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Customization

Kit

 VS

 

Customizer


가끔 여러분들은 나만의 OS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적이 있으셨나요? 저는 졸업작품을 만들 때 제 작품 구동용 전용 OS를 우분투를 이용해서 만든 적이 있습니다. 거의 임베디드화 했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사실 PC기반이었기에 그냥 기존의 우분투를 고쳐서 쓰는 수준에 불과한 물건이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도 그것이 우분투였는지 모르더군요. 어쨌건 저는 저만의 OS를 하나 만든 셈이었고, 이리저리 고쳐가며 만든 것이 상당히 재미있었습니다.


우분투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많은 것 중에서 나만의 OS만들기는 상당히 짜릿한 느낌이었습니다. 제가 사용한 방법은 2가지가 있었는데, 이 두 가지를 비교하며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한 가지 더 있었는데, 프로젝트가 문을 닫아버렸습니다. Remastersys라고 상당히 특이한 물건이었는데 아쉽더군요.)


1. Ubuntu Customization Kit


 Ubuntu Customization Kit (이하 UCK)는 공식 우분투 커스터마이징 도구입니다. 우분투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물건이기 때문에 간단한 언어설정+추가 패키지를 하실 생각이라면 이 도구 만큼 좋은 것은 없습니다. 또한 대화상자 형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차근차근 묻는대로만 하면 정말 쉽습니다. 


사실 이 도구가 나오게 된 계기는 기존 우분투 배포버전은 무조건 영문 라이브 환경으로 들어가다보니 다른 언어권 사람들이 자신의 언어를 기본으로 하는 배포판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습니다.(특히 일본이 가장 열성이었다고 하지요. 우리나라에서도 부러워 할 정도로 거의 완벽한 일본어 로컬라이징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8.04시절이야기 입니다.) 그런데 어차피 영문배포판에 해당 언어를 기본으로 넣어주는 것에 불과한데도 삽질을 하는 것이 안 쓰러웠던 것인지 이러한 물건이 탄생하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데스크탑 환경도 바꾸고, 기본 언어도 바꾸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 물건은 한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바로 우분투에서 배포한 iso를 기본 바탕으로 사용해야만 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우분투 데스크탑 환경에 언어설정만 하고 몇가지 추가 패키지만 설치하는 정도면 이것만큼 좋은 것도 없습니다. 그런데 그 이상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지요. Wayland나 리눅스민트 수준의 마개조를 필요로 한다면 UCK가지고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은 많이 어려워 보입니다. 즉, UCK는 공식 커스터마이저라서 호환성도 확보되었고, 사용도 쉽지만 그만큼 제약도 심하다는 의미지요.


2. Customizer (통칭 U-customizer)


이 물건은 UCK가 나오기 전부터 만들어졌던 물건입니다. (https://github.com/clearkimura/Customizer) 그런데 중간에 업데이트가 중단 된 듯하여서 조금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도 github에서 소스를 커밋할 수 있더군요. 최근 업데이트가 3월...이라서 조금 걸리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14.04도 되는 듯 합니다. 


설치방법이 바뀌었군요. 그냥 컴파일 삽질입니다!!! (PPA가 중단되었습니다!)

아래 주소로 소스코드를 우선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github.com/clearkimura/Customizer/archive/master.zip


sudo apt-get install git build-essential fakeroot make binutils g++ python python-dev python-qt4 pyqt4-dev-tools squashfs-tools xorriso x11-xserver-utils xserver-xephyr qemu-kvm dpkg-dev debhelper qt4-dev-tools qt4-linguist-tools qttools5-dev-tools --no-install-recommends


위의 명령어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합시다.

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씁시다.


make deb

이러면 여러분의 소스폴더 바로 상위폴더에 새로운 deb이 생기는데요. 이놈을 보통 deb 설치하듯이 설치하면 됩니다. GUI가 gambas에서 QT로 바뀌었습니다...


특히 다른 것보다 이 도구가 좋은 것이 우분투 배포판 중에서 Ubuntu Mini Remix (http://www.ubuntu-mini-remix.org/)라는 것이 있는데, 이 배포판은 특징이 Debian처럼 가장 최소한의 구동부분만 들어있어서 GUI도 없고 다른 패키지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구동에 필요한 패키지만 있는 것이지요. 이 mini-remix를 이용해서 커스터마이징하기 아주 좋다는 것입니다. README.md에 이 mini-remix가 언급이 되어있을 정도로 이 도구는 최적화된 가벼운 OS를 만들기에 정말 좋습니다.


정말 Advanced한 커스터마이징 도구이다. 졸업작품도 이 물건 없었으면 조금 힘들었을지도?

또 QEMU 버튼을 달아서 QEMU를 설치 했다면 바로 QEMU를 통해 만들어진 라이브OS를 확인 가능하게 했다는 것도 큰 특징입니다. UCK와 비교했을 때 커스터마이징의 범위가 상당히 넓어 진것도 상당히 점수를 많이 딴 항목입니다.


그런데 이 물건도 상당히 큰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Gambas로 만들어진 GUI입니다. Gambas는 현재 약간의 버그로 인하여 GTK-3.0을 이용할 시 클릭이 한번에 먹히지 않는 버그가 있습니다. 이 버그가 상당히 사람 짜증나게 하는데, 보통 ISO를 여는데 버튼을 두세번 누르고, 배포판 이름을 바꾸는데 클릭 두세번, LiveCD User name 바꾸는데 클릭 두세번, 그리고 커스터마이징되는 OS의 파일을 확인하려면 또 클릭 두세번(Directories메뉴를 클릭 하면 됩니다.) 하다보면 짜증이 당연히 밀려옵니다. 한번에 입력이 되면 좋을 텐데, 그게 전혀 되지를 않고 있는 것입니다. 이 버그가 gambas의 버그인지 GTK-3.0의 버그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작업중에 혈압상승을 동반하게 됩니다.


보통 이 도구를 이용해서 커스터마이징을 하는데에는 순서가 있습니다.(굳이 똑같이 할 필요는 없지만)


1) Select ISO 버튼으로 수정할 배포판 iso선택( 우분투 공식 배포판이나 우분투 미니리믹스 iso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2) Distribution Name 수정 (그냥 Ubuntu로 두셔도 됩니다.)

3) LiveCD User name 수정(live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아니면 root를 쓰시는 분도 계십니다. 버전에 따라 안 된다고 하지만)

4) Hostname 수정 (보통 바꾸지 않습니다.)

5) Release notes URL 보통 바꾸지 않지만 만약 리눅스민트 수준으로 전혀 다른 수정을 하시고 공식 홈페이지를 만드셨다면 여기에 적으셔도 됩니다.


6) Terminal 버튼을 누르고, CLI작업 시작(apt-get 으로 추가 패키지 설치 및 기타 설정 파일 수정)

(6의 작업이 제일 중요합니다.)


7) Desktop버튼은 보통 이용하지 않고 Terminal에서 일련의 작업을 마칩니다. (Install DEB은 apt-get 이나 dpkg -i 명령을 이용하여 처리힙니다.)

8) ReBuild ISO 버튼으로 커스터마이징된 ISO 생성 기본으로 /home 안에 있습니다. 찾아보세요.

9) QEMU로 확인


(참 쉽죠?)


보통 이런 식으로 작업해서 어느정도 끝내면 충분히 작업이 완료 됩니다. 남은 것은 혹시나 모를 버그에 대비해서 준비를 하는 것 뿐입니다. UCK에 비해 조금 어렵기는 하지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것이 워낙 넓으니 약간 전문적인 느낌이 들기는 합니다.


그나저나 느린 반응이 참 안타깝기는 합니다. gambas로 되어있는 것을 PyGTK로 포팅이라도 하면 이 문제가 해결 될 것 같기는 합니다만, 아무도 그럴 생각이 없는 것 같아서 안타깝네요. 심지어 이 도구는 공식저장소에서 퇴출 되었습니다. 더더욱 안타깝습니다. 아마도 Gambas가 업데이트 되는 동안 정작  Customizer가 업데이트 되지 않아서 작동이 안 되자 없애버린 것이 지금까지 남은 듯 합니다. 어쩔수 없습니다. 그냥 github에서 받아서 따로 복사해서 쓰는 수 밖에요. chroot기능을 이용하기 때문에 GUI.gambas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3, 비운의 Customizer 하지만 그만큼 특이했던 Remastersys

사실 위의 UCK나 Customizer는 모두 별도의 ISO를 이용해서 만드는 커스터마이저였습니다. 그래서 14.04에서 12.04의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했고, 반대로 다른 버전의 ISO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GUI의 혜택은 전혀 받지 못했습니다. 터미널 작업은 필수였지요. 하지만 Remastersys는 좀 달랐습니다.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면서 애용하기 했던 물건입니다.


더 이상 포럼에 글이 올라오지 않아서 프로젝트를 중단했다는 글이다. 사실 나도 이 프로그램을 쓰면서 포럼에 글 한번 올리지 않아서 좀 찔리는 감이 있다.

