰인 Eclipse의 모습. JAVA, C/C++등의 범용이라 안드로이드만의 특화 기능은 플러그인을 이용해야만 한다.

개발의 편의성은 Android Studio가 훨씬 더 우세합니다만, 익숙함은 Eclipse가 더 우세합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Eclipse가 기존에 사용되어지는 바람에 서점의 대부분 책들은 아직도 Eclipse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ndroid Studio에 대한 책은 아직도 찾지 못했습니다. 거기에 따른 여파로 Android Studio에 대한 한국어 커뮤니티도 Eclipse에 비하면 작은 편 같습니다. 다들, 넘어가야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구글이 Android Studio를 만든 이상 결국 이 것이 표준 개발툴이 될 것임은 당연해 보입니다.) 그동안 써온 습관과 익숙함 때문에 벗어나기 힘들다고 하는군요. 무엇보다 새로 배워야 한다는 부담감도 꽤 있는 듯 합니다. 같은 JAVA코드를 이용하지만, 인터페이스 자체가 다르다보니 생기는 문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으로썬 Eclipse가 편하다면 Eclipse를 써야겠지만, 결국 Android Studio가 자리를 잡게 되면 이것을 쓸 수 밖에 없는 날이 올 것입니다. 아니면 구글이 또 다른 IDE를 내놓을 지도 모르고요. IDE를 사용하는 것은 개발자 마음이지만,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능이 나오면 이 기능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앱 개발자도 엄연히 말하자면 장사꾼이니까요. 장사꾼은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충족시켜줘야 물건이 팔립니다. 해당 앱의 미래를 위해서 제 생각에는 Eclipse로 개발된 앱을 Android Studio에서 바로 끌고 올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방법이 있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Android Studio가 현재는 불안정한 모습도 보이고 있지만 Eclipse를 대체할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기존 JAVA IDE가 아닌 안드로이드 전용의 IDE인 것도 한몫하고 있고, 그만의 특수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IDE와 통합된 테스트 환경이라는 것이 정말 편리하고 또 생산성도 월등히 향상시킵니다. 구글이 Android Studio의 안정화가 완료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면 저도 지금 하는 프로젝트를 Eclipse에서 Android Studio로 옮길 예정입니다. 





과연 Android Studio는 Eclipse를 확실히 밀어내고 독보적인 IDE가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동안 써온 IDE라는 장점을 안고 Eclipse가 계속 안드로이드 개발도구의 1인자가 될까요? 그것은 시간이 알려줄 것입니다.


2015. 10. 26

이 글이 적은지도 약 1년정도 지났군요.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628150257

현재 Eclipse 기반의 ADT는 지원이 종료됩니다. 그냥 Android Studio를 쓰는 것이 제일 낫습니다. 이제 버그도 많이 없어졌고 상당히 편리해졌습니다. NDK지원도 잘된다고 하니(Windows에서는 간간히 문제가 있다고는 하지만...가상머신이나 멀티부트로 우분투 깔면 해결됩니다.) 이제는 Android Studio를 쓰시면 됩니다.

,

1위는 구글 2위는 다음 3위는....하나코게임즈? 그나저나 장동건을 검색해 들어오신 분은 뭐지?

오늘만 잡담 글을 2개씩 올리네요. 일하기 싫어서 그런 건가... 이제 글이 30개 남짓한 작은 블로그인데 생각보다 재미있는 유입 결과가 올라와서 보여드립니다.


유입경로 4위부터는 그다지 영향도 없고 재미도 없어서 가렸습니다. 1위부터 3위를 보시면 보통의 다른 블로그와 다른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를 통한 유입이 전혀 없다는 것인데, 블로그 많이 하신 분들이라면 검색 누락이라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네, 검색 누락 맞습니다. 그런데 사실 저는 네이버가 좋아할만한 글은 하나도 올리지 않았습니다. 네이버가 좋아할 만한 키워드로는 '아이돌'.'연예인','아이폰', '삼성전자','정치권이야기' 이런 것인데요. 저는 네이버가 좋아하지도 않고 사람들이 별로 찾지도 않는 우분투관련 글만 올려대고 있으니 좋아 할 리가 없습니다. 네이버에 검색 요청을 하는 것도 생각했는데 이제 30개 남짓 올라온 블로그에 요청하는 것도 웃기고, 설사 걸린다고 해도 그것이 바로 방문자 증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입니다. 보통 리눅스를 쓰시는 분들은 대개 구글을 이용하시는 경향이 많다보니 저는 구글만 믿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