Remastersys는 사실 Customizer라기 보다는 Norton Ghost같은 백업 프로그램에 가까운 물건입니다. 즉, 지금 사용하는 시스템을 그대로 라이브DVD화 한다는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여러분이 지금까지 쓰면서 이리저리 끼워넣고 삽질하고 했던 시스템을 라이브DVD(혹은 라이브USB)화 해서 쓸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여기에 설치프로그램도 넣어서 그대로 설치하듯이 복구 가능하도록 한 것도 독특한 물건이었습니다. 게다가 사용자 환경도 같이 가져가서 설정도 함께 설치 된다는 것도 특이한 사항이었습니다. (백업이 완벽하게 되어서 기본 옵션으로 하면 그냥 사용자이름과 패스워드까지 백업이 됩니다. -dist옵션을 넣어야 비로소 기존 라이브 환경이 됩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12.04까지만 지원하고 이후 개발을 중단 했습니다. 만약 소스를 원한다면 기부금을 보내달라고 하네요. 특이하고 마음에 들었지만, 제가 필요로 할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Customizer나 UCK로도 어느정도 가능한 작업이었으니까요. 만약 복잡한 OS설치 및 수정이 싫었다면 샀을 지도 모를 일이기는 합니다. 2년이나 지나도록 다시 개발이 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는 그냥 이렇게 사라지는 듯 합니다. 비슷한 컨셉의 오픈소스가 나오기를 희망합니다.


이상 우분투 커스터마이징 도구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초보자에게도 친절하면서 사용하기도 쉬운 UCK, 조금 불편하지만, 커스터마이징 범위가 상당히 많은 Customizer 저는 특성 상 Customizer를 이용했지만, UCK도 상당히 좋은 도구임에는 분명합니다. 여러분들도 나만의 OS 하나 만들어 보시는 것은 어떠신가요?

,

Stepmania(http://www.stepmania.com/)는 DDR이나 Pump it up!같은 댄스 시뮬레이션 게임입니다. DDR과 같은 4방향과 Pump it up! 같은 5방향을 모두 지원합니다. 실제로 Stepmania용 스텝도 인터넷에 많이 돌아다니고, 가정용 장판만 있으면 충분히 할 만한 수준입니다.


특히! 무엇보다 좋은 것은 오픈소스라는 것입니다. 누구나 소스를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라이센스도 GPL이 아니라서 상업용으로 써도 무방합니다. 실제로 Stepmania기반 아케이드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그것도 자그마치 Pump it up! 시리즈 중 하나로 말이지요. (정확히는 Pump it up! Pro 시리즈 입니다.) 이 외에도 상당히 스텝파일 지원폭도 넓어서 4방향 스텝인 DWI와 2000년대에 나온 Kick it up!(Pump it up! 클론 시뮬레이터)의 파일인 KSF도 지원합니다. 물론 지금은 대부분 *.Sm로 만들어지기는 합니다.


그런데 이 Stepmania가 윈도나 맥은 그냥 바이너리를 주지만 리눅스는 그냥 소스만 덜렁 내줍니다. 하다못해 RPM이나 DEB이라도 좀 주지... 그래서 리눅스에서 쓰기 위해서는 컴파일 작업이 꼭 필요합니다. 이번에는 그 짓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는 어디로 갔지? Any라고 써있으면서 소스만 주는 아...

1. 우선 Stepmania홈페이지에서 소스묶음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www.stepmania.com/download/

여기에 보시면 위의 스크린샷과 같이 Any라 써있는 범용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Windows도 Mac도 아니니 당연히 그렇지요.


2. 압축을 풀고 컴파일을 위한 패키지를 미리 설치합시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넣으면 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asound2-dev libpulse-dev libmad0-dev libtheora-dev libvorbis-dev libpng-dev libswscale-dev libavutil-dev libavformat-dev libavcodec-dev libjpeg-dev libglu1-mesa-dev libgl1-mesa-dev libgtk2.0-dev xorg-dev libxrandr-dev libbz2-dev libglew1.5-dev automake1.10 build-essential curl g++ libfaac-dev libmp3lame-dev libx264-dev libxvidcore-dev


무진장 많은데 저 라이브러리를 다 쓰기 때문에 다 써먹어야 합니다. xorg-dev만 넣어도 알아서 다 따라온다고 하는데 그냥 넣어버리지요.


3.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덩어리(?)의 압축을 풀어서 해당 폴더에 쳐들어가 봅시다.

이 소스를 컴파일 한 뒤에 Songs 폴더를 포함해서 써먹어야 하는 파일들이 모인 곳이니 중요히 여기자. 문제생기면 또 컴파일하면 된다.


4. autogen.sh 파일을 실행하자. 

잠깐 터미널이 지나가고(터미널에서 실행을 안 해도 파일 변화가 보입니다.) Configure라는 스크립트가 생성됨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아래를 비교해보자. 약간의 변화가 느껴지는가?

5. configure를 실행해 봅시다. 이왕이면 터미널로 실행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만약 중간에 오류가 생기면 어디서 어떤 라이브러리가 부족한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6. 이제 터미널이 들어가야 합니다.

 터미널을 이용해서 해당 소스 트리로 들어갑시다. (cd ~~ 아시지요?)

그 다음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립시다.


make distclean

./Utils/build.sh -f -v -j2

(위의 -j뒤의 숫자는 스레드 수입니다. 듀얼코어면 2 쿼드코어면 4를 써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f는 동영상 지원용입니다. 만약 최신 소스를 사용하시면 이게 필요없습니다.


7. 이제 컴파일이 다 될 때까지 시간을 보냅시다.


한 번 지켜보자..왜인지 빨려들어갈 것 같은 기분이든다. 괜히 쳐다보지 말고 그냥 다른 짓을 하도록 하자.

8. ~/.stepmania-5.0/Songs 폴더에 내가 하고 싶은 음악들을 몰아넣자.

(그냥 소스트리의 Songs폴더에 넣어도 됩니다.)

특이하게도 폴더트리 구조가 

Songs------Jukebox1-----곡1폴더--곡과 스텝파일

               |                       |--곡2폴더--곡과 스텝파일

               |

               |--Jukebox2------곡3폴더


이러한 형태라서 폴더구조를 이중으로 만드셔야 인식이 됩니다.


9.  ~/stepmania-5.0/Themes 폴더에 내가 쓰고 싶은 테마를 넣자.

(그냥 소스트리의 Themes폴더에 넣어도 됩니다.)

여기는 이중구조 아닙니다. Themes 폴더안에 스킨(테마)하나 폴더 만들어서 그안에 압축풀어 넣으시면 됩니다.


10. 소스트리 루트에 있는 stepmania 파일을 실행하면 끝.

이 제 저것만 실행하면 끝!


11. 메뉴에 추가하거나 /bin에 링크를 만들어 넣는 것은 수동으로 해주시면 됩니다.(네 저 좀 무책임합니다.)



Q: 곡이나 테마파일은 어디서 구하냐구요?

A: 그냥 포럼을 뒤지세요. 상당히 좋은 곡들과 테마들이 넘쳐납니다. 특히 자작스텝의 경우, 개념있는 스텝도 있는 반면 미친듯한 극악의 스텝도 있습니다.

곡 : http://www.stepmania.com/forums/songs/

테마 :http://www.stepmania.com/forums/themes/


Q : 화면이 버벅거려요!

A : OpenGL이 잡히나요? 터미널에서 glxinfo 명령을 내린뒤에 장치가 soft renderer나 softpipe라던가 llvmpipe라던가... 이러면 느립니다. 옵션에서 해상도를 낮추고 이미지 품질을 낮추는 등의 일련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Q : 이거 돈받고 팔아도 되나요?

A : 프로그램은 돈 받고 팔아도 되는데(MIT 라이센스라네요.) 곡이나 테마는 저작권이 걸려있으면 못 팝니다. 물론 전부 자작이라면 가능합니다. 그런데 기본스킨도 저작권 있는것 아시나요?


Q : 발판은 어디서 파나요?

A : 옛날 DDR발판 중고로 구하셔도 되고 그냥 오픈 마켓 뒤지면 나옵니다. 어떤 분은 직접 만들기도 하시더군요. 책받침이나 PE(1T~1.5T정도) 사다가 알루미늄 테이프하고 전선가지고 조이패드나 키보드에 납땜해서 만들기도 합니다.


Q : 층간 소음 어쩌나요?

A : 저한테 묻지 마시고 아랫집하고 직접 이야기 하세요.


Q : 소스 컴파일하는데 너무 오래걸려요. 바이너리를 주세요.

A : 컴파일하는데 요즘 컴퓨터로 2분이면 충분합니다. 제 컴퓨터로 5분이면 컴파일 완료되던데요.


Q : 코나미가 소송 안 거나요? 안다미로는요?

A : 아니 뭘 이런 걸 다 신경쓰세요. 벌써 5.0인데 아직까지 별 소리 없는 것 봐서는 별 문제 없을 겁니다.


Q : 게임이 너무 힘들어요!저 살빠지면 책임지실거에요?

A : 이 사람이 진짜....

,

최근 Long Live The Queen의 작업 결과물 덕에 갑자기 방문자 수가 늘었습니다. 사실 Long Live The Queen은 처음엔 그냥 심심해서 스팀에서 싸게 팔던 게임을 가지고 이리저리 갖고 놀던 것이 시초였는데, 어느새 이렇게 되었네요. 



다 좋은데... 저 "진 라면" 하고 "현대 카드"는 뭐지? 난 라면에 대해서도 신용카드에 대해서도 쓴 적이 한 번도 없는데?

하지만 약간 씁쓸하기는 합니다. 기껏 열심히 쓴 글은 방문자수가 고작 두 자리수에 그쳤는데 Long Live The Queen 한글 개선 패치를 배포하면서 200명 가까이 늘었습니다. 그것도 검색엔진이 아니라 원 한글패치 제작자 이신 ghap님의 티스토리를 통해서 말이지요.


이 포스팅 전에 Xorg와 Wayland에 대한 글을 올리면서 이 블로그에 대한 정체성이 흔들린다는 토로 글을 시작했었는데, 이것을 보면 안 흔들릴래야 안 흔들릴 수가 없습니다. 아니, 그동안 제가 쓴 글이 그리 영양가가 없었다는 이야기도 되겠네요. 다음 부터는 글을 쓸 때 더 고심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워낙 우분투 사용자 층이 엷다 보니 생긴 해프닝일 수도 있고요.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여긴 우분투/리눅스 관련 블로그 임을 다시 한번 밝혀 드립니다.


Long Live The Queen은 사실 리눅스 지원 게임이라서 소개도 하고, 약간의 삽질을 통해서 안드로이드에서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올렸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한글 패치의 존재를 알았고, 이 한글패치를 적용해서 안드로이드 포팅을 하다가 한글이 완벽히 적용이 되지 않았음을 알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삽질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도 컴퓨터를 켜자마자 렌파이를 갖고 놀고 있었네요. 그러다 또 Long Live The Queen의 엔진 패치 및 기타 오류 패치를 배포했는데, 개인적으로 이것이 마지막 메이저 배포였으면 좋겠습니다.


정작 하라는 블로그 글은 안 쓰고... 그래서 오늘도 이런 영양가 없는 잡담으로 글을 채우는 중입니다. 내일부터는 다시 제대로 된 포스팅을 해야지요. 여기는 우분투 블로그니까요. (정작 리눅스 민트를 사용하는 중이기는 하지만...)

,



 

 VS

 



간만의 포스팅이군요. 한동안 Long Live The Queen 한글패치 관련 작업 및 다른 일 떄문에 글을 전혀 올리지 못했습니다. 이제 원래 블로그 주제에 맞는 글을 다시 올려야지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여기는 우분투/리눅스민트 사용 및 리눅스에 대한 이야기를 적는 블로그니까요. 기타 삽질 카테고리가 우분투 카테고리보다 늘어나면 블로그명 부터 갈아엎을 겁니다.


이제 서론은 그만두기로 하고, 이번 포스팅 주제를 다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지는 해 Xorg와 뜨는 해 Wayland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뜬금없이 나타난 해 - Mir는 제대로 공개가 되면 이야기 해봅시다.)


1. Xorg 이것은 무엇일까?

Xorg는 최초의 GUI 시스템인 X윈도우(X11)의 일종입니다. XFree86이 최초의 GUI 구현체였지만 이것이 라이센스가 꼬이면서 사람들은 마지막으로 라이센스가 GPL이었던 버전을 그대로 Fork해서 새로이 만들어내었습니다. 이쪽은 라이센스가 여전히 GPL 혹은 LGPL이었기에 커뮤니티 기반의 리눅스/유닉스 배포판에서 환영을 받았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배포판이 전부 Xorg로 넘어간것도 다 라이센스문제 때문이었지요. 특히 GPL이 꼬여있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이후에 비슷한 일이 OpenOffice.org와 LibreOffice에서 일어납니다.)

그런데 Xorg는 바로 전에 말했듯이 기존의 만들어졌던 XFree86의 후손이기에 소스코드가 XFree86기반이었고, 이 소스는 자그마치 80년대에 만들어진 코드였습니다. 즉, 만들어진지 30년이 된 시스템을 이리저리 때워가며 만든 것입니다. 그런데 2010년대에 들어선 지금에도 대다수 리눅스/유닉스의 GUI는 거의 Xorg 혹은 XFree86입니다. 사실 그동안 많이 쓰이기도 했고 대다수 프로그램들이 이 X11기반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이 Xorg를 이리저리 고쳐서 쓰는 실정입니다. 사실 중간에 격변을 거치기는 했습니다. 문제는 격변이 덩치 불리기로 이루어져서 코드 최적화가 더 이상 불가능할 정도로 안드로메다로 날아가 버렸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그래픽 카드들은 계속 나오고 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기술들이 들어가기 시작했고, KMS나 DRI, AIGLX 등의 많은 기능이 추가되게 됩니다. 문제는, 이를 다 쓰기에 Xorg는 너무 낡은 코드를 사용했고, 가벼운 데스크탑을 지향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따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Wayland란 녀석이 눈에 띄게 되면서 이 물건이 Xorg의 자리를 노리기 시작합니다.


2. Wayland의 정체

Wayland는 사실 레드햇 개발자가 따로 떨어져나와 시작된 프로젝트였습니다. 꼭 필요했던, 하지만 아무도 시작하지 못했던 그런 프로젝트였지요. 그런데, Wayland 이놈은 대부분 기능을 커널에 넘겨버리는 짓을 합니다. 즉, 커널이 디스플레이의 대부분을 담당하게 하면서, 자신의 몸집을 줄이는 방향을 택한 것이지요. 사실 KMS와 DRI기능이 커널에 들어가면서 이것이 가능하게 되었는데, 지금 사용하는 리눅스 데스크탑은 전부 사용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언제부터 갑자기 xorg.conf 삽질을 하지 않아도 알아서 해상도가 잡히고, 입력 장치들이 알아서 인식되는 등, 한번 Xorg에 큰 변화가 이루어진 적이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KMS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지요. 아마도 KMS가 본격적으로 지원된 커널이 2.6.35버전부터 였을 것입니다. 아무튼 Xorg의 코드 사용은 점점 줄어가는데 정작 Xorg는 코드가 너무 방대해서 이 코드들을 줄일 방법이 전혀 없었습니다. 지금도 레거시 지원이라는 명목으로 예전 방식 그대로 설정을 하면 그대로 먹히기는 합니다만, 해상도 설정이나 입력장치 설정 같은 것은 굳이 예전방식으로 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KMS방식이 훨씬 빠르기도 하고 가볍기 때문이지요.

 Wayland는 이를 중점으로 삼고 기존의 X11이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되지 않게 될 부분을 과감히 쳐내고 필요한 부분 만을 구현해서 만들어냅니다. 이를 통해서 훨씬 작은 시스템이 가능해지고, 가벼운 데스크탑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Wayland는 Xorg의 1/10크기 정도라고 하네요.


3. Xorg는 이대로 사라질 것인가?

Xorg도 그렇고 Xfree86도 그렇고, 이 물건들은 자동차로 치면 거의 포니 수준입니다. 그런데 이 포니에 HUD장치를 달고, 내비게이션을 달고, 이것저것 장치를 주렁주렁 달려고 하다 보니, 자동차가 삐걱거리기 일쑤에 지금은 쓰지 않는 쓸데없는 것도 생기게 됩니다. 이미 낡은 자동차에 장치만 잔뜩 달면 기름도 많이 먹겠지요? 참 보는 사람도 답답할 지경입니다.

이런 차에 내비게이션 달고, ABS브레이크를 넣고, 아이팟 시스템을 달고, HID라이트를 달고... 그냥 차를 바꾸는 것이 낫지 않을까? 사진은 현대 포니 출처 - 위키피디아

분명히 지금 사용하는 X11기반 프로그램들도 Wayland로 포팅될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KDE나 Gnome같은 메이저 데스크탑 환경도 Wayland로 포팅중이고 QT5기반의 새로운 Wayland기반 데스크탑 환경도 니왔습니다. (이름은 Hawaii입니다. MAUI프로젝트에서 진행 중입니다. (http://www.maui-project.org/) 그런데 Wayland로 넘어가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우리는 Wayland가 나왔다고 무조건 바꿀 수 있는 상황이 안 됩니다. Wayland만으로는 인터넷조차 하기 버거운 상황이거든요. Firefox가 Wayland기반이 아니라 여전히 X11을 이용하기 때문에 간단한 인터넷도 현재 Wayland만으로는 부족합니다. Firefox나 Chrome도 결국에는 X11기반이 아닌 다른 물건으로 바뀌겠지만, 그것이 Wayland가 될지 아니면 다른 프로젝트의 결과물(Mir같은...)이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 때쯤이면 Xorg는 추억속의 물건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4. Wayland를 지금 써보고 싶다면?