3위가 조금 독특한데, 8명뿐이기는 하지만 hanakogames포럼에서 들어오신 분들은 오직 저의 글 중 Long Live The Queen을 안드로이드 포팅하기http://moordev.tistory.com/20 을 위해 손수 들어오신 분들입니다. 어떤 분이 가이드를 알려달라고 해서 링크를 걸었거든요. 대신, 영작은 어려우니 구글번역기를 쓰라고 하면서요.(그 분이 욕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영어로 실컷 자랑했으면서 정작 가이드는 한국어로 하다니) 실제 그분이 구글번역기를 쓰셨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 글 마지막에 포팅 영상을 같이 올렸으니 그것을 보셨을지도 모르곘습니다.(그런데 그것조차도 한글 환경에서 찍은 영상...)


해당 포럼에 가면 아이패드에 포팅(제대로 된 라이브러리도 없는데?)한 분도 있더군요. 굳이 제 글을 보시지 않았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유입 국가는 지원을 안 하니 조금은 답답하네요.


구글 검색에 상단에 걸릴만한 방법은 네이버와 다르게 딱 하나밖에 없다고 하네요.


그냥 좋은 글을 잔뜩 쓸 것.


이 블로그를 구글만 믿고 가기로 한 이상 좋은 글을 더 양산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저는 그렇게 건실한 것은 아니지만 꽤 오랫동안 운영(?)해 왔던 다음블로그가 있습니다. http://blog.daum.net/moor


하지만 저는 다음 블로그가 약간 제 손으로 못 만지는 곳이 너무 많은 것 같아서 티스토리로 작정하고 옮겨왔지요. 그런데 티스토리는 티스토리대로 문제인 것이 만질 곳이 많아지자, 제가 손을 대기 귀찮아졌다는 것입니다. 기본 스킨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보시면 너무 나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아 조금 폰트크기를 키울 필요는 있겠네요. 모바일에서 보니 약간 답답한 면도 보이니까요.


사실 다음블로그에서 글을 써본 결과 이상할 정도로 해외에서 스팸성 트랙백이 자꾸 걸렸습니다. 이유를 알고 보니 다음블로그는 새 글이 올라오면 각종 봇 들이 주르륵 훑고 지나가더군요. 검색엔진 봇도 아니고 처음 보는 괴상한 봇도 나타나던데 그게 원인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 외에도 글을 관리하기 힘들고 제가 그냥 수첩에 끄적이듯이 글을 적다 보니 제대로 된 글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나마 그럭저럭 제대로 쓴 글은 

http://blog.daum.net/moor/37 (이것은 새로 스크린샷 찍고 영상을 찍어서 가져왔습니다.)

http://blog.daum.net/moor/107 (Ren'Py 안드로이드 포팅 글 새로 쓰면서 기존 다음블로그는 비공개 처리)

http://blog.daum.net/moor/102 Cups+Sane 프린트+원격스캔 서버 만들기 정리 후에 가져올 예정.


수많은 글 중에서 쓸 만한 글은 대충 이 정도 뿐.


굉장히 공은 들였지만 그저 일기 형식으로 써서 다른 사람들에게 별로 도움은 안되는 글

http://blog.daum.net/moor/45

http://blog.daum.net/moor/50(내 생각에 거의 삽질이 블록버스터 급인데 현재는 별로 도움 안되는 글)

http://blog.daum.net/moor/106 삽질 하다 포기함. 그냥 다른 물건을 구하는 것이 100배 나음.


난 참 글 쓰는 재주는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 더 다른 사람을 배려하듯이 써야 하는데 제가 편한대로 글을 쓰다 보니 그 수많은 글 중에서 건질 것이 전혀 없네요. 어쨌건 블로그에 제대로 된 정보성 글을 올리기 위해선 아무런 글도 올라가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땅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다 티스토리가 눈에 띄인 것이고요. 네이버블로그도 있지만 여긴 다음보다 더 했으면 더 했지 덜 한 곳은 아니라서 그냥 깔끔하게 접었습니다. 티스토리에는 전문성 있는 글들이 자주 올라오는 곳이니, 저도 이 대열에 한 번 끼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MoorDev 올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