현재 Wayland는 그럭저럭 쓸만한 수준까지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를 제대로 활용한 배포판이 많지가 않습니다. Debian에 Wayland는 있지만 Debian이 그렇듯이 검증 안 된 패키지는 저장소에 잘 안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Debian은 Wayland를 이용하기 좀 어려운 배포판입니다.(물론  Unstable이나 Sid를 이용하면 되기는 합니다.) Wayland를 써보시겠다면 ArchLinux로 써보시길 추천드립니다. Wayland같이 안정 버전이 없거나, 검증되지 않은 패키지는 빠른 업데이트가 제일 중요한데 Arch같이 빠른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배포판은 없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다른 배포판(Debian계열이나 Ubuntu계열이 대표적으로)은 wayland 패키지를 설치했어도 xorg패키지를 설치하지 않으면 GUI설정이 전혀 안되거나 스크립트를 이리저리 뜯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Arch는 원래 GUI부터 수동이라 Wayland설정을 하기가 더 쉽습니다. 위에서 말한 MAUI프로젝트도 Arch기반인 것도 다 이유가 있는 것이지요. https://wiki.archlinux.org/index.php/wayland 여기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하시면 Wayland 기반의 Arch환경을 구축 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X호환환경을 만들어주는(사실 Wayland내에 Xorg를 올리는 형태지만) Xwayland를 갖춰주시면 지금도 쓸만한 데스크탑환경이 됩니다.(Xwayland를 이용함으로써 X11기반 프로그램도 쓸 수 있습니다.)

 반대로 Xorg환경내에서 wayland를 이용하고 싶으시다면 기존의 X11기반의 배포판에 wayland를 설치만 해주시면 weston 명령으로 wayland를 창 형태로 돌려보실 수 있습니다.다만, wayland전용의 환경은 많지 않아서 말 그대로 테스트 그 이상의 효과는 못 낼 것 같습니다. 하지만 X11용 그래픽드라이버를 이용하면서 가속도 할 수 있으니, nvidia나 따끈따끈한 신형 AMD GPU 이용자(Catalyst만이 해답인..)라면 이걸로 쓸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Wayland는 오로지 오픈소스 드라이버만이 사용 가능하니까요.


5. 잠깐 Xwayland라고요?

위에서 저는 언젠가는 X11기반 프로그램들이 Wayland 기반으로 포팅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사실 Wayland는 X11호환을 위한 라이브러리가 준비 되어있습니다. 제가 Xorg환경내에서 weston명령을 쓰면 새 X11창 내에 Wayland 환경이 뜬다고 했지요? 그걸 반대로 뒤집으면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Wayland환경내에 X11환경을 띄우는 것입니다. OSX도 비슷한 짓을 하니까(X11을 내부에서 돌립니다.) X11자체는 크게 패치를 할 것이 없을겁니다. 이 것을 이용하면 Wayland로 포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프로그램도 쉽게 쓸 수 있게됩니다. 예를 들면 지금의 유료프로그램을 들 수 있겠네요. Matlab이라든가, 한글2008같은 프로그램 것 말이지요. 특히 한글은 wayland로 포팅 될 일이 없을 테니 꼭 필요해 보입니다. 그런 프로그램들을 위해 Xwayland가 준비 되었는데, X11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면 Wayland내에서도 바로 내 쳐질 것입니다. 어차피 호환을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니까요. 하지만 X11이 30년동안 쓰여오면서 그 기반 프로그램을 무시 못하니 Xwayland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30년 동안 쓰인 GUI서버가 언제쯤 사라지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그 때까지 부족한 Wayland기반 프로그램들을 대신해줄 물건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6. Wayland외의 또 다른 경쟁자는?

 과거의 X11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많았습니다. 그나마 뚜렷한 성과를 보인 것은 XGL(OpenGL기반 X11대체 프로젝트)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도 AIGLX(X11 개선에 초점)에 의해 밀렸고, 지금까지도 X11이 쓰이게 됩니다. 즉, Wayland같이 이렇게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 프로젝트는 거의 없었던 것이지요. 딱 하나만 제외하고요. 우분투를 만들어서 배포하는 캐노니컬의 Mir가 현재로써는 유일한 경쟁자로 보입니다. Mir가 어떻게 나올지 어떤 모습을 하게 될지는 캐노니컬이 공개를 하지 않아서 알 수는 없지만, Wayland와 비슷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은 듭니다. 어쩌면 XGL vs AIGLX 때처럼 Mir vs Wayland가 될 가능성도 있겠지요. 어떤 프로젝트가 사라지게 될지 아니면 둘 다 살아남아서 서로의 장점을 이끌어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Mir가 공개된 정보가 많지가 않아서 Wayland와 다르게 알 수가 없습니다. 지금 당장 사용해 볼 수도 없고 알 수도 없어서 아직까지는 Wayland가 대세라고 생각합니다. Mir는 이 Wayland를 뛰어넘어야만 세상에 공개 될 것 같습니다.


리눅스/유닉스는 X11을 통해서 GUI란 놈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실제로 GUI를 제대로 퍼뜨린 것은 Apple이지만, GUI의 개념을 제대로 만들어 낸 최초의 결과물은 X11이었지요. 이제 그 X11이 역사속으로 사라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역사속으로 사라지려면 좀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네요. 과연 Wayland가 성공적으로 안착을 할 수 있을까요? Xorg는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 있을까요? 리눅스/유닉스의 GUI는 또 어떻게 바뀔까요? 모바일 시대로 넘어가는 이 때의 Wayland가 모바일 시대에 맞춰서 나올 수 있을까요? 10년 뒤의 모습이 정말 궁금합니다.


2016. 3. 23 추가

2016년이 되고보니 Mir도 공개되고 Wayland와 맞붙을 준비가 되었습니다. 아직 Mir가 지원하는 환경이 많지는 않지만 Wayland가 지금까지 걸어온 길에 비해 상당히 순항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제는 Unity가 불편한 UI가 아닌 빠릿하고 편리한 UI라는 평가를 받는 지금 Mir가 Wayland에 비해 이득이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아쉬운 것은 Wayland가 아직까지도 안정화가 안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Mir는 이제 16.04에 탑재 되는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났는데(15.10에서 설치가 가능합니다.)Wayland는 아직까지도 안정화가 되었다는 느낌이 없습니다.

이렇게 가다가는 Wayland를 10년뒤에나 제대로 볼 수 있을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

http://moordev.tistory.com/20


우선, 링크의 글에서 저는 갖은 삽질을 통해서 안드로이드 버전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이때까지 저는 알지 못했습니다. 갑작스런 한글패치 및 삽질 하기 전에는...


관심 없으시겠지만 패치 제작 동기를 보고 싶으시다면 클릭


우선 이야기는 쭉 거슬러 올라가서 제가 Long Live The Queen의 한글패치가 개발중이라는 소식을 들으면서 시작됩니다.

http://ghap.tistory.com/entry/LONG-LIVE-THE-QUEEN-%ED%95%9C%EA%B8%80-%ED%8C%A8%EC%B9%98-%ED%8C%8C%EC%9D%BC%EC%9E%85%EB%8B%88%EB%8B%A4

끄암이라는 분께서 팀 왈도와 함께 한글패치를 공개중이라는 소식을 듣고는 적용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안드로이드로 포팅하기 위해서 또 다른 삽질을 시작합니다.


Ren'Py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고 glpatch.rpy 삭제, steam.rpy 삭제, translation.rpy를 unrpyc한 후 2줄 주석 처리

translation.rpy

screen language_select:
    tag menu
    modal false
    add 'video_prefs_bg'
    vbox:

 →

screen language_select:
    tag menu
    # modal false
    add 'video_prefs_bg'
    vbox:

                 renpy.file(fn).close()
                return fn
            except:
                return s
        
        renpy.display.text.text_tags['tag'] = False
label set_language_failed:
    "An error occurred loading the new language:\n%(last_exception)s"
    return

 →

                 renpy.file(fn).close()
                return fn
            except:
                return s
        
        # renpy.display.text.text_tags['tag'] = False
label set_language_failed:
    "An error occurred loading the new language:\n%(last_exception)s"
    return

 

 

 

그리고 안드로이드에만 해당되는 패치로써

config.searchpath[0] 을 전부 '/sdcard' (따옴표 포함)로 찾아바꾸기 함으로써 한글패치 중 translation 폴더를 sdcard에 넣어서 패치가 인식되도록 고칩니다. 


그 다음 이전과 똑같이 rpatool로 llq.rpa 파일을 풀어버립니다.

그리고, 렌파이 런처에서 안드로이드로 작업하면 모든 것이 끝이 납니다. 정확히는 해당 글의 유튜브 영상을 보시면 안드로이드 포팅이 완료 됩니다. 그냥 유튜브 영상을 따라한 후 위의 작업을 해주시면 모두 완료 됩니다.

 

바로 여기까지가 안드로이드포팅을 위한 삽질이었습니다. 그런데 '/sdcard'로 찾아바꾸기를 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이 또 필요하게 될 줄은 저도 몰랐습니다.

안드로이드 포팅 하면서 한글패치를 하고 한글화가 몇 군데가 덜 되었다는 것을 발견 합니다.

이 부분은 포럼에서도 말이 많은 부분이다. 왜 번역이 안 되는지 이유를 알 수 없다고..

즉, 몇군데가 완벽히 번역이 되지 않았는데, 문제는 번역파일 내에 이 문장들이 들어있었던 겁니다. 즉, 번역파일이 있음에도 문장이 번역이 되지 않는 이상한 현상이 생긴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렌파이 내에 자체 번역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options.rpy에

config.language = "korean"

이 한 줄을 추가하고 렌파이 루트에 environment.txt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RENPY_UPDATE_STRINGS=""

이 한 줄을 넣어주면 이후 렌파이런처를 통해 게임을 할 때마다 game/tl/korean/strings.rpy 파일이 생성되면서 번역을 위한 파일이 생성 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번역을 해서 문장을 처리하니 잘 만 되더군요.(좀 노가다이기는 하지만)


그런데.....


렌파이런처가 아닌 스팀을 통해서 실행을 하면 오류가 나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그것도 tl/korean/strings.rpy 파일이 문제라고 하더군요.

웃긴것은 렌파이 런처를 통해서는 잘만 실행이 되었다는 겁니다.

렌파이 런처를 통해서 실행하면 에러가 없었단 말이다. 대체 뭐가 문제야!

....


결론부터 말하자면 렌파이 런처를 통해서 실행하면 최신버전의 렌파이(즉, 안드로이드 포팅을 위해 다운로드 받은 그 렌파이)를 통해 실행이 되고 스팀으로 실행하면 기존에 제작자가 만들었던 렌파이로 실행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즉, 렌파이 버전이 달라서 생긴 문제입니다.

기존 버전은 6.12.2 이었고, 이번에 제가 다운로드 받은 버전은 6.17.7이었습니다. 이 버전 차이가 약간의 문제를 일으킨 것입니다.


제가 안드로이드 포팅을 위해 이리저리 뜯어고치고 바꾸고 한 것이 사실 제가 다운로드 받은 렌파이엔진에 맞게끔 뜯어고친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리고 저 game/tl/korean/strings.rpy 파일도 기존 스팀으로 다운로드 받은 렌파이로는 처리가 불가능(translation 관련 스크립트가 전무합니다.)했기에 에러를 뿜은 것입니다.


...그래서 렌파이 런처로 어쨌건 실행은 되긴 되니까 배포판 만들기 기능으로 아에 새로운 배포판을 만들어봤습니다.


내가 만든것도 아니면서 배포판 기능을 사용했다... 뭐 직접 배포할 것도 아닌데 뭘


중간에 options.rpy 파일을 손대는 과정이 있었는데 잠깐 무시하고 배포판으로 만들어진 것을 직접 실행해봤습니다. 그랬더니 Steam문제만 일으키고 마네요?

그래서 options.rpy를 기존것으로 교체후에 Steam에 있던 폴더를 교체해봤습니다.

잘만 번역 되네요. 심지어 스팀도 연동 잘 됩니다.그런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한 가지 있었습니다...게임엔진이 완전히 교체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제, 렌파이도 버전이 바뀌었고, Python도 Python2.6에서 Python 2.7로 바뀌었습니다. 이것이 어떤 문제를 일으킬지는 알 수 없지만, 최소한 번역 관련해서 문제를 일으킬 것 같지는 않군요.


LongLiveTheQueen/lib/ 폴더트리구조부터 바뀌었다. 이외에도 LongLiveTheQueen/renpy/ 도 당연히 바뀌었다. 엔진 버전 자체가 바뀐 상태로.

그리하여...해당 엔진 버전업 패치를 공개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game/ 폴더 제외하곤 거의 통짜 교체라 이게 먹힐지 안 먹힐지....


닫기



이미 대부분의 기능이 Ghap님 패치에 이식 되었습니다. 몇몇 추가기능(그래픽 가속 기능, 렌파이 번역엔진, 안드로이드 포팅)등을 이용하실 생각이 있으신 분들만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단순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라면 Ghap님 패치만으로 충분합니다. (몇몇 문장 번역 안 되는 문제는 Ghap님 께서 alpha버전을 통해서 작업하고 계십니다. 필요한 기능이 alpha버전에 들어가 있거든요.)




이 패치는 우선적으로 http://ghap.tistory.com/entry/LONG-LIVE-THE-QUEEN-%ED%95%9C%EA%B8%80-%ED%8C%A8%EC%B9%98-%ED%8C%8C%EC%9D%BC%EC%9E%85%EB%8B%88%EB%8B%A4

여기에 있는 패치 적용이 전제되어야합니다. 즉, Ghap님의 패치를 먼저 하시라구요...


단!!! 우선 Ghap님 패치중에서 options.rpy는 하지 말아주십시오. 엔진 교체시 스팀 연동불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 options.rpy를 뺴고 제 패치를 설치한 후에 구동해 보십시오. 구동이 잘 된다면 그냥 게임을 해주시면 되고 구동이 안 되시면 그 때 options.rpy를 넣어주셔도 늦지 않습니다.


우선 기존의 C:\Program Files\Steam\steamapps\common\LongLiveTheQueen\renpy폴더를 미리 삭제해 주셔야합니다.

안 그러면 엔진충돌 납니다. 혹시 모르니 미리 백업하시는 것도 필수입니다.

리눅스 사용자라면

~/.steam/steam/SteamApps/common/LongLiveTheQueen/renpy 폴더를 미리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이전버전

그리고 


윈도우 사용자용(7z압축)
리눅스,MacOSX사용자용(tar.gz압축 권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위의 패치를 다운로드 받으신 다음 그대로 덮어쓰기 해주시면 됩니다. 


리눅스 사용자는 tar.gz 파일을 이용하시면 따로 권한 설정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리눅스 사용자에 한해서 다음 명령어로 실행권한을 주시기 바랍니다.(OSX는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리눅스 처럼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chmod +x ~/.steam/steam/SteamApps/common/LongLiveTheQueen/lib/linux-i686/LongLiveTheQueen

chmod +x ~/.steam/steam/SteamApps/common/LongLiveTheQueen/lib/linux-x86_64/LongLiveTheQueen

chmod +x ~/.steam/steam/SteamApps/common/LongLiveTheQueen/LongLiveTheQueen.sh


이 패치로 인해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 저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패치를 함으로써 생기는 문제는 전적으로 사용자 책임입니다.


번역은 Ghap(ghap.tistory.com)님과 팀 왈도의 결과물입니다. 번역본을 다른 용도로 이용하실 분은 미리 번역자분께 허락 받기 바랍니다.


8월 9일 추가


이 이미지를 moodbg.png라고 /game 넣어주시면 기분 탭의화면이 이것으로 바뀝니다. 영문 폰트를 대충 지운 흔적이 보이지만 게임상에선 아무 지장없습니다.(...)


8월 10일 새벽에 추가


Prettyprint.rpy(숫자관련 스크립트)부분을 대폭 수정하여 영문으로 뜨는 부분을 날려버리고 아라비아숫자로 뜨도록 바꿨습니다.  one two 등으로 뜨는 부분을 1,2 로 싹다 바꿨습니다. 하나 둘 셋으로 바꿔도 되지만 우리나라 말 특성상 한 대대 두 소대 세 중대 등 단위가 바뀌면 또 말이 바뀌어서 그냥 아라비아 숫자로 뜨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더 보기에 낫고요. 일부 함수가 작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서 그냥 함수를 덮었습니다. 그랬더니 잘 되네요. 이유야 어찌되었든...


그리고 추가 개선 한글 패치에서 Ghap님의 1.5버전에 맞게 일부 수정했습니다. 어쨌건 이 패치를 하면 한글은 잘 나오는데 다른 언어 사용자들은 지옥을 맛보게 될 겁니다.(설마 이 게임을 영어 공부하는데 쓰지는 않겠지요?)


8월 10일 버전 패치(구글드라이브라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인내를 갖고 기다리시면 다운로드가 될 것입니다.)


윈도우 사용자용(7z압축)
리눅스,MacOSX사용자용(tar.gz압축 권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8월 12일 새벽.

로그 기능에 문제가 생겼던 이유는 파이썬이 기본적으로 아스키 코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벌어진 일입니다. 해당 파이썬 스크립트 시작 부분에


sys.setdefaultencoding('utf-8')


요 한줄을 추가 함으로써 해결이 됩니다.

브라우저에서 마구 깨지는 문제는 htmlize_readback_log() 함수 첫줄에

<head><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charset=UTF-8"></head>

이 <html>와 <body>사이에 태그를 삽입하도록 만들면 됩니다.


html = '<html><head><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charset=UTF-8"></head><body>'


이런 식으로 말이지요.


아래 13일 버전 패치를 통해서 해결 했습니다.

도로 접기


8월 13일 버전 패치(구글드라이브라 속도가 느립니다. 기다려 주시면 링크가 뜰 것입니다.)

{스팀경로}/LongLiveTheQueen 폴더에 압축을 풀기 전에 LongLiveTheQueen/renpy 폴더를 미리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Ghap님의 패치와 달리 (스팀경로)/LongLiveTheQueen 폴더에 압축을 풀으셔야 합니다.



윈도우용 (7z압축)

리눅스,OSX용 (tar.gz압축 따로 권한설정 필요없음)


수정사항

1. 로그 관련 오류 수정 - UTF-8인코딩을 기본적으로 쓰도록 함 (기존은 ASCII 인코딩이었음)

2. 저장이나 불러오기 중에 빈 슬롯에 "Empty Slot" 을 "비어있음"이라고 뜨도록 함. 200개 까지는 커버 함

3. 과목을 다 배우거나 한 종류만 50을 배웠을 때 과목 명이 영문으로 뜨므로 임시로 그것을 막기 위해


"당신이 현재 배우는 스킬은 50이 되었습니다. 같은 그룹내의 다른 스킬들이 25 이상이 되기 전엔 해당 스킬을 향상시킬 수 없습니다."

"당신은 이 스킬에 대해 더 배울 것이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뜨도록 수정. - 한국어를 이용한 꼼수 - strings에 적힌 것과는 별개로 translation.rpy에 하드코딩 했으므로 무조건 이렇게 뜹니다.


4. prettyprint.rpy에 몇몇 함수가 여전히 작동 불능상태이므로 readable_number_small함수를 Override하는 식으로 덮었음. 함수가 작동 안 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주의. Ghap님의 1.6버전의 한글패치 중 /translation/kr/ui/printpretty.rpy 파일이 들어있는 한 해당 스크립트가 우선 오버라이드 됩니다. /translation/kr/ui/printpretty.rpy 및 /translation/kr/ui/printpretty.rpyc 파일의 삭제 부탁드립니다. strings파일도 같이 있는 것으로 봐서 ghap님이 실수 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5. 세이브파일에는 0주차로 뜨고 게임 내에서는 1주차로 뜨는 것을 수정 하는 패치 제작(제작사와 관계없이 수정 했으므로 무슨 일이 벌어질지 저도 모릅니다. 제작사는 버그가 아니라고 했으므로 안 하셔도 됩니다.)

세이브 주차수 관련 패치


압축을 풀어서 /game 폴더에 넣어주십시오.


6. 제일 중요한 오타 및 실수 수정.

,

Gambas는 토마토소스에 야채를 썪어서 만든 매콤한 요리입니다. 보통 뷔페등지에 가면 볼 수 있는 음식이지요. 그런데, 갑자기 우분투 블로그에서 왜 요리이야기룰 하냐고요? 사실 Gambas는 이 요리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Gambas는 리눅스 환경에서 Basic언어로 GUI를 만들어낼 수 있는 막강한 툴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제작자도 이것을 알고 있어서 프로그램 아이콘이 새우입니다. 토마토소스에 볶은 새우요리인데, 정작 아이콘은 파란 새우네요. 약간 유머와 위트를 섞은 것 같네요.


즉, 이 요리이야기가 아니라 이미지 출처 -http://www.piospaella.com/food/item/gambas-al-ajillo/


바로 이 개발도구 이야기 입니다.


우선 gambas 이야기 하기 전에 Visual Basic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Visual Basic은 Basic언어를 사용하는 RAD(생산성 향상 개발도구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입니다. 우선 쉽기로 유명한 Basic언어를 쓰면서 GUI도 상당히 자유롭게 만들 수 있어서 VIsual Basic은 초보 개발자들에게 입문용으로 많이 추천되어져 왔습니다. 다만, 6.0까지만 그랬고 이후에 나온 VB.net같은 물건은 Basic을 쓰기는 쓰는데 워낙 기능이 많아서 입문용으로 C보다 별로인 물건으로 굴러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실제로 지금도 Visual Basic은 2005이후 버전을 쓰거나(그나마도 대부분 교육용으로 나온 2005 Express을 씁니다.)아직도 6.0을 쓰고 있습니다. 6.0이 가볍기도 하지만, 그만큼 VB.net에서 이것저것 기능을 추가하다보니 문법이 방대해진 것도 한 몫 했습니다. 



Visual Basic 6의 모습, 개발자 친화적이라는 Microsoft의 역작중 하나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하지만 그 특유의 생산성은 여전해서 아직도 간단한 시리얼 통신을 기기 제어, GUI를 구현하는데 많이 쓰이고 있고, 지금도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그러다보니 리눅스나 BSD진영에서도 이러한 Visual Basic스러운 물건이 만들어 지는데 이게 바로 Gambas입니다. 그러나 Gambas와 Visual Basic은 서로 호환이 전~혀 안됩니다. 실제로 Gambas홈페이지(http://gambas.sourceforge.net/en)에서도 Visual Basic과의 차이를 들어가며 설명중입니다.

아는 선배의 부탁으로 gambas로 만들고 있는 측정 프로그램, 이걸 만드는데 하루도 채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Gambas도 결국 Basic언어를 쓴 하나의 도구이기 때문에 코드 호환성이 어느 정도 확보가 됩니다. 마음만 먹으면 Visual Basic에서 동일하게 컨트롤을 배치하고 Name을 똑같이 배정한 다음 코드를 그대로 복사-붙여넣기 하면 60%정도는 돌아갈 것입니다. 고작 60%?라고 생각하실 수 도 있겠지만 이 정도면 선방한 셈입니다. Basic을 쓰더라도 Visual Basic와 QBasic은 죽어도 호환 안 되는 것을 생각하면 이거라도 감지덕지입니다. VB나 Gambas나 생산성을 위한 도구니까, 본격적으로 만드는 프로그램에는 적합하진 않습니다. 본격적으로 만드실려면 C/C++나 Python같은 언어로 개발하시는 것이 나중에 기능 추가등에 편리합니다. (Visual Basic으로 제대로 만들어서 판매하는 사람도 있기는 합니다. 언어에 한계란 것이 없어서...) 애초에 OS호환성을 따질 생각이었으면 VB나 Gambas보다는 Python + QTCreator or Glade(GUI를 위한)을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쪽이 나중에 기능 추가를 한다거나 호환성을 확보할 때에는 이쪽이 훨씬 더 편리합니다.


하지만 나중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냥 지금 당장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데 시간이 없다면 Gambas를 쓰는 것이 100배 낫습니다. 윈도라면 Visual Basic으로 하시면 되고요. 하지만 Visual Basic은 가격도 가격이고, 최근 버전은 너무 더럽게 구동이 느려서 저는 그냥 리눅스 환경에서 Gambas를 씁니다. 원한다면 라이브 리눅스에 Gambas런타임하고 새로 짠 프로그램 넣고 주면 그만이니까요. 지금 당장 데이터를 뽑아내야 하는데 가장 생산성이 좋은 Labview는 가격이 상당한데다가 전용 하드웨어가 필요하고, Python은 Glade나 QTCreator와 조합해야 하는데 못 할 것은 없는데, Gambas에 비해 만드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JAVA도 나쁘지는 않지만 GUI 만들기가 제가 이야기한 것 들에 비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Swing은 XML로 뽑아내는 GUI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Glade처럼 XML로 뽑아내주는 도구가 있다면 트랙백이나 댓글 부탁드립니다.)


Gambas를 이번에 쓰면서 느낀 것이지만, Visual스러운 개발 환경을 갖추면서 오픈소스란 점은 정말 매력적입니다. 원한다면 뚝딱뚝딱 만들어낼 수 있는 점도 상당히 마음에 들고, 기존 Visual Basic사용자들도 별 무리없이 넘어 올 수 있습니다.(몇몇 문법차이는 배우면 되니까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장점만 크게 이야기 한 것 같은데 단점도 생각보다는 큽니다. 우선 Visual Basic의 단점은 모두 물려받았습니다. 컨트롤 부족=개발단계 급증가를 의미합니다. 아니, 컨트롤을 개발해야 하는 입장이 된다면 그냥 Basic을 버리고 C/C++만으로 넘어가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처음부터 C/C++로 개발을 하면 중간에 Basic을 끼워넣어서 두번 거치게 하는 것보다 더 쉽게 처리 가능합니다. 물론 나중을 위해서 컨트롤을 미리 개발할 수도 있겠지만, 만약 비공개 프로젝트라던가, 단순 레포트제출용 데이터라던가 하면, 이 과정은 그냥 '삽질'일 뿐입니다. VB.net은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 오만가지 잡다한 것들을 다 넣어놓았는데, 도리어 Basic하지 못해지면서 사람들에게 외면을 받고 말았습니다. 2005 Express부터는 그 기능을 그대로 가져오면서 필요없는 것들을 가리는 등의 Basic한 면을 돌려놓았다고는 하는데 이미 Basic세상은 C#이 점령해가고 있었습니다.(아아...Basic은 이렇게 몰락해 가는가....) Gambas도 마찬가지로 VB.net수준으로 만든다면 사람들에게 외면 받을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컨트롤이 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SDL같은 물건도 지원하는 굉장한 능력은 지녔지만, 저는 SDL기능을 쓴 적이 없네요. 아니, 사실 쓸 일이 없었던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OS호환성 문제가 있습니다. 즉, 호환성이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인데 우선 Gambas는 BSD와 리눅스에서 GUI Basic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출발 했기 때문에 윈도는 전혀 지원하지 않습니다. 특히 Xorg에 거의 대부분 의존하고 있기에 Xorg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OS는 절대로 지원이 안 된다고 합니다. OSX도 Xorg가 그나마 설치가 되기 때문에 그럭저럭 쓸 수는 있지만, OSX는 Xorg의 구동이 매우매우매우 답답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별로 추천하지 않는 다고 하네요. 윈도는 Cygwin에서 GUI를 제외하고는 구동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GUI 안되면 왜 Gambas로 개발하나요? 그냥 Python으로 만들던가 Bash스크립트 만들어내지.... 구글을 통해서 알아보니 다들 그냥 가상화해서 리눅스 올려 쓰라고 하네요.

OS호환성 말고도 버전별 호환성문제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버전별 호환성 문제는 JAVA나 Python도 겪고 있는 문제이니 Gambas만의 문제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Python 2.7이 Python3.x 보다많이 쓰이면서 구 버전을 기본을 설치하는 등의 일도 일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Gambas2.x보다 Gambas3.x가 훨씬 더 많이 쓰이고 훨씬 더 많이 포럼에 글이 올라옵니다. 그냥 기존 Gambas2프로젝트를 Gambas3로 바꾸는 것이 더욱 이득이 되는 상황이라 이것은 그냥 단점을 상쇄하네요.


리눅스와 BSD에서 Visual Basic같은 도구를 찾으신다면 당연히 Gambas를 설치하세요. 만약 Visual Basic을 쓰셨다면 더욱 금상첨화입니다. 어쩌면 이 새우요리가 여러분의 프로젝트를 빠르게 성장 시킬 동력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

두 IDE의 차이는 성능상으로 큰 차이가 없고, 인터페이스도 사람들마다 반응이 달라서 완벽하게 비교는 저의 특성 상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사용에 따른 문제와 그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주류로 쓰여질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려고 한다면 분명 예전에는 100이면 100 Eclipse + ADT였습니다. 사실 그것밖에 답이 없기도 했고 Eclipse가 워낙 JAVA개발툴로써 제일 좋은 물건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이것을 이용했고, JAVA를 이용하는 안드로이드로써는 Eclipse와의 궁합이 가장 중요했지요.


그런데 구글은 Eclipse가 상당히 마음에 안 들었던 모양입니다. 자체적으로 Android Studio란 물건을 내놓았거든요. 사람들 반응은 상당히 괜찮은 물건이라고 합니다. 제가 써본 결과로는 잘 모르겠네요. 다만, 한 가지 기능이 상당히 마음에 들던데, 그 기능은 바로 SDK버전 별로 APK를 빌드 해 주는 기능이었습니다.


Android Studio의 모습. Eclipse와 다른 것은 대체 무엇일까?


Eclipse 시절에는 한번 SDK 최소 버전을 설정하면 SDK버전을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특히 프로젝트를 API 15로 시작했다면 나중에 구 버전 안드로이드 호환을 위해서 API10으로 낮춘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반대로 신 버전 안드로이드의 추가된 기능을 쓰기위해서 API버전을 올리는 것도 문제가 많았습니다. 컴파일이 안 된다거나 소스가 꼬인다던가 하는 일이 많았지요. 그런데 Android Studio로 만들면 이와 같은 문제가 한번에 해결되더군요. 빌드 할 때 API버전별로 APK를 뽑아내줍니다. 나중의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으로 정말 좋은 기능이지요. 새 안드로이드가 나올 때마다 호환성 문제를 매번 겪는 것을 감안하면 정말 눈물 나게 고마운 기능입니다.


그 외에도 많은 개발자들은 Eclipse를 버리고 Android Studio로 넘어갔다는 후문입니다. 하지만 딱 하나 Android Studio를 쓰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NDK가 지원이 안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NDK는 빠른 구동을 위해서는 필요한 라이브러리이지만 일반적인 어플에서는 필요없는 물건입니다. 특히 자바만 이용한다면 당연히 쓸모 없습니다. 하지만, 게임이라던가 동영상 재생기(MX플레이어 같은 소프트 디코딩 지원 재생기)라면 NDK는 없어서는 안되는 물건이지요. 이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Eclipse를 써야합니다.


하지만 Eclipse를 NDK를 쓰지 않음에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사람들의 생각은 바로 이것입니다. "구관이 명관이다." 아무래도 이 생각으로 아직도 Eclipse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구글은 아직도 Eclipse의 ADT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Android Studio는 아직도 베타 딱지를 못 떼내었습니다. 각종 버그가 출몰 중이라고 하는군요. 저도 실행 중 튕김 증상을 겪었습니다. 아직 베타이니 그러려니 하지만, 진짜 중요한 개발이라면 별로 추천할 만한 상태는 아닌 듯 합니다. 아무리 좋은 기능이 있어도 안정적이지 못하면 그건 쓸모없는 것이니까요. 그냥 개인 개발자라면 그래도 무리없이 쓸 수 있겠지만 수십 수백의 돈이 오가는 프로젝트라면 불안정한 Android Studio보다 기존에 써왔던 Eclipse가 더 믿음직 할 것입니다.


기존 안드로이드 개발용으로 많이 쓰인 Eclipse의 모습. JAVA, C/C++등의 범용이라 안드로이드만의 특화 기능은 플러그인을 이용해야만 한다.

개발의 편의성은 Android Studio가 훨씬 더 우세합니다만, 익숙함은 Eclipse가 더 우세합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Eclipse가 기존에 사용되어지는 바람에 서점의 대부분 책들은 아직도 Eclipse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ndroid Studio에 대한 책은 아직도 찾지 못했습니다. 거기에 따른 여파로 Android Studio에 대한 한국어 커뮤니티도 Eclipse에 비하면 작은 편 같습니다. 다들, 넘어가야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구글이 Android Studio를 만든 이상 결국 이 것이 표준 개발툴이 될 것임은 당연해 보입니다.) 그동안 써온 습관과 익숙함 때문에 벗어나기 힘들다고 하는군요. 무엇보다 새로 배워야 한다는 부담감도 꽤 있는 듯 합니다. 같은 JAVA코드를 이용하지만, 인터페이스 자체가 다르다보니 생기는 문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으로썬 Eclipse가 편하다면 Eclipse를 써야겠지만, 결국 Android Studio가 자리를 잡게 되면 이것을 쓸 수 밖에 없는 날이 올 것입니다. 아니면 구글이 또 다른 IDE를 내놓을 지도 모르고요. IDE를 사용하는 것은 개발자 마음이지만, 사용자들은 새로운 기능이 나오면 이 기능을 이용하려고 합니다. 앱 개발자도 엄연히 말하자면 장사꾼이니까요. 장사꾼은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충족시켜줘야 물건이 팔립니다. 해당 앱의 미래를 위해서 제 생각에는 Eclipse로 개발된 앱을 Android Studio에서 바로 끌고 올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방법이 있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Android Studio가 현재는 불안정한 모습도 보이고 있지만 Eclipse를 대체할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기존 JAVA IDE가 아닌 안드로이드 전용의 IDE인 것도 한몫하고 있고, 그만의 특수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IDE와 통합된 테스트 환경이라는 것이 정말 편리하고 또 생산성도 월등히 향상시킵니다. 구글이 Android Studio의 안정화가 완료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면 저도 지금 하는 프로젝트를 Eclipse에서 Android Studio로 옮길 예정입니다. 





과연 Android Studio는 Eclipse를 확실히 밀어내고 독보적인 IDE가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동안 써온 IDE라는 장점을 안고 Eclipse가 계속 안드로이드 개발도구의 1인자가 될까요? 그것은 시간이 알려줄 것입니다.


2015. 10. 26

이 글이 적은지도 약 1년정도 지났군요.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0628150257

현재 Eclipse 기반의 ADT는 지원이 종료됩니다. 그냥 Android Studio를 쓰는 것이 제일 낫습니다. 이제 버그도 많이 없어졌고 상당히 편리해졌습니다. NDK지원도 잘된다고 하니(Windows에서는 간간히 문제가 있다고는 하지만...가상머신이나 멀티부트로 우분투 깔면 해결됩니다.) 이제는 Android Studio를 쓰시면 됩니다.

,

1위는 구글 2위는 다음 3위는....하나코게임즈? 그나저나 장동건을 검색해 들어오신 분은 뭐지?

오늘만 잡담 글을 2개씩 올리네요. 일하기 싫어서 그런 건가... 이제 글이 30개 남짓한 작은 블로그인데 생각보다 재미있는 유입 결과가 올라와서 보여드립니다.


유입경로 4위부터는 그다지 영향도 없고 재미도 없어서 가렸습니다. 1위부터 3위를 보시면 보통의 다른 블로그와 다른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를 통한 유입이 전혀 없다는 것인데, 블로그 많이 하신 분들이라면 검색 누락이라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네, 검색 누락 맞습니다. 그런데 사실 저는 네이버가 좋아할만한 글은 하나도 올리지 않았습니다. 네이버가 좋아할 만한 키워드로는 '아이돌'.'연예인','아이폰', '삼성전자','정치권이야기' 이런 것인데요. 저는 네이버가 좋아하지도 않고 사람들이 별로 찾지도 않는 우분투관련 글만 올려대고 있으니 좋아 할 리가 없습니다. 네이버에 검색 요청을 하는 것도 생각했는데 이제 30개 남짓 올라온 블로그에 요청하는 것도 웃기고, 설사 걸린다고 해도 그것이 바로 방문자 증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입니다. 보통 리눅스를 쓰시는 분들은 대개 구글을 이용하시는 경향이 많다보니 저는 구글만 믿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


3위가 조금 독특한데, 8명뿐이기는 하지만 hanakogames포럼에서 들어오신 분들은 오직 저의 글 중 Long Live The Queen을 안드로이드 포팅하기http://moordev.tistory.com/20 을 위해 손수 들어오신 분들입니다. 어떤 분이 가이드를 알려달라고 해서 링크를 걸었거든요. 대신, 영작은 어려우니 구글번역기를 쓰라고 하면서요.(그 분이 욕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영어로 실컷 자랑했으면서 정작 가이드는 한국어로 하다니) 실제 그분이 구글번역기를 쓰셨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 글 마지막에 포팅 영상을 같이 올렸으니 그것을 보셨을지도 모르곘습니다.(그런데 그것조차도 한글 환경에서 찍은 영상...)


해당 포럼에 가면 아이패드에 포팅(제대로 된 라이브러리도 없는데?)한 분도 있더군요. 굳이 제 글을 보시지 않았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유입 국가는 지원을 안 하니 조금은 답답하네요.


구글 검색에 상단에 걸릴만한 방법은 네이버와 다르게 딱 하나밖에 없다고 하네요.


그냥 좋은 글을 잔뜩 쓸 것.


이 블로그를 구글만 믿고 가기로 한 이상 좋은 글을 더 양산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저는 그렇게 건실한 것은 아니지만 꽤 오랫동안 운영(?)해 왔던 다음블로그가 있습니다. http://blog.daum.net/moor


하지만 저는 다음 블로그가 약간 제 손으로 못 만지는 곳이 너무 많은 것 같아서 티스토리로 작정하고 옮겨왔지요. 그런데 티스토리는 티스토리대로 문제인 것이 만질 곳이 많아지자, 제가 손을 대기 귀찮아졌다는 것입니다. 기본 스킨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보시면 너무 나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아 조금 폰트크기를 키울 필요는 있겠네요. 모바일에서 보니 약간 답답한 면도 보이니까요.


사실 다음블로그에서 글을 써본 결과 이상할 정도로 해외에서 스팸성 트랙백이 자꾸 걸렸습니다. 이유를 알고 보니 다음블로그는 새 글이 올라오면 각종 봇 들이 주르륵 훑고 지나가더군요. 검색엔진 봇도 아니고 처음 보는 괴상한 봇도 나타나던데 그게 원인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 외에도 글을 관리하기 힘들고 제가 그냥 수첩에 끄적이듯이 글을 적다 보니 제대로 된 글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나마 그럭저럭 제대로 쓴 글은 

http://blog.daum.net/moor/37 (이것은 새로 스크린샷 찍고 영상을 찍어서 가져왔습니다.)

http://blog.daum.net/moor/107 (Ren'Py 안드로이드 포팅 글 새로 쓰면서 기존 다음블로그는 비공개 처리)

http://blog.daum.net/moor/102 Cups+Sane 프린트+원격스캔 서버 만들기 정리 후에 가져올 예정.


수많은 글 중에서 쓸 만한 글은 대충 이 정도 뿐.


굉장히 공은 들였지만 그저 일기 형식으로 써서 다른 사람들에게 별로 도움은 안되는 글

http://blog.daum.net/moor/45

http://blog.daum.net/moor/50(내 생각에 거의 삽질이 블록버스터 급인데 현재는 별로 도움 안되는 글)

http://blog.daum.net/moor/106 삽질 하다 포기함. 그냥 다른 물건을 구하는 것이 100배 나음.


난 참 글 쓰는 재주는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금 더 다른 사람을 배려하듯이 써야 하는데 제가 편한대로 글을 쓰다 보니 그 수많은 글 중에서 건질 것이 전혀 없네요. 어쨌건 블로그에 제대로 된 정보성 글을 올리기 위해선 아무런 글도 올라가지 않은 깨끗한 상태의 땅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다 티스토리가 눈에 띄인 것이고요. 네이버블로그도 있지만 여긴 다음보다 더 했으면 더 했지 덜 한 곳은 아니라서 그냥 깔끔하게 접었습니다. 티스토리에는 전문성 있는 글들이 자주 올라오는 곳이니, 저도 이 대열에 한 번 끼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MoorDev 올림.

,


한 때 잠깐이나마 마이크로소프트는 Flash의 대항마 격인 웹 플러그인을 발표합니다. 그 이름이 Silverlight입니다. 은빛이라는 한국말로 바꾸면 꽤 예쁜 이름이지만, 이 실버라이트는 결국 Flash라는 거대한 벽을 넘지 못하고 버려진 자식이 되어버립니다. Windows8의 IE지원 대상에서 빼버린 것이지요. 실버라이트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서비스해 주는 곳도 일부 있었고(SBS, 다나와 리뷰 등), 일부 사이트에서는 Flash처럼 멀티업로드용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에게서 이미 잊혀진 존재가 되어가다보니 해당 사이트들도 Flash로 바꾸거나 아니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실버라이트는 사라지는 듯 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점에서도 실버라이트를 버리지 못한 불행한 사이트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실버라이트가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서도 지원 받지 못하는 마당에 답답한 노릇입니다. 이 사이트들이 정신을 차리고 다른 방법으로 바꾸기 전까지는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실버라이트를 써야만 합니다. 사실 실버라이트가 윈도우를 쓰다 보면 자연스레 설치되는 놈이라 자연스럽게 쓰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마이크로소프트도 지원을 끊은지 오래인데 아직까지 실버라이트를 고집하는 배짱은 대체 무엇일까요?
(제 생각에는 그냥 똥배짱입니다. 시스템을 바꿀 자금이 부족하거나)


그런데 우분투에서 어떻게 마이크로소프트의 실버라이트를 쓸 수 있을까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moonlight라는 실버라이트 호환플러그인을 설치한다.http://www.mono-project.com/Moonlight

2. Pipelight로 실버라이트를 Wine과 조합해서 플러그인을 구동한다.http://pipelight.net


1.경우는 속도는 빠르지만 실버라이트3까지 완벽 지원이며 실버라이트4는 일부 호환입니다. 실버라이트가5까지 나왔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네요. 적당히 구동은 되지만 저 일부 사이트들 중에서 실버라이트5를 요구하는 (망할)사이트가 있어서 어쩔 수 없이 2.의 방법을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실버라이트5가 리눅스환경에서 무사히 구동이 된다는 것에서 안심을 해야 할 것 같네요. 참고로 PipeLight는 Windows용 Flash플러그인도 구동지원됩니다. 리눅스용 Flash가 10.x에서 멈춘 지금, 최신플러그인을 요구 할 경우 대용으로 쓸 수 있습니다. 물론 구동 속도는 보장 못합니다. 


Pipelight를 한번 설치해서 Silverlight를 구동해 봅시다. 우선 Pipelight를 설치해야겠지요?

우선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명령을 순차적으로 내립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pipelight/stable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install-recommends pipelight-multi
sudo pipelight-plugin --update

첫 번째 명령어는 PPA를 등록하는 명령어 입니다.

두 번째 명령은 새로운 패키지 리스트를 가져오는 명령어 입니다. 즉, 패키지 리스트에 Pipelight를 가져오는 과정입니다.

세 번째 명령은 Pipelight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install-recommends 옵션은 같이 추천하는 패키지를 설치하란 것입니다. 이 때 Pipelight 전용 Wine이 설치됩니다. 브라우저 플러그인 전용으로 특화된 Wine입니다.

네 번째 명령어는 플러그인 업데이트 리스트를 받아오는 명령어입니다. 사실 이 순간에도 새로운 플러그인이 지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의 Pipelight는 Unity3D Web Player도 지원이 되더군요. 이제는 웹 게임도 우분투에서 3D로 구동할 수 있다니 무서운 세상이군요.


이제 실버라이트를 활성화 해봅시다. 같은 방법으로 Flash도 활성화 가능한데 이것도 터미널을 이용해야 합니다. GUI가 아직 지원이 될 가능성은 없어 보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터미널과 친해지는 수 밖에 없습니다.




sudo pipelight-plugin --enable silverlight


끝입니다. 이제 Firefox나 Chrome에서 실버라이트를 사용하는 (망할)사이트에 들어가면 잠깐 Wine구동 메시지가 뜨더니 실버라이트가 작동하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만약 해당 사이트가(정말로 망할)OS차별을 한다면 Agent Switcher같은 확장기능을 써서 Windows로 속이시면 간단합니다. (실버라이트는 원래 브라우저 구별은 안 합니다. 단지 Windows에서만 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런데 이것 때문에 웹디자이너분들이 Windows외의 OS접근을 막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비슷하게 Flash 11이상 버전을 요구하면



sudo pipelight-plugin --enable flash

이렇게 해주시면 됩니다. Firefox야 문제 없는데 Chrome은 자체 내장 Flash때문에 고생을 한다네요. 어차피 Chrome내장 Flash는 버전이 높으니 굳이 pipelight를 통하지 않아도 됩니다. Firefox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이용해 주시면 좋을 것입니다.


http://pipelight.net/cms/installation.html

Pipelight에 우분투 계열 외의 다른 OS나 실버라이트,Flash외의 다른 플러그인을 설치하실 분들은 위의 주소로 가시면 자세히(영어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미 버려진 기술인 실버라이트를 쓰기 위해서 이런 삽질을 해야만 한다니, 정말 짜증이 올라오는군요. 그런데 어쩌겠어요. 해당 사이트를 안 쓸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굳이 윈도를 부팅하기는 더더욱 싫으니 그냥 이렇게라도 써야지요. 역시 오늘도 우분투는 삽질입니다.

,